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민족중심주의
2. 문화적 상대주의
3.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를 비교 설명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민족중심주의
2. 문화적 상대주의
3.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를 비교 설명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떤 사람이건 그가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문화의 논리와 방식을 취득하는 과정을 거쳐 사회화되고, 그 삶은 그가 습득한 문화의 논리와 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사물들과 현상들을 인지하고 이해하게 되는데 이때 그 사회의 문화와 다른 방식의 논리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현상이 나타나면 그것은 기존의 방식과 틀에 이해 \'거부\'되어 진다.
그러나 어떤 사회의 문화이던 문화는 절대불변의 진리의 방식이나 기준이 될 수 없다. 모든 문화현상은 각각이 특수한 환경 안에서 나름의 원인과 과정을 겪으면서 형성되었고, 그러한 바탕 위에 형성된 현상이나 사물을 인지하고 이해하려면, 현상과 사물이 나오게 된\'맥락\' 들을 관찰해야한다. \'다른 사람 입장에서 보는 것 \'을 문화적 차원으로 옮겨 \'다른 문화가 겪으며 형성되어 온 과정의 입장에 들어가서 보는 것 \'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대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그 대상을 이해하는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화가 함께 관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에서는 어떤 하나의 문화가 갖고 있는 논리와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모든 현상들을 규정하지 않고 각 현상들의 형성과정 및 배경과 환경들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그 현상을 이해하고, 그 문화 안에서 갖는 나름대로의 합리성을 발견하고 인정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를 비교 설명해 보았다. 문화상대주의에 의하면 인류학은 민족과학 (ethnoscience)일 수밖에 없다. 민족과학이란 \'진정한 문화는 문화 담당자들의 관념 속에 있다\'는 명제 아래 원주민들의 관점에서 민속지적 자료들을 작성하는 인류학의 한 기법이다. 따라서 민족과학에 의하면 문화의 과학적일반화는 불가능하고, 특정 문화의 서술과 해석의 작업만 할 수 있다.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 유형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특성과심성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 때문에 문화에 대한 일반화와 문화의 일반 이론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건옹, 『개념중심의 사회학』, 한올아카데미, 2006.
장한업. (2014).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교육과학사.
이윤희,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51권,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이윤희, 「문화정체성 형성 요인에 관한 논구」, 『한국사상과 문화』 50권,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그러나 어떤 사회의 문화이던 문화는 절대불변의 진리의 방식이나 기준이 될 수 없다. 모든 문화현상은 각각이 특수한 환경 안에서 나름의 원인과 과정을 겪으면서 형성되었고, 그러한 바탕 위에 형성된 현상이나 사물을 인지하고 이해하려면, 현상과 사물이 나오게 된\'맥락\' 들을 관찰해야한다. \'다른 사람 입장에서 보는 것 \'을 문화적 차원으로 옮겨 \'다른 문화가 겪으며 형성되어 온 과정의 입장에 들어가서 보는 것 \'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대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그 대상을 이해하는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화가 함께 관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에서는 어떤 하나의 문화가 갖고 있는 논리와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모든 현상들을 규정하지 않고 각 현상들의 형성과정 및 배경과 환경들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그 현상을 이해하고, 그 문화 안에서 갖는 나름대로의 합리성을 발견하고 인정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를 비교 설명해 보았다. 문화상대주의에 의하면 인류학은 민족과학 (ethnoscience)일 수밖에 없다. 민족과학이란 \'진정한 문화는 문화 담당자들의 관념 속에 있다\'는 명제 아래 원주민들의 관점에서 민속지적 자료들을 작성하는 인류학의 한 기법이다. 따라서 민족과학에 의하면 문화의 과학적일반화는 불가능하고, 특정 문화의 서술과 해석의 작업만 할 수 있다.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 유형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특성과심성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 때문에 문화에 대한 일반화와 문화의 일반 이론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건옹, 『개념중심의 사회학』, 한올아카데미, 2006.
장한업. (2014).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교육과학사.
이윤희,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51권,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이윤희, 「문화정체성 형성 요인에 관한 논구」, 『한국사상과 문화』 50권,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