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25점)
1) 출산의례
2) 관례
3) 혼례
2.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25점)
3. 참고문헌
1) 출산의례
2) 관례
3) 혼례
2.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25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25점)
나는 16세기 조선시대 전주이씨 집안의 1남 2녀 중 장남이다. 유년기에는 아버지에게 천자문, 소학, 효경 등을 거쳐 사서삼경을 배웠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문장 짓는 법도 배웠다. 나는 그 중에서 이백과 두보의 시가 특히 마음에 들었다.
나는 열다섯 살에 집을 떠나 전주지역의 유명한 학자이신 박○○ 스승님을 찾아 경서와 문장을 집중적으로 연마하였다. 그리고 나는 과거준비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운영하여 거접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리고 나는 21살에 결혼하였고, 26살에 드디어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나는 생원·진사시 합격에 너무나 기뻤고, 부모님과 아내 그리고 같이 공부하고 있는 친구들에게 합격 축하 인사를 받았다. 하지만 생원·진사시가 끝이 아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문과에 도전할 차례다. 문과에는 식년시, 증광시, 별시, 정시, 알성시 등이 있었는데 나는 거의 대부분의 시험에 응시하였으나 번번이 떨어졌다. 문과에 계속 떨어져서 부모님과 아내를 볼 낯이 없었으나, 조선시대 양반으로써 문과에 도전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더욱 열심히 공부해서 35살이 되는 해에 문과에 합격하는 기쁨을 누렸다. 합격한 이후로 국가 합격행사를 비롯해 부모님, 친척들, 친구들, 전주지역의 많은 사람들에게 축하를 받았다.
그리고 나는 홍문관 저작(정8품)으로 관직을 명받고 벼슬살이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하는데 힘들었고, 관복을 마련하고 각종 의례를 수행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홍문관의 근무시간은 묘시(5~7시), 퇴근시간은 유시(5~7시)였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공휴일은 없었다. 하지만 홍문관 관원들이 돌아가면서 근무를 섰기 때문에 매일 출근할 필요는 없었다. 녹봉은 가족들의 생활비로 충당할 만큼 충분한 양은 아니었다. 그래서 고향에 남아 있는 가족들의 생활은 전적으로 토지와 노비를 통한 수입으로 충당하였다.
세월이 흘러 나는 60살에 정2품 홍문관의 대제학이 되었다. 그리고 64살이 되어서 벼슬살이에 은퇴하고 고향 전주로 귀향했다.
3.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두현(2015). 한국민속학개설. 일조각.
정연학(2011). 일생의례와 물질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정종수(2002). 경기지역의 일생의례. 경기도박물관 경기민속지.
나는 16세기 조선시대 전주이씨 집안의 1남 2녀 중 장남이다. 유년기에는 아버지에게 천자문, 소학, 효경 등을 거쳐 사서삼경을 배웠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문장 짓는 법도 배웠다. 나는 그 중에서 이백과 두보의 시가 특히 마음에 들었다.
나는 열다섯 살에 집을 떠나 전주지역의 유명한 학자이신 박○○ 스승님을 찾아 경서와 문장을 집중적으로 연마하였다. 그리고 나는 과거준비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운영하여 거접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리고 나는 21살에 결혼하였고, 26살에 드디어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나는 생원·진사시 합격에 너무나 기뻤고, 부모님과 아내 그리고 같이 공부하고 있는 친구들에게 합격 축하 인사를 받았다. 하지만 생원·진사시가 끝이 아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문과에 도전할 차례다. 문과에는 식년시, 증광시, 별시, 정시, 알성시 등이 있었는데 나는 거의 대부분의 시험에 응시하였으나 번번이 떨어졌다. 문과에 계속 떨어져서 부모님과 아내를 볼 낯이 없었으나, 조선시대 양반으로써 문과에 도전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더욱 열심히 공부해서 35살이 되는 해에 문과에 합격하는 기쁨을 누렸다. 합격한 이후로 국가 합격행사를 비롯해 부모님, 친척들, 친구들, 전주지역의 많은 사람들에게 축하를 받았다.
그리고 나는 홍문관 저작(정8품)으로 관직을 명받고 벼슬살이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하는데 힘들었고, 관복을 마련하고 각종 의례를 수행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홍문관의 근무시간은 묘시(5~7시), 퇴근시간은 유시(5~7시)였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공휴일은 없었다. 하지만 홍문관 관원들이 돌아가면서 근무를 섰기 때문에 매일 출근할 필요는 없었다. 녹봉은 가족들의 생활비로 충당할 만큼 충분한 양은 아니었다. 그래서 고향에 남아 있는 가족들의 생활은 전적으로 토지와 노비를 통한 수입으로 충당하였다.
세월이 흘러 나는 60살에 정2품 홍문관의 대제학이 되었다. 그리고 64살이 되어서 벼슬살이에 은퇴하고 고향 전주로 귀향했다.
3.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두현(2015). 한국민속학개설. 일조각.
정연학(2011). 일생의례와 물질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정종수(2002). 경기지역의 일생의례. 경기도박물관 경기민속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