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실습_강의참관일지 18개
수업 주제: 주말 활동 대화 2
수업 목표: 주말 활동 어휘와 표현 익히기, 문법 ‘-(을) 거예요’ 익히기
수업 시간: 교실 수업 1교시
▣ 도입
전 시간에 배운 ‘지난 주말에 뭐 했어요?’를 질문하여 수업 분위기 조성을 하고, 목표 문형 ‘이번 주말에 뭐 해요?‘ 에 대한 사용 상황을 노출 함.
▣ 제시
TV 화면을 이용한 시청각 자료로 ‘이번 주말에 뭐 해요?’의 대화를 제시함.
교재에 제시된 주말 활동 관련 어휘들을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지도함.
수업 주제: 주말 활동 대화 2
수업 목표: 주말 활동 어휘와 표현 익히기, 문법 ‘-(을) 거예요’ 익히기
수업 시간: 교실 수업 1교시
▣ 도입
전 시간에 배운 ‘지난 주말에 뭐 했어요?’를 질문하여 수업 분위기 조성을 하고, 목표 문형 ‘이번 주말에 뭐 해요?‘ 에 대한 사용 상황을 노출 함.
▣ 제시
TV 화면을 이용한 시청각 자료로 ‘이번 주말에 뭐 해요?’의 대화를 제시함.
교재에 제시된 주말 활동 관련 어휘들을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지도함.
본문내용
목표: \'언어와 문화\'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a/v -듯(이)\' 문법 익히기, \'a/v 은/는/을 듯(이)\' 문법, \'a/v -듯하다\' 문법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2, 수업 3교시
▣ 도입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관용 표현 수업을 이어 감.
▣ 제시
교사는 각 각의 학생들에게 교재에 실린 다양한 표현을 따라 읽도록 하고 표현의 의미를 설명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통해 목표 어휘화 표현을 자연스럽게 설명 함.
교재의 표시된 문장을 통해 \'a/v -듯(이)\' 문법 익히기, \'a/v 은/는/을 듯(이)\' 문법, \'a/v -듯하다\' 문법을 읽고 의미를 설명 함.
▣ 연습
목표 표현을 학생들과 함께 따라 읽기를 하며 전체 내용을 정리 함.
교재에 제시된 질문과 대답의 어휘를 바꿔 읽으며 다양한 어휘를 익히도록 함. 질문과 대답을 짝 활동을 통해 서로 읽도록 지도 함.
대화&이야기의 교재의 음성 파일 듣고 내용을 읽어가며 관용표현을 설명 함. 짝 활동을 통해 서로 이야기 전체 문구를 읽도록 지도 함.
학습한 관용 표현과 목표 문법을 활용해 문장 형태를 설명 함.
목표 문법의 질문과 대답 문장을 학생들과 함께 따라 읽기를 함.
제시된 질문과 대답을 목표 문법으로 바꿔 읽으며 목표 문법을 익히도록 함. 짝 활동을 통해 서로 읽고 문법 형태 변경을 하도록 지도 함.
대화&이야기를 음성 파일을 들려주고 목표 어휘와 표현을 자연스럽게 학습 함.
다음 수업 시간에 배울 \'속담\'을 언급하며, 나눠 준 활동지에 배운 관용 표현과 관련된 속담을 작성하도록 숙제를 요청 함.
참관 소감
교사가 각 각의 학생에게 질문하고 대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 개인이 수업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이해를 못한 학생에게 추가 설명을 해줄 수 있었다. 학생들이 \'ㄴ\'받침으로 변형한 문장 만들기를 어려워하자 교사가 천천히 세심하게 설명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사용하는 교재의 문법을 참고해서 문법 수업을 준비하고 지도해야 함을 배웠다.
강의참관 일지 16
참관일
현장 실습
지도자 확인
(서명 또는 인)
참관 시간
참관 급수
담당 교사
참관 장소
참관 내용
수업 주제: 한국인의 의식 구조
수업 목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3, 수업 1교시
▣ 도입
수업 목표를 학생들과 함께 읽으며 \'의식\'이라는 어휘에 대한 설명을 하며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도해 수업의 분위기를 조성 함.
▣ 제시
\'의식\' 어휘와 의미가 같은 \'사고방식\' 어휘에 대해 설명하며 수업을 이끌어 감.
화면의 그림을 통해 목표 표현을 소개하며 공감을 일으킴.
▣ 연습
시각 자료(사진)을 보여주고 한국인의 의식 구조와 학생들 나라의 의식 구조에 대해 비교 함.
