목차
1. 개요
2. 중국이 자국 기업에 제공하는 보조금 형태
3. WTO 보조금 감시 정책
4. 대중국 상계관세 조치와 그에 대한 중국의 대응 사례
2. 중국이 자국 기업에 제공하는 보조금 형태
3. WTO 보조금 감시 정책
4. 대중국 상계관세 조치와 그에 대한 중국의 대응 사례
본문내용
가 조사를 시행하였다. 실제 상계관세 부과가 확정된 것은 9건에 달한다. 중국은 이러한 미국의 집중적인 상계관세 조치를 미국 내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른 대중국 통상압력으로 인식하였으며 주요 교역상대국과 상계관세 관련 통상분쟁에 휘말리는 것을 가급적 자제하고 상계관세 조치 활용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자국 수출상품에 대한 상대국의 과도하고 차별적인 상계관세 조치 혹은 국외 수입 제품의 불공정한 보조금 행위로 중국의 이익이 훼손될 때 적극적으로 WTO에 제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 2008년 9월, 미 상무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집중적인 중복부과 조치에 대해 중국은 WTO에 이를 제소하였다. 첫 판정에서는 패소 판정을 받았으나 이를 재차 WTO에 제소하여 결국 승소 판정을 받았다. 이와 같은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9년부터 중국은 미국에 대한 상계관세 조치로 맞대응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처음으로 미국산 방향성 전기강판을 시작으로 닭고기와 승용차에 대해서도 상계관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는 중국이 보조금 규제와 관련한 상대국의 조치에 대해 보복적인 성격의 맞대응까지 불사한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