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위암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4개 과정2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위암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4개 과정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에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PCA 사용방법과 부작용을 1가지 이상 말한다.
대상자는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V/S 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V/S는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는 기본적인 자료로 통증은 자율신경계의 영향으로 인한 활력징후의 변화를 초래한다.
통증 부위, 양상을 확인하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PCA 작동법을 교육하여 처방된 범위 안에서 대상자 스스로 통증 관리할 수 있다.
적용된 IV-PCA 사용법과 부작용을 교육한다.
체계적인 통증 사정과 기록은 통증 치료 계획에 방향을 제시해준다.
대상자에게 전환, 호흡법, 이완 요법 등 비약물 통증 완화법을 교육한다.
인지-행동요법을 통해 대상자의 자기조절, 자기효능, 자가 간호에 적극적인 참여 감각을 회복할 수 있다.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다.
통증에 대해 대상자가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보고는 유일하고도 가장 신뢰할 만한 통증의 지표로 간주한다.
Implementation
통증이 나타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7/6
BP
PR
BT
RR
6:00
120/80
70
36.6
16
10:00
128/71
69
36.7
19
14:00
131/81
72
36.7
20
18:00
124/82
70
36.8
19
22:00
110/80
69
36.5
18
2. 통증 부위, 양상을 확인하고 V/S 측정 시 NRS로 통증 정도를 사정하였다.
▶ 통증 부위: 수술 부위
▶ 통증 양상: 당기는 듯한 욱씬거리는 통증
10:00
14:00
18:00
22:00
6
6
5
4

3. 적용된 IV-PCA의 버튼 기능과 용량을 설명하고, 약물 주입 후 15분 이전에는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오심, 구토, 어지러움, 가려움 등 IV-PCA의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알려줄 것을 교육하였다.
4. 통증이 완화되는 편안한 자세를 찾도록 한 후 시도해보도록 교육했다.
통증이 있을 때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천천히 내쉬는 심호흡 방법을 교육하였다.
5. 대상자가 통증에 대해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2) 간호과정 기록지
# 2. Nursing Diagnosis: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 7월 3일)
Subjective Data
“수술하다가 잘못되면 어떡하죠?”
“수술했는데 통증은 언제 괜찮아져요?”
“퇴원하고 다시 아프면 어떡해요.”
Objective Data
수술 전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위축된 모습을 관찰함
수술 후 불안해하고 경직된 표정과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을 관찰함
수술 동의서 받는 과정에서 울음 보임.
기분&정동 상태 관찰 중 우울증상 보임.
7/6 BAI(Beck 불안척도) 27점
Assessment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Nursing Plan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BAI(Beck 불안척도) 7점 이하가 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 불안함에 대해 말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 치료 계획과 예후에 관한 내용 2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BAI와 V/S로 불안 수준과 불안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사정한다.
사용하기 가장 쉽고 불안 측정을 정확히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불안은 신체 징후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간단한 언어, 설명을 사용하여 대상자와 관련된 수술, 치료, 예상되는 불편감을 알려주고 대처 방법을 교육한다.
수술, 치료, 불편감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은 수술에 대한 불안 감소와 합병증의 예방법을 인지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자의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가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불안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이 도모되고 안위를 증진한다.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Implementation
1.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사정하기 위해 매일 V/S 을 측정하였다.
V/S 과 함께 Beck 불안척도 검사를 하였다.
2. 의학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조용하고 느린 말투로 대상자가 시행하는 수술과정, 수술 후 합병증, 수술결과, 현재 상태를 설명하였다.
장운동 회복 후 식사 시 조기 포만감이 나타나면 식사와 함께하는 물의 양을 줄이고, 천천히 먹도록 교육하였다.
수술 후 절개부위 당김을 줄이기 위해 기침 전 손이나 수전으로 지지하도록 교육하였다.
숨쉬기 힘든 경우 반앉은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최소한 2시간마다 자세를 변경하도록 교육하였다.
식후 구토, 허약감 증가, 까만 변, 지속적 설사가 나오는 경우 즉시 보고하여 조기 발견을 통해 빠르게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하였다.
3. 대상자가 불안을 말로 표현할 때 경청하였으며 긍정적인 면으로 피드백을 해주었다.
4. 병실을 어둡게 하거나 커튼으로 사생활을 보호하고, 음악 감상을 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참고문헌
1. 2019년_국가암등록통계_참고자료, 보건복지부 p2~28
2.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397~403
3.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p281~349
4. 내가 알고 싶은 암, 위암,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3/cancer/view.do?cancer_seq=4661
5. 건강정보, 종양표지자 검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6. 드러그인포 https://total.druginfo.co.kr/Pharmacy/Introduction/MAINBOARD.aspx?type=MAIN&ckey=BITHOSPITALINFO&key=11289999

키워드

7간호,   케이스,   실습,   스터디,   학점a+,   case,   Gaster,   Cancer,   항암
  • 가격2,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3.05.03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