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직업전문성 인식 제고효과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직업전문성 인식 제고효과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가설
4. 연구모형
5. 용어의 정의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의 분석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 소진 척도의 내적 일관성은 안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나. 감정노동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감정노동 척도의 하위 영역과 그에 따라 분류한 문항번호, 그리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신뢰도는 표 Ⅱ-2와 같다.
표 Ⅱ-2. 감정노동 척도의 문항번호 및 신뢰도
감정노동을 측정하기 위해 Brotheridge & Grandey(2002) Chu &Murrmann(2006), 김학수(2011), 최영호(2012)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감정노동은 내면행위 하위영역과 표면행위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은
6문항 씩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로 5점 Likert척도를 사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총 12문항으로 총점 수가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높다고 해석한다.
감정노동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하위영역의 신뢰도는 내면행위 .761, 표면행위 .832 이었으며, 전체 신뢰도는 .796으로 감정노동 척도의 내적 일관성은 안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다. 직업 전문성 인식 제고효과 직무 진단 척도
직업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Hackman과 Oldham(1975)의 직무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Hackman과 Oldham(1975)의 연구에서는 7개 요인별(피드백을 각각 세 요인으로 구성)로 각각 3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하위 척도별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기술 다양성 .71, 과업 정체성 .59, 과업 중요성 .66, 자율성 .66, 직무 자체로 부터의 피드백 .71, 조직으로부터의 피드백 .78, 다른 사람과의 관계 .59로 직무 진단 척도의 내적 일관성은 안정적으로 확인되었다.
3. 자료의 분석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정서지능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ver 20.0을 사용하여 다음의 과정으로 자료를 통계 처리할 것이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성별, 나이, 학력, 자격, 경력, 직급 등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감정노동과 직업 전문성 인식, 직무소진의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 전문성 인식 제고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수(2017). 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정화(2006). 노인시설 종사자가 경험한 감정노동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정(2015).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소연 외 9인(2015).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 나눔의 집.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2.07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1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