각 각의 학생들에게 한국 사람의 사고방식이 어떤지 물어보며 발표하도록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통해 목표 어휘와 표현을 읽고 설명하며 내용을 학습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를 학생들에게 읽고 듣기학습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도록 지도 함.
참관 소감
한국인의 의식 관련 어휘와 표현을 소개하며 장점과 단점의 예시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끌며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에게 한국 사람의 사고방식이 어떤지에 대한 대답을 통해, 외국인이 생각하는 한국인의 이미지가 어떤지를 알 수 있는 기회였다. 각 나라의 학생들의 문화를 존중하여 이해한 후에 수업을 진행해야겠다고 다짐했다.
강의참관 일지 17
참관일
현장 실습
지도자 확인
(서명 또는 인)
참관 시간
참관 급수
담당 교사
참관 장소
참관 내용
수업 주제: 한국인의 의식 구조
수업 목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3, 수업 2교시
▣ 도입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관용 표현 수업을 이어 감.
▣ 제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다양한 표현에 대한 소개를 함.
낱말 카드를 통해 주요 어휘를 학습하도록 지도 함.
▣ 연습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통해 토론 이야기를 소개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를 학생들에게 읽고 듣기 학습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도록 지도 함.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읽고 설명하며 내용을 학습 함.
이야기 내용에 대한 질문을 제시하고 학생들과 함께 정답을 대답 함.
토론에서 설득하기 말하기에 대한 말하기 방법인 \'는 데요~\' (문장의 끝을 올린다)를 설명해 학생들에게 세심한 설명을 해줌.
참관 소감
다양한 시각 자료(사진)를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의식 구조를 소개하고 설명하는 것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듯하다. 교사가 수업 중간에 학생에게 수업을 이해하고 잘 따라오고 있는지 질문을 통해 확인해가며 수업을 진행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친숙한 유투브 영상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끌고 수업의 분위기를 환기 시킬 수 있었다.
강의참관 일지 18
참관일
현장 실습
지도자 확인
(서명 또는 인)
참관 시간
참관 급수
담당 교사
참관 장소
참관 내용
수업 주제: 한국인의 의식 구조
수업 목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3, 수업 3교시
▣ 도입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관용 표현 수업을 이어 감.
▣ 제시
지난 시간에 이어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소개를 함.
▣ 연습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짝 활동 통해 읽기를 함.
주어진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을 설명하고 지도 함.
앞에서 설명한 전체 내용을 어휘 정리 시간을 별도로 가지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가짐.
학생들이 생각하는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발표하는 시간을 통해 목표 표현을 정확히 익히도록 지도 함.
참관 소감
교사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통해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설명 했다. \'대의명분\' 등 어려운 어휘를 일상 사례를 통해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학생들의 말하기 시간에 각 학생에게 주어지는 시간 배분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해야 함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학생들에게 발표를 위한 준비 시간을 줄때, 적당한 시간을 물어보고 상황에 맞춰 시간 배정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수업 시간: 강의 참관 2, 수업 3교시
▣ 도입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관용 표현 수업을 이어 감.
▣ 제시
교사는 각 각의 학생들에게 교재에 실린 다양한 표현을 따라 읽도록 하고 표현의 의미를 설명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통해 목표 어휘화 표현을 자연스럽게 설명 함.
교재의 표시된 문장을 통해 \'a/v -듯(이)\' 문법 익히기, \'a/v 은/는/을 듯(이)\' 문법, \'a/v -듯하다\' 문법을 읽고 의미를 설명 함.
▣ 연습
목표 표현을 학생들과 함께 따라 읽기를 하며 전체 내용을 정리 함.
교재에 제시된 질문과 대답의 어휘를 바꿔 읽으며 다양한 어휘를 익히도록 함. 질문과 대답을 짝 활동을 통해 서로 읽도록 지도 함.
대화&이야기의 교재의 음성 파일 듣고 내용을 읽어가며 관용표현을 설명 함. 짝 활동을 통해 서로 이야기 전체 문구를 읽도록 지도 함.
학습한 관용 표현과 목표 문법을 활용해 문장 형태를 설명 함.
목표 문법의 질문과 대답 문장을 학생들과 함께 따라 읽기를 함.
제시된 질문과 대답을 목표 문법으로 바꿔 읽으며 목표 문법을 익히도록 함. 짝 활동을 통해 서로 읽고 문법 형태 변경을 하도록 지도 함.
대화&이야기를 음성 파일을 들려주고 목표 어휘와 표현을 자연스럽게 학습 함.
