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25점)
2.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25점)
1) 전통시대 여러 의례 생활
2) 내가 조선시대 가장이라고 가정하고,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들
3. 참고문헌
2.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25점)
1) 전통시대 여러 의례 생활
2) 내가 조선시대 가장이라고 가정하고,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지만 삼신할머니께 치성을 드리는 행위는 아들을 얻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시간이 지나 아내가 출산해 태교를 시작했다. 우리 부부는 아이를 순산하도록 삼신상을 차려 정성껏 빌었다. 해산을 할 때는 태를 자르는 방법이 중요하였다. 그리고 산후의례로 삼일, 한이레, 두이레, 세이레, 백일, 돌 등을 행하면서 산모와 아이의 부정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무병장수하기를 빌었다.
조선시대에는 영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고 한다. 따라서 배속의 아이가 무사하도록 삼신상을 차려 비는 것은 필요한 행위라고 생각된다.
조선시대 산후의례의 종류는 너무 많았다. 오늘날처럼 백일잔치, 돌잔치 정도만 있으면 되겠다고 생각된다.
(2) 관례
올해 내 아들이 성인이 되어 아들에게 상투를 틀고 관을 씌워주었다. 재작년에는 내 딸이 성인이 되어 머리를 올려 쪽을 지고 비녀를 꽂아 주었다. 전통사회에서의 성인식은 상투와 관, 비녀 등의 쓸데없는 허례의식이 많았다. 이는 필요 없다고 생각되고, 성인식은 부모가 자녀에게 성인에 맞는 책무를 가르쳐주고, 성인으로서 자부심을 부여해주면 된다고 생각된다.
(3) 혼례
조선시대 사람인 나는 반친영 방식으로 결혼했다. 나는 신부 집에서 혼인하고, 삼일 후 우리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아내는 따로 신부례 날을 정후 우리 집으로 와서 시부모님에게 폐백을 올리고 우리 집에서 같이 살고 있다. 조선시대 혼인은 너무 복잡하고, 허례허식이 많다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현대 우리사회의 결혼식도 너무 복잡하고 경제적인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비싼 결혼식장, 결혼축의금, 해외신혼여행 등의 쓸데없는 의례는 없애버리고 간편하고 소소한 결혼식으로 바뀌는 게 좋다는 게 나의 생각이다.
(4) 상장례
조선시대 가장인 나는 경주에서 일하고 있다. 그런데 얼마 전에 아버지께서 지병으로 돌아가셨다. 장례는 오일장으로 하기로 했다. 장례를 마치고 양지바른 곳에 묻어드렸다. 그리고 3년 동안 아버지의 묘 근처에 움막을 치고 밤낮으로 지키며 애모하였다.
조선시대는 유교주의 국가라 상장례가 너무 엄숙하고 복잡하고 까다롭다. 그 중에서도 3년상은 3년이 될 때까지는 부모님이 살아계시듯 효도를 해야 한다는 효사상이 반영된 것이다. 효도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3년 동안 다른 일은 제쳐두고 상복을 입고 무덤 앞만 지켜야 한다는 것은 너무 지나치다고 생각된다.
(5) 제례
조선시대 가장인 우리 집에서 지내는 제례 종류가 너무나 많다.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께 제사를 지내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설날과 추석에 제사를 지내고, 중삼절, 속절시식, 춘하추동, 사시제 등등 한 달에도 몇 가지 제례를 지내고 있다.
제사를 한 번 지내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제적 비용도 많이 든다. 조상에게 정성껏 제사를 지내는 게 아무리 중요하다고 하지만, 이렇게 많은 제사를 지내는 건 지나치다고 생각된다. 부모와 조부모까지 제사를 정성껏 지내고, 그 외에 설날과 추석에는 차례를 잘 지내는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3.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8).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생활예절연구회(2019). 가정의례백과(관혼상제). 매일출판.
김연희(2022). 傳統冠禮의 成人의 의미와 현대화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전정미(2012).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13권 3호.
