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회와생활문화_양반의 일생과 전통시대 의례생활 인천거주 이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사회와생활문화_양반의 일생과 전통시대 의례생활 인천거주 이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 양반의 일생, 인천 이씨 編”
2. “전통 시대의 의례 생활, 인천 이씨를 중심으로”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신부가 신랑의 부모와 조상에게 절을 하는 순서도 강조되었다. 전반적으로 부계 부계제에 기반을 둔 신전통혼례가 된 것이다. 이로써 조선 양반가의 정통과 혼례가 정착되었고 우리는 자손 대대로 번영과 번성을 꾀하게 되었다.
인천 이씨는 시조 이허겸이 인천지역 식읍 1,500호를 하사받아 뿌리내린 곳으로 인천 이씨 주도로 마을제를 지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마을의 제사와 비슷하게 주민들은 터주신을 동신(洞神)으로 모셨으며 인천의 보통은 어촌 사람들로 서낭당, 해랑당 등을 두어 마을제사를 지냈다. 터주신인 동신은 마을의 터전을 보호해주는 존재였으며 마을 주민의 무병장수와 안녕, 풍년을 기원하였고 제관으로는 목민관 등이 있었다. 이러한 마을제는 대부분 임금이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 초하루에 농사에 힘쓸 것을 당부하며 문서를 내려보내고, 이는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하고 모든 것의 근본이 되는 농사를 장려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국립민속박물관 전시 해설 ‘권농윤음/마을제’
이러한 마을제와 함께 조선은 가정신앙이 실제로 각 가정에서 행해지는 종교의례 중에 매우 중요한 의례인데, 좁은 의미의 가신 혹은 가택신만이 아니라 동신이나 산신 혹은 미륵 등의 마을신앙 대상이나 영둥 등 가신으로 보기 어려운 신격에 대한 제의가 나타난다. 이는 제사의례와는 다르게 비주기적 의례이며 치병의례와 기타 양재 등의 신앙과 함께 일상생활의 중요한 사건들인 집짓기나 수리 또는 집헐기, 이사, 장 담그기, 중요한 물건 집에 들이기 등에 적용되는 ‘대장군’, ‘살’, ‘손’과 같은 명칭을 액을 피하기 위한 날이나 방위 가립 등과 같은 택길신앙 그리고 이를 어겼을 때 발생한다는 동토 등도 가정신앙과 관련해서는 중요한 내용이다. 가정신앙의례는 대체로 나의 아내가 지냈으며 집안의 가족과 하인들의 세시풍속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집안 법도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세시풍속으로 행해지는 가신에 대한 제의는 정월에 지내는 가신제, 가을 추수가 끝난 후 ‘가을고사’라고 불리는 가신제가 있다. 집의 안녕과 집안 신으로 ‘성주’가 있고 가옥이 자리 잡은 터전을 관장하는 지신으로 ‘터주’가 있으며 화신 호은 부엌신으로 가족의 건강과 음식 맛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조왕’이 있다. 집안의 풍요와 관련된 신으로는 삼신 계열, 업신 계열, 영둥신앙이 있으며 이는 집을 계승하기 위하여 가족구성원 재생산이 이루어지며 부를 위한 경제적인 생산성을 낳는 조선사회의 풍농과 풍어 등 생산의 염원을 담고 있는 의례와 신격이 가정신앙 속에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교재 제9장 제10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jpg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인천 이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23487&cid=51927&categoryId=53665
국립민속박물관 전시 해설 권농윤음/마을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10465&cid=42923&categoryId=42923
  • 가격6,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2.06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1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