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유아의 놀이지도 시 교사의 역할과 놀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상호작용의 기본 원리
3.
결론
서론
2.
본론
(1) 영유아의 놀이지도 시 교사의 역할과 놀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상호작용의 기본 원리
3.
결론
본문내용
설명, 정보 제공, 기다려 주기가 있다.
단순질문은 간단한 단답형 질문이고, 복잡한 질문은 대상의 속성, 기능 등에 대한 질문이고, 개방적 질문은 유아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유아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는 불특정적인 질문이다. 폐쇄적 질문은 이와 반대로 긍정 또는 부정의 답이 있는 질문이다.
제안은 영유아의 의도 및 행동에 있어서 어떤 것을 제안하여 대화하는 것이고, 인정과 격려는 영유아의 발화를 긍정하며 인정하고 격려하는 것이다. 확장은 영유아의 말에 다른 말을 덧붙여서 말해주는 것이고, 반복은 영유아의 말의 일부 혹은 전부를 반복해서 말해주는 것이다.
바르게 말해주기는 영유아가 틀리거나 분명하지 않게 알고 있는 것을 올바르게 정정하여 말해주는 것이고, 명칭 말해주기는 사물 또는 대상의 이름을 알려주는 것이고, 설명은 책의 내용, 상황, 사물에 대하여 설명해주는 것이고, 정보 제공은 영유아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영유아에게 질문한 것과 관계된 정보를 제공하거니 활동의 확장을 위해 제안하는 것이다. 기다려 주기는 영유아에게 질문을 한 후 유아의 반응을 기다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기본 원리와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 방법을 잘 활용하고 알맞게 적용하여야만 영유아의 놀이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중, 유아의 컨디션을 잘 고려하여 폐쇄적 질문보다는 개방적 질문을, 단순 질문보다는 복잡한 질문을 사용하면 유아의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사고력의 발달은 놀이의 발달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또, 정보 제공, 확장, 제안, 인정과 격려, 설명 등은 영유아의 놀이를 발전시키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3. 결론
영유아를 지도하고 교육을 책임지는 교사로서, 위 내용에서 살펴본 사항들을 다시 꼼꼼히 공부하고 완전히 내면화하여 영유아의 놀이발달에 최대한 기여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더 하게 되었다. 영유아의 놀이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의 놀이발달을 위해 교사가 적절한 상황 판단 하에 개입하고 지도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였다.
[참고문헌]
1. 이윤경, 김여경, 『교사-아동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2. 유미현, 이경님,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학업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학교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단순질문은 간단한 단답형 질문이고, 복잡한 질문은 대상의 속성, 기능 등에 대한 질문이고, 개방적 질문은 유아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유아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는 불특정적인 질문이다. 폐쇄적 질문은 이와 반대로 긍정 또는 부정의 답이 있는 질문이다.
제안은 영유아의 의도 및 행동에 있어서 어떤 것을 제안하여 대화하는 것이고, 인정과 격려는 영유아의 발화를 긍정하며 인정하고 격려하는 것이다. 확장은 영유아의 말에 다른 말을 덧붙여서 말해주는 것이고, 반복은 영유아의 말의 일부 혹은 전부를 반복해서 말해주는 것이다.
바르게 말해주기는 영유아가 틀리거나 분명하지 않게 알고 있는 것을 올바르게 정정하여 말해주는 것이고, 명칭 말해주기는 사물 또는 대상의 이름을 알려주는 것이고, 설명은 책의 내용, 상황, 사물에 대하여 설명해주는 것이고, 정보 제공은 영유아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영유아에게 질문한 것과 관계된 정보를 제공하거니 활동의 확장을 위해 제안하는 것이다. 기다려 주기는 영유아에게 질문을 한 후 유아의 반응을 기다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기본 원리와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 방법을 잘 활용하고 알맞게 적용하여야만 영유아의 놀이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중, 유아의 컨디션을 잘 고려하여 폐쇄적 질문보다는 개방적 질문을, 단순 질문보다는 복잡한 질문을 사용하면 유아의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사고력의 발달은 놀이의 발달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또, 정보 제공, 확장, 제안, 인정과 격려, 설명 등은 영유아의 놀이를 발전시키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3. 결론
영유아를 지도하고 교육을 책임지는 교사로서, 위 내용에서 살펴본 사항들을 다시 꼼꼼히 공부하고 완전히 내면화하여 영유아의 놀이발달에 최대한 기여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더 하게 되었다. 영유아의 놀이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의 놀이발달을 위해 교사가 적절한 상황 판단 하에 개입하고 지도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였다.
[참고문헌]
1. 이윤경, 김여경, 『교사-아동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2. 유미현, 이경님,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학업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학교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추천자료
영아를 위한 교육환경과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의 구성원리와 영역별 특성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2020 유아교육론1E][기말시험] 1.표준화 검사도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사도구의 구성요소,...
영유아의 놀이지도 시 교사의 역할과 놀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상호작용의 기본원리를 설명...
유아교육론 기말] 1. 유아교육의 5가지 교수학습원리 약술, 각 교수학습원리 적용 예시 2. 유...
[영아발달 기말] 1. 영아발달의 6가지 기본원리, 영아발달의 핵심개념 10가지, 2. 영아의 발...
(영유아교수방법론 2학년) 1. 영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시 교...
유아교육학_1) 영아기, 걸음마기, 유아기의 실내놀이 환경 구성방법을 정리하여 설명하시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