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영의 기원 및 유래와 한국의 수영 역사- 해외사이트자료및 책 참고
2. 수영 시설과 도구 -해외사이트자료 및 책 참고
3. 올림픽 수영경영경기종목과 규칙 - 책참고
4. 수영 경기방법 - 책참고
5. 참고자료
2. 수영 시설과 도구 -해외사이트자료 및 책 참고
3. 올림픽 수영경영경기종목과 규칙 - 책참고
4. 수영 경기방법 - 책참고
5. 참고자료
본문내용
으로 채택됨)
자유형 경기종목의 규칙
자유형 말그대로 자유롭게 영법을 하면 된다. 즉 자유형 경기에서는 접영, 평영, 배영, 개헤엄 영법을 해도 무관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크롤영법을 구사한다. 입영을 해도 되고 어느 영법 을 해도 실격이 되지 않지만 레인을 잡는다 던지, 걸어다닌다 던지, 스타트 대에 뛰어서 15m 후에 머리가 나오게 되면 실격사유가 된다. 그리고 턴을 할때에는 반드시 신체 일부가 터치판에 터치를 하여야한다.
배영 경기종목의 규칙
배면 상태에서 어깨 한쪽이 90도 이상 돌아서는 안된다. 자유형과 마찬가지로 스타트 후 15m이 내에 머리가 수면 밖으로 나와야한다. 턴을 할때에는 마지막 스트록 직전 몸을 돌려 퀵턴을 하여 돈다. 터치후 반드시 배면 자세에서 터치를 하여야 한다. 턴 후에도 15이 내 물 밖으로 머리가 나 와야 실격되지 않는다.
평영 경기종목 규칙
자유형 배영과 마찬가지로 스타트후 15m이내 머리가 수면위로 올라와야 한다. 스타트 후 물속에
서 스트록은 1회이며 2회를 하거나 3회를 해버리면 실격이다. 터치시 양손을 동시에 터치판에 터
치를 하여야 실격이 되지 않는다.
접영 경기종목 규칙
위 3종목과 동일하게 스타트후 15m이내 머리가 수면위로 올라와야 실격 되지 않는다. 스타트 후
돌핀킥을 차되 자유형킥을 차게 되면 실격 사유가 된다.
반드시 양손으로 스트록하여야하며 터치시 양손이 터치해야 실격되지 않는다.
개인혼영 경기종목 규칙
개인혼영은 순서에 맞게 접영 배영 평영 자유형 순서로 진행되며 접영에서 평영으로 넘어갈 때 양손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고 배영시 배면자세로 스타트하여 돌핀킥을 차며 나아가고 배영에 서 평영으로 갈땐 평영 물속 스타트 자세인 1킥 1스트록으로 나아간다. 평영에서 자유형으로 갈 때에는 양손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고 자유형으로 마무리 한다.
혼계영 경기종목 규칙
혼계영 순서는 배영 평영 접영 자유형 순서대로 가며 경기규칙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고 반드시
터치 후에 다음 선수가 영법을 하며 나아가야 합니다.
4. 수영 경기방법
심판장 1명 스타터 2명 기록주임 1명 부정출발 로프담당 1명 영법심판 1명 반환 심판 주임 2명 소집원 1명 아나운서1명 자동심판계를 사용하는데 없으면 계시주임1명 1레인당 계시원 3명 그리고 추가 2명 의 계시원 이 있어야 합니다.
반환심판주임1명
영법심판2명
반환심판1명
1 레 인
착순심판 주임1명
반환심판1명
2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3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4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5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6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7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8 레 인
착순심판1명
영법심판 2명 부정출발로프담당 1명 심판장 1명
기록주임 기록원
소집원2명
선수대기실
스타터는 심판장이 호각을 2번불면 선수들은 옷을벗고 스타트대에 서야합니다.
심판장이 다시한번 호각을 1회 길게 불면 선수들은 스타트대 위에 올라 서야합니다.
모든 선수들이 스타트대 위에 올라서 대기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심판장은 한손을 뻗어 준비가 다 되었다는 사인을 보내고 스타터 차렷이라는 구호로 준비 시킨뒤 2~4초후 부저 혹은 총을 이용해 신호를 보내게되고 선수들의 경영이 시작됩니다.
자유형과 평영 접영은 스타트에서 출발하게 되고 배영과 혼계영400m는 물속에서 스타트하여 출발하게 됩니다.
기록 주임은 수영 참가신청서를 확인하여 참가 선수들의 경기 전 12개월 동안 세운 시합 최고기록을 참고로 하여 예선경기의 조 배정을 하게 됩니다. 기록을 제출하지 않는 선수는 가장 느린 것으로 간주하며 가장 첫 조에 배정을 하게 됩니다. 예선이 한 조일 때에는 결승과 같이 배정하며 결승기간에 시합이 행해집니다. 제일 빠른 선수 일수록 마지막 조에 배정이 되고 기록이 느린 선수들은 1조에서 느린 선수들끼리 예선을 하게 됩니다.
예선에서 2위는 5레인 예선 3위는 3레인 4위는 6레인 5위는 2레인 7위는 1레인 8위는 8레인으로 배정 합니다. 결승경기에서 예선경기가 없을 때 레인 배정은 신청서의 기록에 따라 이루어 지게 됩니다. 예선경기가 있게 될 때는 예선경기의 기록을 근거하여 배정합니다.
