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교육과정 ) 교육과정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교육과정 ) 교육과정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설명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름이 붙었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오히려 타일러의 전통적인 교육과정 개발 방식을 바탕으로 탄생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과정을 개발할 때에 기존에 이루어졌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계획을 세워나가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목표에 달성하기 위해서 평가를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
타일러의 방식과 역행 설계의 방식을 비교해보면 진행 과정 자체에는 아주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둘이 어떤 것을 좀 더 중요하게 여기는 지에서 차이를 보인다. 타일러의 방식은 교육의 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중심적으로 진행되게 되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고려하는 방식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역행 설계 방식의 경우에는 이와는 좀 다르게 이전에 이루어졌던 교육과정에서 어떤 것을 학생들이 좀 더 원하고 있는지를 평가 등을 통해서 파악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목표를 새로 설정하고 그에 맞는 평가 계획을 수립한 후 학습경험을 계획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 학생들이 어떤 결과를 바라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수용 가능한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한 학습경험을 계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타일러의 방식은 그 이후에 설계하게 될 방식과 유기적인 연계가 되기 어려운 방식이지만 역행 설계 방식은 기존에 있었던 평가를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과 연계하는 데에 어려움이 적을 것으로 파악된다.
3. 결론
전통적으로 진행되었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방식이 타일러의 방식이라면, 새로 등장하게 된 방식은 역행 설계 방식이다. 하지만 이 역행 설계 방식 역시 타일러가 주장한 이론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진행 과정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기존에 있었던 평가를 좀 더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더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내 생각에는 기존에 있었던 평가를 반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역행 설계 방식이 좀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나은 교육과정을 탄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과정. 방송대 강의자료
교육과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교육과정이론]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교육과정, 자료실, 교육문화연구소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process.php?ptype=view&idx=425&page=1&code=process&category=69&searchopt=subject&searchkey=%EA%B0%9C%EB%B0%9C
백워드 설계를 통한 과정중심 평가와 수업 실천,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https://www.cberi.go.kr/home/board/download.do?menukey=273&fno=10009908&bid=00000058&did=10006568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2.02
  • 저작시기202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4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