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25점)
2.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25점)
1) 전통시대 여러 의례 생활
2) 내가 조선시대 한집안의 가정이라고 가정하고,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들
3. 참고문헌
2.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25점)
1) 전통시대 여러 의례 생활
2) 내가 조선시대 한집안의 가정이라고 가정하고,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가족 모두가 금기사항을 잘 지키려고 노력했다. 조선시대 출산의례에서는 해야 하는 행위보다는 금지행위가 많음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사회의 유교적인 관념이 반영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시간이 지나 아내의 해산일이다. 아내는 모두가 기대하고 기대했던 아들을 출산했다. 부모님과 나와 아내는 감격스러운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삼신상에 올렸던 쌀과 미역으로 첫국밥을 해 먹었다. 시간이 지나 백일과 돌잔치에 친척들과 이웃을 초대해 내 아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했다.
돌과 백일잔치에 많은 친척과 이웃까지 불러 성대하게 잔치를 벌이는 것은 경제적 낭비라고 본다. 그보다는 가볍게 가족들이 모여 같이 식사를 하면서 아이의 무병장수만 기원해주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2) 관례
시간이 지나 올해 아들이 성인이 된다. 성인식에 아들에게 관을 씌워주는 관례를 행하면서, 나는 성인이 된 아들에게 \"이제 성인이 되었으니 성인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설명해주었다.\" 조선시대 관례는 현대에 비해 복잡한 편이라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관례를 치루면서 부모가 아들과 딸에게 성인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알려주는 점은 현대에도 본받을 만하다고 생각된다.
(3) 혼례
내 아들이 반친영 방식으로 혼례식을 치렀다. 결혼식은 며느리 집에서 진행했고, 처가에서 3일 동안 머물렀다. 그리고 아들과 며느리는 우리 집으로 와서 같이 살고 있다. 조선시대 결혼은 형식과 절차가 너무 복잡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현대 결혼식도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결혼식보다는 간편하고 저렴한 결혼식 문화로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4) 상장례
몇 해 전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초상집을 알리는 등을 대문을 달았고, 우리 집에는 소식을 들은 친척과 이웃들로 북적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3일째 되는 날에 장례를 치렀다. 그리고 3년 동안 상복을 입고 무덤 옆에 작은 집을 짓고 아침저녁으로 제사를 지내면서 부모를 기리는 시묘살이를 해야 했다.
상장례는 조선시대 관혼상제 중에서도 가장 절차가 복잡하고 중시된 의례라고 한다. 하지만 아무리 부모의 장례라고 하지만 3년 동안 상복을 입고 시묘살이를 하는 것은 시간낭비이고, 현실에 대한 도피라고 생각된다. 조선시대 상장례는 허례허식이 너무 지나쳤다고 생각된다.
(5) 제례
부모님께서는 항상 조상을 잘 모셔야 집안이 잘된다고 말하면서, 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신다. 우리 집에서 치러야 할 제사는 고조부, 고조모, 증조부, 증조모, 아버지 제사가 있었다. 그리고 명절날에는 4대 조상들에게 한꺼번에 제사를 지냈다. 계산해보면 집에서 치워야 할 제사가 일 년에 열 번 이상이었다. 집에는 조상들의 영혼을 모시는 사당이 있는데, 조석으로 사당에서 문안 인사를 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가 너무 많은 듯하다. 거의 한 달에 한 번 이상은 제사가 있다. 그 정도로 많은 제사는 시간과 비용 모두 낭비라고 생각된다. 보다 간단하면서도 정성은 가득한 허례허식 없는 제사문화로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간편한 것만 좋아하고 자기 부모님 제사도 제대로 지내지 않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이런 사람들은 제사가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지낸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하고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3.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두현(2015). 한국민속학개설. 일조각.
정연학(2011). 일생의례와 물질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정종수(2002). 경기지역의 일생의례. 경기도박물관 경기민속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시간이 지나 아내의 해산일이다. 아내는 모두가 기대하고 기대했던 아들을 출산했다. 부모님과 나와 아내는 감격스러운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삼신상에 올렸던 쌀과 미역으로 첫국밥을 해 먹었다. 시간이 지나 백일과 돌잔치에 친척들과 이웃을 초대해 내 아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했다.
돌과 백일잔치에 많은 친척과 이웃까지 불러 성대하게 잔치를 벌이는 것은 경제적 낭비라고 본다. 그보다는 가볍게 가족들이 모여 같이 식사를 하면서 아이의 무병장수만 기원해주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2) 관례
시간이 지나 올해 아들이 성인이 된다. 성인식에 아들에게 관을 씌워주는 관례를 행하면서, 나는 성인이 된 아들에게 \"이제 성인이 되었으니 성인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설명해주었다.\" 조선시대 관례는 현대에 비해 복잡한 편이라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관례를 치루면서 부모가 아들과 딸에게 성인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알려주는 점은 현대에도 본받을 만하다고 생각된다.
(3) 혼례
내 아들이 반친영 방식으로 혼례식을 치렀다. 결혼식은 며느리 집에서 진행했고, 처가에서 3일 동안 머물렀다. 그리고 아들과 며느리는 우리 집으로 와서 같이 살고 있다. 조선시대 결혼은 형식과 절차가 너무 복잡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현대 결혼식도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결혼식보다는 간편하고 저렴한 결혼식 문화로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4) 상장례
몇 해 전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초상집을 알리는 등을 대문을 달았고, 우리 집에는 소식을 들은 친척과 이웃들로 북적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3일째 되는 날에 장례를 치렀다. 그리고 3년 동안 상복을 입고 무덤 옆에 작은 집을 짓고 아침저녁으로 제사를 지내면서 부모를 기리는 시묘살이를 해야 했다.
상장례는 조선시대 관혼상제 중에서도 가장 절차가 복잡하고 중시된 의례라고 한다. 하지만 아무리 부모의 장례라고 하지만 3년 동안 상복을 입고 시묘살이를 하는 것은 시간낭비이고, 현실에 대한 도피라고 생각된다. 조선시대 상장례는 허례허식이 너무 지나쳤다고 생각된다.
(5) 제례
부모님께서는 항상 조상을 잘 모셔야 집안이 잘된다고 말하면서, 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신다. 우리 집에서 치러야 할 제사는 고조부, 고조모, 증조부, 증조모, 아버지 제사가 있었다. 그리고 명절날에는 4대 조상들에게 한꺼번에 제사를 지냈다. 계산해보면 집에서 치워야 할 제사가 일 년에 열 번 이상이었다. 집에는 조상들의 영혼을 모시는 사당이 있는데, 조석으로 사당에서 문안 인사를 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가 너무 많은 듯하다. 거의 한 달에 한 번 이상은 제사가 있다. 그 정도로 많은 제사는 시간과 비용 모두 낭비라고 생각된다. 보다 간단하면서도 정성은 가득한 허례허식 없는 제사문화로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간편한 것만 좋아하고 자기 부모님 제사도 제대로 지내지 않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이런 사람들은 제사가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지낸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하고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3.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두현(2015). 한국민속학개설. 일조각.
정연학(2011). 일생의례와 물질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정종수(2002). 경기지역의 일생의례. 경기도박물관 경기민속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추천자료
[전통사회와생활문화 2022년]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
2022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시험 과제물(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 등)
2022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시험 과제물(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 등)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2022]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
방송통신대_전통사회와 생활문화_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과제물)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