다음 수업 시간에 배울 \'속담\'을 언급하며, 나눠 준 활동지에 배운 관용 표현과 관련된 속담을 작성하도록 숙제를 요청 함.
참관 소감
교사가 각 각의 학생에게 질문하고 대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 개인이 수업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이해를 못한 학생에게 추가 설명을 해줄 수 있었다. 학생들이 \'ㄴ\'받침으로 변형한 문장 만들기를 어려워하자 교사가 천천히 세심하게 설명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사용하는 교재의 문법을 참고해서 문법 수업을 준비하고 지도해야 함을 배웠다.
강의참관 일지 16
참관일
현장 실습
지도자 확인
(서명 또는 인)
참관 시간
참관 급수
담당 교사
참관 장소
참관 내용
수업 주제: 한국인의 의식 구조
수업 목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3, 수업 1교시
▣ 도입
수업 목표를 학생들과 함께 읽으며 \'의식\'이라는 어휘에 대한 설명을 하며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도해 수업의 분위기를 조성 함.
▣ 제시
\'의식\' 어휘와 의미가 같은 \'사고방식\' 어휘에 대해 설명하며 수업을 이끌어 감.
화면의 그림을 통해 목표 표현을 소개하며 공감을 일으킴.
▣ 연습
시각 자료(사진)을 보여주고 한국인의 의식 구조와 학생들 나라의 의식 구조에 대해 비교 함.
각 각의 학생들에게 한국 사람의 사고방식이 어떤지 물어보며 발표하도록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통해 목표 어휘와 표현을 읽고 설명하며 내용을 학습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를 학생들에게 읽고 듣기학습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도록 지도 함.
참관 소감
한국인의 의식 관련 어휘와 표현을 소개하며 장점과 단점의 예시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끌며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에게 한국 사람의 사고방식이 어떤지에 대한 대답을 통해, 외국인이 생각하는 한국인의 이미지가 어떤지를 알 수 있는 기회였다. 각 나라의 학생들의 문화를 존중하여 이해한 후에 수업을 진행해야겠다고 다짐했다.
강의참관 일지 17
참관일
현장 실습
지도자 확인
(서명 또는 인)
참관 시간
참관 급수
담당 교사
참관 장소
참관 내용
수업 주제: 한국인의 의식 구조
수업 목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3, 수업 2교시
▣ 도입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관용 표현 수업을 이어 감.
▣ 제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다양한 표현에 대한 소개를 함.
낱말 카드를 통해 주요 어휘를 학습하도록 지도 함.
▣ 연습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통해 토론 이야기를 소개 함.
교재의 대화&이야기를 학생들에게 읽고 듣기 학습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도록 지도 함.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읽고 설명하며 내용을 학습 함.
이야기 내용에 대한 질문을 제시하고 학생들과 함께 정답을 대답 함.
토론에서 설득하기 말하기에 대한 말하기 방법인 \'는 데요~\' (문장의 끝을 올린다)를 설명해 학생들에게 세심한 설명을 해줌.
참관 소감
다양한 시각 자료(사진)를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의식 구조를 소개하고 설명하는 것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듯하다. 교사가 수업 중간에 학생에게 수업을 이해하고 잘 따라오고 있는지 질문을 통해 확인해가며 수업을 진행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친숙한 유투브 영상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끌고 수업의 분위기를 환기 시킬 수 있었다.
강의참관 일지 18
참관일
현장 실습
지도자 확인
(서명 또는 인)
참관 시간
참관 급수
담당 교사
참관 장소
참관 내용
수업 주제: 한국인의 의식 구조
수업 목표: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관용 표현 익히기
수업 시간: 강의 참관 3, 수업 3교시
▣ 도입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관용 표현 수업을 이어 감.
▣ 제시
지난 시간에 이어 \'한국인의 의식 구조\' 관련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소개를 함.
▣ 연습
교재의 대화&이야기 듣기를 짝 활동 통해 읽기를 함.
주어진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을 설명하고 지도 함.
앞에서 설명한 전체 내용을 어휘 정리 시간을 별도로 가지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가짐.
학생들이 생각하는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발표하는 시간을 통해 목표 표현을 정확히 익히도록 지도 함.
참관 소감
교사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통해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설명 했다. \'대의명분\' 등 어려운 어휘를 일상 사례를 통해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학생들의 말하기 시간에 각 학생에게 주어지는 시간 배분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해야 함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학생들에게 발표를 위한 준비 시간을 줄때, 적당한 시간을 물어보고 상황에 맞춰 시간 배정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