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올려 주었다.
4. 간호수행 10분 후 다시 통증 척도를 물어보았다.
5. 환부에 ice pack을 적용하였다.
평가
ㆍ대상자는 간호수행 후“많이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NRS 점수: 1점
우선순위 #1. 급성통증
우선순위 #2. 부종
사정
주관적 자료
“ 여기 좀 부은 것 같아요. 혹시 뼈가 부러졌나?”
객관적 자료
정상 쪽 다리와 비교하여 시진해 보니 왼쪽 다리의 환부가 약간 비대해진 양상이 관찰되었다.(울혈, 종창)
환부를 촉진하니 단단하고 넓게 부어있으며, 냉감이 느껴진다.
진단
혈관손상과 관련된 부종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간 ice pac을 환부에 꾸준히 적용하는 습관을 들인다.
ㆍ장기목표 : 일주일 이내에 부종이 관찰되지 않는다.
1. 대상자의 환부 밑에 베개를 대어 다리를 위로 올린다.
2. 대상자의 환부를 냉각시킨다.
3. 다리의 자세를 고정시킨다.
이론적 근거
①, ②, ③ 울혈과 종창을 완화시키기 위해 혈액순환을 돕는다.
수행
1. 대상자의 환부 밑에 베개를 대어 다리를 흉부보다 위로 올려주었다.
2. 대상자의 환부에 ice pack을 적용하였다.
3. 대상자의 환부에 splint를 적용하는 것을 도왔다.
평가
ㆍ적용 3일 후 울혈과 종창이 완화되었다.
우선순위 #3. 불안
사정
주관적 자료
“저 다리가 느낌도 이상하고 아프기도 너무 아픈데, 혹시 잘못되는거 아니에요?”
“다리가 허여멀건해서 무서워”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안절부절하며 불안한 감정을 보이는 것이 관찰된다.
계속해서 자신의 환부를 살피며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진단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 대상자는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납득하며 앞으로 수행할 치료를 차분히 기다리는 모습을 보인다.
ㆍ장기목표 : 3일 이내에 자신이 잘 회복하고 퇴원할 것을 기대하며 환부에 대해 더 이상 걱정하지 않는다.
1. 대상자의 호소에 경청하는 모습을 보인다(눈맞춤, 고개 끄덕임).
2. 대상자의 손을 잡아 불안완화를 시켜 준다.
3. 진정제를 투약한다.(통증과 불안 완화를 같이 적용하는 morphine)
4. 입원이유, 진단검사와 행해진 치료에 관해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5. 가능한 한 자주 가족 구성원들이 대상자와 접촉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① 의료진이 대상자의 말을 경청함으로써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② 손을 잡는 행위는 온기를 전달하는 행위로써 안정감을 줄 수 있다.
③ 불안이 심하다면 진정제를 투여하여 치료에 잘 협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④ 대상자 본인이 치료의 과정을 들으며 같이 치료에 참여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⑤ 불안한 대상자에게는 가장 편한 보호자가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안심할 수 있다.
수행
1. 대상자와 눈을 맞추며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대화하였다.
2. 대상자의 손을 약하지 않게 잡아주어 불안완화를 해 주었다.
3. 진정제를 투약하였다.
4. 대상자에게 입원이유, 진단검사와 행해진 치료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하였다.
5.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가능한 한 자주 가족 구성원들이 대상자와 접촉할 것을 격려하였다.
평가
ㆍ대상자는 수행 후 더 이상 불안증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호자와 편안히 대화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우선순위 #4.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여기 느낌이 좀 이상해요”
객관적 자료
환부가 축 늘어진 모습을 보인다(족하수)
진단
골절부위의 연조직 손상과 관련된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다리의 기능에 이상이 오지 않도록 대상자가 자신의 자세(벌어짐, 외번)를 주의한다.
ㆍ장기목표: 환부가 잘 고정이 되어 3일 내에 신경의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다.
1. 환부 아래에 쿠션을 삽입하여 비골 두부를 띄운다.
2. spint(부목)를 대어 준다.
이론적 근거
① 침상 위의 누운 자세에서는 종아리가 벌어져 비골신경이 압박받기 쉬우므로 지지를 해 주어 비골신경마비를 방지한다.
② spint(부목)는 연조직 신경혈관의 손상을 방지해 준다.
수행
1. 대상자의 환부 아래에 쿠션을 삽입하여 비골 두부를 띄워주었다.
2. 대상자의 환부에 부목을 대어 주었다.
