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자료
9. 벡불안척도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자료
9. 벡불안척도
본문내용
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산소포화도가 90%이상 유지되고 호흡곤란이 안정되었을 때 대상자에게 입술오므리기 호흡과 기침, 심호흡 방법을 교육하였다.
입술오므리기 호흡 : 입을 다문뒤 3초간 천천히 코로 숨을 들이쉰다.
입술을 오므린 상태로 9초간 천천히 숨을 내뱉는다.
하루에 4번씩 5-10분 동안 실시하도록 한다.
심호흡 : 꼬리뼈까지 공기를 넣는 느낌으로 코로 숨을 깊게 들이마신다.
입으로 후-하는 소리를 내면서 복부의 숨을 천천히 내뱉는다.
들이마시는 숨보다 내쉬는 숨을 더 길게 하려고 노력한다.
13.대상자가 호흡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다는 자각은 불안에 대한 감각을 완화시키고, 본인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13.적절한 호흡법은 신체의 긴장을 해소하고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호흡과 불안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반적인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전 호흡곤란으로 인해 불안해하지 않으며, 편안한 심리 상태를 유지한다.
②대상자는 퇴원 전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 증상을 스스로 대처할 수 있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1일 이내 산소포화도가 90% 이상으로 유지된다.
②대상자는 2일 이내 활력 징후가 정상범위에서 측정된다.
③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곤란이 호전되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④대상자는 3일 이내 불안감이 호전되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⑤대상자는 3일 안에 불안을 감소시키는 이완요법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하며 수행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정맥관 감염 예방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의 권고 강도 별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정도 류세앙 외 6명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학교실, 김현국 외 1명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고유량 비강캐뉼라요법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유광하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편(2016).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5명, 현문사
대상자의 산소포화도가 90%이상 유지되고 호흡곤란이 안정되었을 때 대상자에게 입술오므리기 호흡과 기침, 심호흡 방법을 교육하였다.
입술오므리기 호흡 : 입을 다문뒤 3초간 천천히 코로 숨을 들이쉰다.
입술을 오므린 상태로 9초간 천천히 숨을 내뱉는다.
하루에 4번씩 5-10분 동안 실시하도록 한다.
심호흡 : 꼬리뼈까지 공기를 넣는 느낌으로 코로 숨을 깊게 들이마신다.
입으로 후-하는 소리를 내면서 복부의 숨을 천천히 내뱉는다.
들이마시는 숨보다 내쉬는 숨을 더 길게 하려고 노력한다.
13.대상자가 호흡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다는 자각은 불안에 대한 감각을 완화시키고, 본인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13.적절한 호흡법은 신체의 긴장을 해소하고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호흡과 불안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반적인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전 호흡곤란으로 인해 불안해하지 않으며, 편안한 심리 상태를 유지한다.
②대상자는 퇴원 전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 증상을 스스로 대처할 수 있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1일 이내 산소포화도가 90% 이상으로 유지된다.
②대상자는 2일 이내 활력 징후가 정상범위에서 측정된다.
③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곤란이 호전되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④대상자는 3일 이내 불안감이 호전되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⑤대상자는 3일 안에 불안을 감소시키는 이완요법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하며 수행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정맥관 감염 예방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의 권고 강도 별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정도 류세앙 외 6명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학교실, 김현국 외 1명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고유량 비강캐뉼라요법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유광하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편(2016).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5명,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