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1.프로이트 : 정신분석이론
2.에릭슨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3.피아제 : 인지 발달 이론
4.콜버그 : 도덕성 발달 이론
5.행동주의
6.반두라 : 사회학습이론
7.레스트 : 4구성 요소 모형
8.튜리엘 : 사회영역이론
9.길리건 : 여성주의접근
10.나딩스 : 여성주의접근, 배려윤리
11.인격교육론 : 전통주의적 인격교육론(위인, 베닝가), 공동체주의적 인격교육론(왓슨), 통합적 인격교육론(루스낵, 리코나)
12.리코나 : 통합적 인격교육론
13.공동체주의적 도덕교육론
14.덕 교육론
15.구성주의적 도덕교육론 : 개인적 구성주의(피아제), 사회적 구성주의(비고츠키, 태펀-내러티브)
16.데이먼 : 도덕적 자아이론
17.블라지 : 도덕적 정체성이론
18.호프만 : 공감이론
19.피터스 : 도덕성 발달 이론
20.뒤르켐 : 도덕사회화론
21.윌슨 : 도덕성 요소 이론
22.콜즈 : 도덕적 지능 이론
23.커센바움 : 포괄적 가치교육론
24.나바에츠 :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도덕적 전문성 모형)
25.하이트 : 도덕적 직관에 대한 연구
26.프랑케나 : 의무 윤리 교육과 덕 윤리 교육의 통합
27.사회정서학습 : 5가지 핵심역량의 개발
28.오우크쇼트 : ‘습관 우위의 도덕성’ 발달
29.케이 : ‘사회계급’과 도덕성
30.아동발달프로젝트(CDP) : 아동의 도덕적, 사회적 발달을 위한 5가지 프로그램
31.듀이 : ‘사회적 지성’ 발달을 위한 도덕 교육
32.칸트 : ‘도덕적 도야’를 위한 교육
2.에릭슨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3.피아제 : 인지 발달 이론
4.콜버그 : 도덕성 발달 이론
5.행동주의
6.반두라 : 사회학습이론
7.레스트 : 4구성 요소 모형
8.튜리엘 : 사회영역이론
9.길리건 : 여성주의접근
10.나딩스 : 여성주의접근, 배려윤리
11.인격교육론 : 전통주의적 인격교육론(위인, 베닝가), 공동체주의적 인격교육론(왓슨), 통합적 인격교육론(루스낵, 리코나)
12.리코나 : 통합적 인격교육론
13.공동체주의적 도덕교육론
14.덕 교육론
15.구성주의적 도덕교육론 : 개인적 구성주의(피아제), 사회적 구성주의(비고츠키, 태펀-내러티브)
16.데이먼 : 도덕적 자아이론
17.블라지 : 도덕적 정체성이론
18.호프만 : 공감이론
19.피터스 : 도덕성 발달 이론
20.뒤르켐 : 도덕사회화론
21.윌슨 : 도덕성 요소 이론
22.콜즈 : 도덕적 지능 이론
23.커센바움 : 포괄적 가치교육론
24.나바에츠 :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도덕적 전문성 모형)
25.하이트 : 도덕적 직관에 대한 연구
26.프랑케나 : 의무 윤리 교육과 덕 윤리 교육의 통합
27.사회정서학습 : 5가지 핵심역량의 개발
28.오우크쇼트 : ‘습관 우위의 도덕성’ 발달
29.케이 : ‘사회계급’과 도덕성
30.아동발달프로젝트(CDP) : 아동의 도덕적, 사회적 발달을 위한 5가지 프로그램
31.듀이 : ‘사회적 지성’ 발달을 위한 도덕 교육
32.칸트 : ‘도덕적 도야’를 위한 교육
본문내용
정신분석학의 핵심 입장
①모든 정신적 사건은 그 전에 일어난 정신적 사건을 원인으로 함 : 인간의 심리현상에 우연히 생겨난 것은 존재하지 않음
②인간의 정신활동은 외부세계의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 속에 내재되어 있는 행동의 동기나 목표에 의해 결정
③인간 정신활동의 원동력은 ‘무의식’ : 정신활동의 대부분은 무의식의 세계에서 일어나며, 의식세계로 나타나는 것은 빙산의 일각
④인간의 행동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는데, 그 원인을 이루는 것이 ‘무의식적 동기’ : 무의식적 동기는 타고난 본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가장 중요한 본능은 ‘성욕과 공격성’ 무의식적 동기와 의식 사이에는 끊임없는 갈등을 빚는데, 이 갈등이 인간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힘으로 작용
⑤성적 충동, 공격성이라는 본능은 현실세계에서 행동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고자 함 : 인간은 물리, 사회적 환경 속에서 자신의 본능적 욕구들을 충족시킬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충족을 위한 행위를 수행.
