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7장 황종희, 명이대방록
·제14장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 (306~308쪽)
·제14장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 (306~308쪽)
본문내용
무에서 유가 생겨나는 종류의 ‘창조’가 아니라 끝없는 변화 속에서 일어나는 질적 변화로서의 ‘창조’이다. 베르그송이 생각한 창조 안에는 시간이라는 지속성, 지속적인 변화 가운데 일어나는 생명력의 축적, 그 안에서 생겨나는 예상치 못한 정신의 발명이 있다. 즉 진화란 기계적으로 A->B->C의 흐름을 따라 일어나는 메커니즘이 아니라 창조성을 지닌 개념인 것이다.
베르그송이 창조적 진화라고 꼽은 사례 가운데 하나는 바로 척추동물의 등장이었다. 상상할 수도 없는 긴 시간 동안 무척추동물에서부터 갈라져나온 척추동물은 그 자체가 생명이 가진 자유로움의 상징이고,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진화의 방향이 정해져있고, 모두가 그 길을 따라갈 뿐이라는 사상 속에서 시간은 의미가 없지만, 베르그송이 이야기한 진화의 사상 속에서 시간은 그야말로 약동하는 가능성을 지닌 자유 그 자체다. 강물이 결코 멈춤 없이 흐르는 것은 오로지 시간을 통해서만 이해가 가능하다. 만약 강물을 시간 없이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꽁꽁 붙들어매져 흐르지 않는, 이미 ‘강물’이라고 말할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질적인 변화, 도약이 가능하다는 베르그송의 사상은 우리에게 어떤 종류의 위안을 안겨준다고 생각한다. 이는 과거에 묶여있지 않아도 된다는, 과거와 현재가 어쩌면 무관할 수도 있다는, 또 미래에는 지금과 전혀 다를 수도 있다는 희망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흐르는 시간 안에서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질적 도약을 통해, 어쩌면 전혀 다른 새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베르그송이 창조적 진화라고 꼽은 사례 가운데 하나는 바로 척추동물의 등장이었다. 상상할 수도 없는 긴 시간 동안 무척추동물에서부터 갈라져나온 척추동물은 그 자체가 생명이 가진 자유로움의 상징이고,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진화의 방향이 정해져있고, 모두가 그 길을 따라갈 뿐이라는 사상 속에서 시간은 의미가 없지만, 베르그송이 이야기한 진화의 사상 속에서 시간은 그야말로 약동하는 가능성을 지닌 자유 그 자체다. 강물이 결코 멈춤 없이 흐르는 것은 오로지 시간을 통해서만 이해가 가능하다. 만약 강물을 시간 없이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꽁꽁 붙들어매져 흐르지 않는, 이미 ‘강물’이라고 말할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질적인 변화, 도약이 가능하다는 베르그송의 사상은 우리에게 어떤 종류의 위안을 안겨준다고 생각한다. 이는 과거에 묶여있지 않아도 된다는, 과거와 현재가 어쩌면 무관할 수도 있다는, 또 미래에는 지금과 전혀 다를 수도 있다는 희망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흐르는 시간 안에서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질적 도약을 통해, 어쩌면 전혀 다른 새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추천자료
2022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인상 깊게 읽은 고전 원문)
동서양고전의이해 6장 순자
동서양고전의이해 7장 황종희 명이대방록
동서양고전의이해 8장 플라톤 국가
동서양고전의이해 9장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동서양고전의이해 11장 쇼펜하우어 의지의 표상으로서의 세계
동서양고전의이해 15장 존 롤스 정의론
동서양고전의이해 ) 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5장 각각 장의 마지막에는 ‘3. 원문 읽기’가...
동서양고전의이해 ) 맹자 - 이 중 인상 깊게 읽은 고전 원문의 장과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
동서양고전의이해 ) 인상 깊게 읽은 고전 원문의 장과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의 원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