5. 참고자료
처음읽는 수영 세계사 - 에릭살린
2015년도 FINA 시설 규정집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 수영 -체육인재육성재단
실전수영 - 저자 이병두
서울특별시 수영연맹 홈페이지
http://www.absolutechinatours.com 고대중국수영의 역사
자유형 경기종목의 규칙
자유형 말그대로 자유롭게 영법을 하면 된다. 즉 자유형 경기에서는 접영, 평영, 배영, 개헤엄 영법을 해도 무관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크롤영법을 구사한다. 입영을 해도 되고 어느 영법 을 해도 실격이 되지 않지만 레인을 잡는다 던지, 걸어다닌다 던지, 스타트 대에 뛰어서 15m 후에 머리가 나오게 되면 실격사유가 된다. 그리고 턴을 할때에는 반드시 신체 일부가 터치판에 터치를 하여야한다.
배영 경기종목의 규칙
배면 상태에서 어깨 한쪽이 90도 이상 돌아서는 안된다. 자유형과 마찬가지로 스타트 후 15m이 내에 머리가 수면 밖으로 나와야한다. 턴을 할때에는 마지막 스트록 직전 몸을 돌려 퀵턴을 하여 돈다. 터치후 반드시 배면 자세에서 터치를 하여야 한다. 턴 후에도 15이 내 물 밖으로 머리가 나 와야 실격되지 않는다.
평영 경기종목 규칙
자유형 배영과 마찬가지로 스타트후 15m이내 머리가 수면위로 올라와야 한다. 스타트 후 물속에
서 스트록은 1회이며 2회를 하거나 3회를 해버리면 실격이다. 터치시 양손을 동시에 터치판에 터
치를 하여야 실격이 되지 않는다.
접영 경기종목 규칙
위 3종목과 동일하게 스타트후 15m이내 머리가 수면위로 올라와야 실격 되지 않는다. 스타트 후
돌핀킥을 차되 자유형킥을 차게 되면 실격 사유가 된다.
반드시 양손으로 스트록하여야하며 터치시 양손이 터치해야 실격되지 않는다.
개인혼영 경기종목 규칙
개인혼영은 순서에 맞게 접영 배영 평영 자유형 순서로 진행되며 접영에서 평영으로 넘어갈 때 양손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고 배영시 배면자세로 스타트하여 돌핀킥을 차며 나아가고 배영에 서 평영으로 갈땐 평영 물속 스타트 자세인 1킥 1스트록으로 나아간다. 평영에서 자유형으로 갈 때에는 양손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고 자유형으로 마무리 한다.
혼계영 경기종목 규칙
혼계영 순서는 배영 평영 접영 자유형 순서대로 가며 경기규칙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고 반드시
터치 후에 다음 선수가 영법을 하며 나아가야 합니다.
4. 수영 경기방법
심판장 1명 스타터 2명 기록주임 1명 부정출발 로프담당 1명 영법심판 1명 반환 심판 주임 2명 소집원 1명 아나운서1명 자동심판계를 사용하는데 없으면 계시주임1명 1레인당 계시원 3명 그리고 추가 2명 의 계시원 이 있어야 합니다.
반환심판주임1명
영법심판2명
반환심판1명
1 레 인
착순심판 주임1명
반환심판1명
2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3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4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5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6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7 레 인
착순심판1명
반환심판1명
8 레 인
착순심판1명
영법심판 2명 부정출발로프담당 1명 심판장 1명
기록주임 기록원
소집원2명
선수대기실
스타터는 심판장이 호각을 2번불면 선수들은 옷을벗고 스타트대에 서야합니다.
심판장이 다시한번 호각을 1회 길게 불면 선수들은 스타트대 위에 올라 서야합니다.
모든 선수들이 스타트대 위에 올라서 대기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심판장은 한손을 뻗어 준비가 다 되었다는 사인을 보내고 스타터 차렷이라는 구호로 준비 시킨뒤 2~4초후 부저 혹은 총을 이용해 신호를 보내게되고 선수들의 경영이 시작됩니다.
자유형과 평영 접영은 스타트에서 출발하게 되고 배영과 혼계영400m는 물속에서 스타트하여 출발하게 됩니다.
기록 주임은 수영 참가신청서를 확인하여 참가 선수들의 경기 전 12개월 동안 세운 시합 최고기록을 참고로 하여 예선경기의 조 배정을 하게 됩니다. 기록을 제출하지 않는 선수는 가장 느린 것으로 간주하며 가장 첫 조에 배정을 하게 됩니다. 예선이 한 조일 때에는 결승과 같이 배정하며 결승기간에 시합이 행해집니다. 제일 빠른 선수 일수록 마지막 조에 배정이 되고 기록이 느린 선수들은 1조에서 느린 선수들끼리 예선을 하게 됩니다.
예선에서 2위는 5레인 예선 3위는 3레인 4위는 6레인 5위는 2레인 7위는 1레인 8위는 8레인으로 배정 합니다. 결승경기에서 예선경기가 없을 때 레인 배정은 신청서의 기록에 따라 이루어 지게 됩니다. 예선경기가 있게 될 때는 예선경기의 기록을 근거하여 배정합니다.
5. 참고자료
처음읽는 수영 세계사 - 에릭살린
2015년도 FINA 시설 규정집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 수영 -체육인재육성재단
실전수영 - 저자 이병두
서울특별시 수영연맹 홈페이지
http://www.absolutechinatours.com 고대중국수영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