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난소낭종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4개 과정1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난소낭종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4개 과정1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tive lung lesion
복강경 수술을 위해 수술 전 시행한 것으로 폐의 이상 없음을 의미한다.
결과해석
정상
CA-125
(ROMA)
10/6
결과
CA-125(ROMA)
태아성암항원 CEA : 1.1 (0~35)
참고치 : 성인(비흡연) ≤ 3.8
(흡연) ≤ 5.5
HE4 (ROMA)
CA-125는 고분자 당단백으로 난소암 및 자궁내막암 등의 부인과계 암에서 증가한다. 선별검사로는 가치가 떨어지나, 자궁내막암의 예후 결정 및 난소암의 크기, 병기 및 생존율과 연관이 있다.
결과해석
positive (+) 양성
7) 간호진단 목록
NO
간호진단(....으로 인한 ~~ 관련된 간호진단)
우선순위
1
수술 후 혈액손실과 관련한 빈혈
1
2
Ambulation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2
3
계속된 부인과 수술과 관련된 불안
3
4
부적절한 식습관과 관련된 비효과적 자가 건강관리
4
8) 간호과정 적용
Nsg. Dx: 수술 후 혈액손실과 관련한 빈혈 ( 11월 9일)
주관적 자료
(Subjectve Data)
“피가 많이 나오는데 괜찮은 건가요?”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11/8 Laparoscopic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실시함.
11/8 20:00 생리대 중형 2/3 pad count.
11/8 23:00 생리대 1/2 pad count.
11/9 06:00 생리대 1개 scanty하게 젖음
11/9 혈액검사 : RBC 3.93▼, Hb 10.8▼, Hct 33.9▼
11/7일부터 NPO중
간호목표(Goal)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 뒤 Hb수치가 12g/dl까지 증가한다.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빈혈과 관련된 증상(피로, 어지러움, 두통, 창백, 갈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Expected outcomes)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질 출혈이 멈출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철분제제 필요성과 단백질이 높은 식이의 중요성에 대해 말로 설명할 것이다.
간호계획(Plan)
간호수행(Intervention)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중요한 지표이다.
2. 빈혈 증상을 평가하고 혈액학적 검사를 검토한다.
[이론적 근거]
혈액검사는 빈혈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3. 출혈량과 패드 개수 및 양상을 세밀하게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패드를 관찰함으로써 출혈의 유무와 혈액의 손실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4. I/O를 체크한다.
[이론적 근거]
패드를 관찰함으로써 출혈의 유무와 혈액의 손실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I/O 측정은 순환 혈액량, 체액 이동과 관련된 체액균형을 파악할 수 있다.
5. 처방에 따라 수액요법 및 혈액 보충을 한다.
[이론적 근거]
출혈이 있거나 체액이 부족할 시 수액요법이나 혈액공급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확보한 정맥로를 유지하도록 한다.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적혈구 재생성과 관련되어 철분제제의 복용과 철분과 단백질이 높은 식이 섭취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철분 섭취 증가가 필요한 이유는 증가된 적혈구에 헤모글로빈을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비타민 C는 철분보충제의 흡수를 증가시키므로 식이에 자주 포함해야하며, 철분은 공복에 복용할 때 가장 흡수가 잘 된다.
7.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빈혈과 피로가 있을 시 자가간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출혈과 관련된 빈혈과 피로가 있는 대상자는 며칠 동안은 자가 간호를 해야 하며 거동 시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1. 활력징후가 안정될 때까지 15분 간격으로 측정하고 이후 적어도 48시간까지는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 피로, 창백, 두통, 갈증 등의 쇼크증상에 대해 사정하였다.
혈액검사를 통해 RBC, Hb, Hct, MPV, MCH, Pct 등의 빈혈을 나타낼 수 있는 수치를 확인하였다. (11/9)
3. 패드의 무게를 1cc=1mg으로 환산하여 측정하고 혈액의 색깔, 점도, 양을 사정하였다.
드레싱과 절개부위를 사정하였다.
4.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수액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11/9)
5. 저혈량성 쇼크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16~18게이지의 혈관 카테터를 이용하여 정맥 주입로를 확보하였고,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상 유지되도록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혈액순환을 자극하기 위해 이상이 자유로울 때까지 2~4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다리운동을 하도록 격려하였다.(11/9)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철분제와 식이 요법에 대해 교육함.
철분제를 복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를 교육함.
비타민C와 같이 섭취하고, 공복에 복용하도록 교육함. (11/9)
7. 병동 내에서 빈혈 혹은 피로로 인해 거동이 불편할 때 콜벨을 누르도록 교육함.
샤워가 가능한 대상자는 샤워 의자를 사용하여 샤워하도록 교육실시함.
피로감으로 인해 퇴원 후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휴식에 관련된 교육실시 함. (11/9)
평가
(Evaluation)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철분제제 필요성과 단백질이 높은 식이의 중요성에 대해 말로 설명하였다.(11/10) →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질 출혈이 멎었다. (11/10) →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1주 뒤 Hb수치가 12g/dl로 측정되었다. (11/14)
→ 현재 11/10일 장기목표 미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빈혈과 관련된 증상인 피로, 어지러움, 두통, 창백, 갈증이 나타나지 않았다.
→ 현재 11/10일 장기목표 미달성
9) 참고문헌
박영주 외 공저(2021)「여성건강간호학 제5판」, 현문사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여성건강간호학 제7판」,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1
대한초음파의학회
https://www.ultrasound.or.kr/education/info.php?ca=4
약학정보원

키워드

0간호,   실습,   학점,   case,   A+,   부인과,   난소,   낭종,   여성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5.03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