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
2. 사례 분석
1) 등장 배경
2) 문화의 주체와 속성
3) 참여가 이루어진 방식과 특성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
2. 사례 분석
1) 등장 배경
2) 문화의 주체와 속성
3) 참여가 이루어진 방식과 특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터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평가받을 수 있고 또한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킹은 문화의 주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중들이 문화와 예술 활동을 가까운 거리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버스킹은 비주류 음악인들 또는 저항 세력의 음악적 소통 창구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주류문화로 거듭나고 있다. 무엇보다 버스킹은 자발적 참여의 문화라는 점에서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새로운 형태로 표출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버스킹은 자발적 참여 문화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새로운 대중문화의 유형으로 거듭난 버스킹이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지속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 김창남, 최영묵, 정준영(2018). 대중문화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유다정, 김지윤, 신하람 외 1명(2016). 홍대 앞 버스킹 문제 해소를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5권제3호, pp. 187-202
- 조장원(2018). 우리 주변에서 부상하는 버스킹의 현장: 그 실태와 가치 부상의 가능성 연구. 음악과문화 제37호, pp. 5-32
참고문헌
- 김창남, 최영묵, 정준영(2018). 대중문화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유다정, 김지윤, 신하람 외 1명(2016). 홍대 앞 버스킹 문제 해소를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5권제3호, pp. 187-202
- 조장원(2018). 우리 주변에서 부상하는 버스킹의 현장: 그 실태와 가치 부상의 가능성 연구. 음악과문화 제37호, pp. 5-32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1)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
2023년 1학기 대중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
2023년 1학기 대중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대중문화의이해 중간과제물)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대중문화의 이해 1학년)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
대중문화의 이해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참여의 새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