⑥아동의 주변 환경에 있는 성인은 보상과 처벌을 통해 아동들에게 어떤 욕구 충족 방법들은 수용가능하고 어떤 것은 불가한지 알려줌 : 성인은 아동의 욕구충족 방법을 지켜보는 일종의 ‘감시자’
⑦아동들은 성장하면서 중요한 타인들이 자신에게 부여한 기대 사항들을 자신들의 인성 속에 점차적으로 통합해 나간다. 이러한 기대사항들이 개인의 도덕적 가치가 된다 : 가치를 내면화하면 외부로부터의 제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개인 내부의 ‘양심’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
∴ 프로이트는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요소가 인간 행동을 결정한다고 강조. 인간의 정신이 빙산이라면 물속에 잠긴 부분에 해당하는 무의식이야말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는 보이지 않는 힘
①모든 정신적 사건은 그 전에 일어난 정신적 사건을 원인으로 함 : 인간의 심리현상에 우연히 생겨난 것은 존재하지 않음
②인간의 정신활동은 외부세계의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 속에 내재되어 있는 행동의 동기나 목표에 의해 결정
③인간 정신활동의 원동력은 ‘무의식’ : 정신활동의 대부분은 무의식의 세계에서 일어나며, 의식세계로 나타나는 것은 빙산의 일각
④인간의 행동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는데, 그 원인을 이루는 것이 ‘무의식적 동기’ : 무의식적 동기는 타고난 본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가장 중요한 본능은 ‘성욕과 공격성’ 무의식적 동기와 의식 사이에는 끊임없는 갈등을 빚는데, 이 갈등이 인간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힘으로 작용
⑤성적 충동, 공격성이라는 본능은 현실세계에서 행동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고자 함 : 인간은 물리, 사회적 환경 속에서 자신의 본능적 욕구들을 충족시킬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충족을 위한 행위를 수행.
⑥아동의 주변 환경에 있는 성인은 보상과 처벌을 통해 아동들에게 어떤 욕구 충족 방법들은 수용가능하고 어떤 것은 불가한지 알려줌 : 성인은 아동의 욕구충족 방법을 지켜보는 일종의 ‘감시자’
⑦아동들은 성장하면서 중요한 타인들이 자신에게 부여한 기대 사항들을 자신들의 인성 속에 점차적으로 통합해 나간다. 이러한 기대사항들이 개인의 도덕적 가치가 된다 : 가치를 내면화하면 외부로부터의 제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개인 내부의 ‘양심’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
∴ 프로이트는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요소가 인간 행동을 결정한다고 강조. 인간의 정신이 빙산이라면 물속에 잠긴 부분에 해당하는 무의식이야말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는 보이지 않는 힘
추천자료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임용기출내용 완벽 분석 - 통일교육론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임용기출내용 완벽 분석 - 응용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임용기출내용 완벽 분석 - 통일교육론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원문 완벽 분석 - 동양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원문 완벽 분석 - 응용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원문 완벽 분석 - 통일교육론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교과교육론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서양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정치철학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주제별 핵심키워드 정리 - 교과교육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