김정규(2010). 朝鮮時代婚禮儀式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총용(2011). 韓·中 出産儀禮의 風俗 比較 硏究.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시간이 지나 아내가 출산해 태교를 시작했다. 우리 부부는 아이를 순산하도록 삼신상을 차려 정성껏 빌었다. 해산을 할 때는 태를 자르는 방법이 중요하였다. 그리고 산후의례로 삼일, 한이레, 두이레, 세이레, 백일, 돌 등을 행하면서 산모와 아이의 부정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무병장수하기를 빌었다.
조선시대에는 영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고 한다. 따라서 배속의 아이가 무사하도록 삼신상을 차려 비는 것은 필요한 행위라고 생각된다.
조선시대 산후의례의 종류는 너무 많았다. 오늘날처럼 백일잔치, 돌잔치 정도만 있으면 되겠다고 생각된다.
(2) 관례
올해 내 아들이 성인이 되어 아들에게 상투를 틀고 관을 씌워주었다. 재작년에는 내 딸이 성인이 되어 머리를 올려 쪽을 지고 비녀를 꽂아 주었다. 전통사회에서의 성인식은 상투와 관, 비녀 등의 쓸데없는 허례의식이 많았다. 이는 필요 없다고 생각되고, 성인식은 부모가 자녀에게 성인에 맞는 책무를 가르쳐주고, 성인으로서 자부심을 부여해주면 된다고 생각된다.
(3) 혼례
조선시대 사람인 나는 반친영 방식으로 결혼했다. 나는 신부 집에서 혼인하고, 삼일 후 우리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아내는 따로 신부례 날을 정후 우리 집으로 와서 시부모님에게 폐백을 올리고 우리 집에서 같이 살고 있다. 조선시대 혼인은 너무 복잡하고, 허례허식이 많다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현대 우리사회의 결혼식도 너무 복잡하고 경제적인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비싼 결혼식장, 결혼축의금, 해외신혼여행 등의 쓸데없는 의례는 없애버리고 간편하고 소소한 결혼식으로 바뀌는 게 좋다는 게 나의 생각이다.
(4) 상장례
조선시대 가장인 나는 경주에서 일하고 있다. 그런데 얼마 전에 아버지께서 지병으로 돌아가셨다. 장례는 오일장으로 하기로 했다. 장례를 마치고 양지바른 곳에 묻어드렸다. 그리고 3년 동안 아버지의 묘 근처에 움막을 치고 밤낮으로 지키며 애모하였다.
조선시대는 유교주의 국가라 상장례가 너무 엄숙하고 복잡하고 까다롭다. 그 중에서도 3년상은 3년이 될 때까지는 부모님이 살아계시듯 효도를 해야 한다는 효사상이 반영된 것이다. 효도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3년 동안 다른 일은 제쳐두고 상복을 입고 무덤 앞만 지켜야 한다는 것은 너무 지나치다고 생각된다.
(5) 제례
조선시대 가장인 우리 집에서 지내는 제례 종류가 너무나 많다.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께 제사를 지내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설날과 추석에 제사를 지내고, 중삼절, 속절시식, 춘하추동, 사시제 등등 한 달에도 몇 가지 제례를 지내고 있다.
제사를 한 번 지내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제적 비용도 많이 든다. 조상에게 정성껏 제사를 지내는 게 아무리 중요하다고 하지만, 이렇게 많은 제사를 지내는 건 지나치다고 생각된다. 부모와 조부모까지 제사를 정성껏 지내고, 그 외에 설날과 추석에는 차례를 잘 지내는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3.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8).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생활예절연구회(2019). 가정의례백과(관혼상제). 매일출판.
김연희(2022). 傳統冠禮의 成人의 의미와 현대화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전정미(2012).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13권 3호.
김정규(2010). 朝鮮時代婚禮儀式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총용(2011). 韓·中 出産儀禮의 風俗 比較 硏究.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전통사회와생활문화 2022년]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
2022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시험 과제물(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 등)
2022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시험 과제물(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 등)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2022]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
방송통신대_전통사회와 생활문화_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과제물)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