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때 체액의 주요 이때 완충제는 세포외액 내의 HCO₃와 세포 내 단백질과 헤모글로빈, 인이 있다. 마지막으로 소변 내 인과 암모니아도 완충제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완충 작용만으로 체액의 pH 항상성을 유지할수 없을 때 인체는 호흡을 통한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유도한다. 이산화탄소는 산을 형성하므로 폐호흡을 통한 환기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산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혈장 이산화탄소 분압의 증가와 수소 이온 농도의 증가하면 호흡중추가 자극된다. 이때 폐 환기가 촉진되어 혈장 pH 및 이산화탄소 분압이 정상으로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신장에서의 조절하는 것이다. 호흡에 의해서도 조절되지 못하는 나머지 부분의 보상을 담당하는 강력한 조절 기전이다. 혈액의 pH 저하되면, 소변으로 수소 이온(H)을 배출하고 중탄산 (HCO₃)이온을 신장에서 재흡수하여 pH 정상화된다. 또한, 암모니아와 인산 이온은 수소 이온을 NH₄와 H₂PO₄ 의 형태로 배출하는 완충제 역할을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곽호경, 민혜선, 이홍미, 신동미 지음(2016). “인체생리학”, 출판문화원.
인체생리학. 곽호경, 민혜선, 이홍미, 신동미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6년
출처 및 참고문헌
곽호경, 민혜선, 이홍미, 신동미 지음(2016). “인체생리학”, 출판문화원.
인체생리학. 곽호경, 민혜선, 이홍미, 신동미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6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