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노인간호 간호과정A+받은 과제 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간호학,노인간호 간호과정A+받은 과제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 뇌출혈과 관련된 두개내압 조절력 감소
#2 머리 내 출혈과 관련된 급성 혼돈
#3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4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5 억제대 적용부위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본문내용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불안 시 스스로 대처 전략을 사용한다.
2. 대상자는 1일 이내에 불안을 호소하는 횟수가 줄어든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신체적 반응, 말, 표정, 태도를 사정한다.(빈맥, 빈호흡, 비언어적 불안표현 등)
2. 과거 환자가 사용했던 대처기전을 사정한다.
3. 4시간마다 Beck의 불안척도를 이용하여 불안의 정도를 측정한다.
4. 4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5. 1일마다 대상자가 불안을 호소하는 횟수를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의 걱정에 대해 경청하며 신체적,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2. 과도한 환경자극을 줄이고 조용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지시적 심상요법, 근육이완, 명상과 같은 이완 요법을 사용하도록 도와준다.
4. 중증의 불안시기 동안은 환자와 함께 있어준다.
5. 치료시마다 치료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6. 대상자가 불안에 대하여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교육적 계획
1. 불안 시 대처전략을 사용하도록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수면을 돕는 방법을 교육한다.
3. 가족들에게 대상자를 이해하고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4 언제든지 간호사를 부를 수 있도록 콜벨의 위치를 설명한다.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4
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간 호 계 획
장기목표
입원기간동안 대상자는 충분한 음식 섭취량을 유지하여 영양부족 없이 정상적으로 회복하여 퇴원한다.
단기목표
1. 2일 안에 대상자는 식욕이 나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2. 2일 안에 대상자의 음식 섭취량이 증가했다는 근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대상자의 음식 섭취량을 확인한다.
3.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변화를 확인한다.
4. 혈액검사를 시행하고 대상자의 알부민, 총단백질 수치를 확인한다.
치료적 계획
5. 식사 시간에 식사를 증진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6. 대상자에게 영양가 높고 소화, 저작이 쉬운 부드러운 음식을 제공한다.
7. 한 번에 많이 먹기보다는 조금씩 자주 먹도록 격려한다.
8. 대상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좋아하는 음식 종류를 섭취하도록 제공 및 격려한다.
9. 대상자의 구강 간호를 시행한다.
10. 식전에 대상자의 통증 조절 및 안위를 증진하도록 돕는다.
11. 대상자에게 충분한 영양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을경우 비경구 영양법에 대해 고려한다.
교육적 계획
12. 대상자에게 영양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5
진단
억제대 적용 부위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간 호 계 획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대상자의 피부가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된다.
단기목표
1. 2일 이내에 대상자에게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2. 3일 이내에 억제대 적용 부위에 발적, 부종이 발생하지 않는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며 뼈 돌출부와 압박 부위 피부를 중심으로 사정한다. (매일 피부 습기 정도, 피부 손상, 부종, 피부 온동, 탄력성 등을 사정한다.)
2. 1일 마다 Braden scale을 사용하여 욕창 위험도를 평가한다.
3. 1일 마다 대상자의 피부 청결도를 관찰한다.
4. 매일 대상자의 피부 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5. 손상 원위부의 맥박, 감각, 움직임 등 상태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해준다.
2. 환자의 몸이 축축하거나 환의가 젖을 경우 자주 건조시키고 환복시킨다.
3. 뼈 돌출부위 등 압력이 많이 가해지는 부위에 패드를 덧대어 준다.
4. 병원식을 잘 먹을 수 있도록 하며 충분한 영양을 공급한다.
5. 가능한 손상된 우측 다리는 거상한다.
6. 대상자를 움직이기 전 골절 부위는 반드시 고정한다.
7. 손상 부위를 볼 수 있도록 필요 시 옷을 제거한다.
교육적 계획
1.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한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손상 위험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3.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의복, 린넨을 건조하고 주름이 없도록 할 것을 교육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톱을 짧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5. 참고문헌
(1) 간호진단 길숙영, 군자출판사
(2)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박금주 외 공저, 계축문화사
(3)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4) 노인간호학 한국노인간호학회, 현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5.15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7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