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요약(A+)]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한다(동아시아의 비판적 지성)_對談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책요약(A+)]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한다(동아시아의 비판적 지성)_對談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 지식인 사회의 지도와 시장신화
2. 전지구화와 중국의 문제
3. 문혁 기억의 다양화와 재해석
4. 신자유주의에 대한 저항과 비판
5.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하기 위하여
6. 아시아론 또는 동아시아론의 의미
7. 문화다원론의 지평
8. 중국사회의 쟁점들

Ⅲ. 맺음말

※ 질의

본문내용

는 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문혁 기억의 다양화와 재해석부분의 대담을 살펴보면 질의와 답변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번역상의 오류로 인한 문제로 판단된다. P236에서 이욱연은 왕 후이 선생에게 마오쩌뚱 시대에 대한 기억이 지금의 중국 현실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에 대해서 묻고 있다. 하지만 답변내용을 보면 문혁으로 인해 수많은 비극이 초래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재검토하고 성찰하며 기록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의견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 문혁의 동력이었던 두 집단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견강부회로 보이는데, 이욱연의 논문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지식인과 문혁 기억을 살펴보면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문혁의 기억을 80년대와 90년대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는데, 80년대가 문혁에 대한 공동의 기억을 바탕으로 지식인 내부의 동일성을 확보하고 그것을 통해 계몽적 지위와 역할을 확보하였다면, 90년대 이후 중국 지식인 사회에서 문혁에 대한 기억은 기억의 구성 원리가 변한 가운데 문혁 기억이 분화되고 이에 따라 중국 지식인들의 현실 해석, 미래 전망 역시 분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요컨대 문혁과 마오쩌뚱 시대에 관한 역사적 기억을 둘러싼 문화적, 정치적 투쟁이 일어나고 있고, 이는 그대로 미래 전망에 대한 투쟁이기도 한 것이다.” 또한 왕 후이는 “문혁시대에 일어난 비극과 그 원인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려면 그 시대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문혁에 대한 연구와 사고를 지배이데올로기의 서사 속에서 해방시킬 필요가 있다.”고 거시적인 안목에서만 서술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2.06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4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