평가
ㆍ적용 3일 후 울혈과 종창이 완화되었다.
우선순위 #5. 낙상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낙상위험점수 18점(15점부터 고위험군)
진단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대상자와 보호자가 낙상 예방 원칙을 잘 숙지한다.
ㆍ장기목표: 대상자가 퇴원할 때까지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1. 침상의 side rail을 올려 준다.
2.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품은 반드시 대상자의 손에 닿는 곳에 둔다.
3. 대상자는 휠체어를 타거나 내릴 때 바퀴를 고정시킨 후 행동한다.
이론적 근거
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침대의 side rail이 없다면 뒤척이거나 이동할 때 지지해줄 것이 없어 낙상할 수 있다.
②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이 멀리 있다면 대상자는 그것을 잡기 위해 체위를 변경하다 낙상할 위험이 있다.
③ 휠체어가 고정되어있지 않으면 대상자가 타거나 내릴 때 바퀴가 미끄러져 낙상 사고가 있을 수 있다.
수행
1. 대상자 침상의 side rail을 올려 주었다.
2.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품은 반드시 대상자의 손에 닿는 곳에 두도록 격려하였다.
3. 대상자는 휠체어를 타거나 내릴 때 바퀴를 고정시킨 후 행동하도록 보호자와 환자에게 격려하였다.
평가
ㆍ대상자는 병원에 있는 동안 낙상 없이 잘 치료하였다.
참고문헌
- 이성호 외(2015). 인체해부학 제 6판. 현문사. p.125-130
- 조경숙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하권 제6판. 현문사. p,293-407
- 왕명자 외 공저(2012), 건강사정. 현문사. p.489-519
- 원종순 외 공저(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p,199-299
- Medic Media(2013), for nurse REVIEW BOOK, 도서출판 의학서원
- JUdith M. wilkinson(2008), 간호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4. 간호수행 10분 후 다시 통증 척도를 물어보았다.
5. 환부에 ice pack을 적용하였다.
평가
ㆍ대상자는 간호수행 후“많이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NRS 점수: 1점
우선순위 #1. 급성통증
우선순위 #2. 부종
사정
주관적 자료
“ 여기 좀 부은 것 같아요. 혹시 뼈가 부러졌나?”
객관적 자료
정상 쪽 다리와 비교하여 시진해 보니 왼쪽 다리의 환부가 약간 비대해진 양상이 관찰되었다.(울혈, 종창)
환부를 촉진하니 단단하고 넓게 부어있으며, 냉감이 느껴진다.
진단
혈관손상과 관련된 부종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간 ice pac을 환부에 꾸준히 적용하는 습관을 들인다.
ㆍ장기목표 : 일주일 이내에 부종이 관찰되지 않는다.
1. 대상자의 환부 밑에 베개를 대어 다리를 위로 올린다.
2. 대상자의 환부를 냉각시킨다.
3. 다리의 자세를 고정시킨다.
이론적 근거
①, ②, ③ 울혈과 종창을 완화시키기 위해 혈액순환을 돕는다.
수행
1. 대상자의 환부 밑에 베개를 대어 다리를 흉부보다 위로 올려주었다.
2. 대상자의 환부에 ice pack을 적용하였다.
3. 대상자의 환부에 splint를 적용하는 것을 도왔다.
평가
ㆍ적용 3일 후 울혈과 종창이 완화되었다.
우선순위 #3. 불안
사정
주관적 자료
“저 다리가 느낌도 이상하고 아프기도 너무 아픈데, 혹시 잘못되는거 아니에요?”
“다리가 허여멀건해서 무서워”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안절부절하며 불안한 감정을 보이는 것이 관찰된다.
계속해서 자신의 환부를 살피며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진단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 대상자는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납득하며 앞으로 수행할 치료를 차분히 기다리는 모습을 보인다.
ㆍ장기목표 : 3일 이내에 자신이 잘 회복하고 퇴원할 것을 기대하며 환부에 대해 더 이상 걱정하지 않는다.
1. 대상자의 호소에 경청하는 모습을 보인다(눈맞춤, 고개 끄덕임).
2. 대상자의 손을 잡아 불안완화를 시켜 준다.
3. 진정제를 투약한다.(통증과 불안 완화를 같이 적용하는 morphine)
4. 입원이유, 진단검사와 행해진 치료에 관해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5. 가능한 한 자주 가족 구성원들이 대상자와 접촉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① 의료진이 대상자의 말을 경청함으로써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② 손을 잡는 행위는 온기를 전달하는 행위로써 안정감을 줄 수 있다.
③ 불안이 심하다면 진정제를 투여하여 치료에 잘 협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④ 대상자 본인이 치료의 과정을 들으며 같이 치료에 참여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⑤ 불안한 대상자에게는 가장 편한 보호자가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안심할 수 있다.
수행
1. 대상자와 눈을 맞추며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대화하였다.
2. 대상자의 손을 약하지 않게 잡아주어 불안완화를 해 주었다.
3. 진정제를 투약하였다.
4. 대상자에게 입원이유, 진단검사와 행해진 치료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하였다.
5.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가능한 한 자주 가족 구성원들이 대상자와 접촉할 것을 격려하였다.
평가
ㆍ대상자는 수행 후 더 이상 불안증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호자와 편안히 대화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우선순위 #4.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여기 느낌이 좀 이상해요”
객관적 자료
환부가 축 늘어진 모습을 보인다(족하수)
진단
골절부위의 연조직 손상과 관련된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다리의 기능에 이상이 오지 않도록 대상자가 자신의 자세(벌어짐, 외번)를 주의한다.
ㆍ장기목표: 환부가 잘 고정이 되어 3일 내에 신경의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다.
1. 환부 아래에 쿠션을 삽입하여 비골 두부를 띄운다.
2. spint(부목)를 대어 준다.
이론적 근거
① 침상 위의 누운 자세에서는 종아리가 벌어져 비골신경이 압박받기 쉬우므로 지지를 해 주어 비골신경마비를 방지한다.
② spint(부목)는 연조직 신경혈관의 손상을 방지해 준다.
수행
1. 대상자의 환부 아래에 쿠션을 삽입하여 비골 두부를 띄워주었다.
2. 대상자의 환부에 부목을 대어 주었다.
평가
ㆍ적용 3일 후 울혈과 종창이 완화되었다.
우선순위 #5. 낙상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낙상위험점수 18점(15점부터 고위험군)
진단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목표&
계획
ㆍ단기목표: 대상자와 보호자가 낙상 예방 원칙을 잘 숙지한다.
ㆍ장기목표: 대상자가 퇴원할 때까지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1. 침상의 side rail을 올려 준다.
2.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품은 반드시 대상자의 손에 닿는 곳에 둔다.
3. 대상자는 휠체어를 타거나 내릴 때 바퀴를 고정시킨 후 행동한다.
이론적 근거
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침대의 side rail이 없다면 뒤척이거나 이동할 때 지지해줄 것이 없어 낙상할 수 있다.
②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이 멀리 있다면 대상자는 그것을 잡기 위해 체위를 변경하다 낙상할 위험이 있다.
③ 휠체어가 고정되어있지 않으면 대상자가 타거나 내릴 때 바퀴가 미끄러져 낙상 사고가 있을 수 있다.
수행
1. 대상자 침상의 side rail을 올려 주었다.
2.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품은 반드시 대상자의 손에 닿는 곳에 두도록 격려하였다.
3. 대상자는 휠체어를 타거나 내릴 때 바퀴를 고정시킨 후 행동하도록 보호자와 환자에게 격려하였다.
평가
ㆍ대상자는 병원에 있는 동안 낙상 없이 잘 치료하였다.
참고문헌
- 이성호 외(2015). 인체해부학 제 6판. 현문사. p.125-130
- 조경숙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하권 제6판. 현문사. p,293-407
- 왕명자 외 공저(2012), 건강사정. 현문사. p.489-519
- 원종순 외 공저(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p,199-299
- Medic Media(2013), for nurse REVIEW BOOK, 도서출판 의학서원
- JUdith M. wilkinson(2008), 간호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추천자료
(A+) 골절 케이스 스터디 Fracture case study
[외과 실습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골절 (Fracture) 개방성 경골, 비골 골절(T...
정형외과 골반질환손상 골반구조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acetabulum F...
성인 정형외과 되퇴골두 무혈성괴사(ONFH) 간호진단 (컨퍼 완성본)
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늑골골절, 다발성 골절, 폐쇄성 골절, ...
Fracture 골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성인간호학A++] 신경외과 NS SDH,경막하출혈 CASE STUDY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 3개 총41페이지
[A+]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olles fracture,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
[A+]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myocadial infaction,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A+자료입니다)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실습, 골관절염 케이스, 골관절염 간호과정, 골관절염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