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생리학]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체생리학]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근육

1. 근육의 종류
 1) 골격근 Skeletal muscle
 2) 심근 Cardiac muscle
 3) 평활근(내장근) Visceral muscle

2. 골격근의 구조
 1) 골격근의 육안적 해부
 2) 골격근의 부착
 3) 골격근의 현미경적 해부
  {1}근섬유 (Muscle fiber)
  {2}근필라멘트 (Muscle filaments)
   (1) 굵은 필라멘트 (Thick filaments)
   (2) 가는 필라멘트 (Thin filaments)
  {3} 근절 내 필라멘트

3. 골격근의 작용

4. 근수축 기전
 1) 신경근 연접
 2) 근수축기전

5. 근수축의 역학
 1) 근수축의 종류
  (1) 연축 (Twitch)
  (2) 강축 (Tetanus)
  (3) 긴장 (Tones)
  (4) 강직 (Rigor)
  (5) 등척성 수축과 등장성 수축
  (6) 근육의 위축과 비대 (Atrophy and hypertrophy)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터 근육이 수축을 시작하기의 시기로, 이 기간에 흥분-수축연결이 이루어지는 약 0.01초 동안이다. 잠복기는 전기적인 현상이고 기계적인 변동이 아니기 때문에 연축곡선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수축기(contraction period)는 잠복기에 이어 조직의 마찰과 점성의 한계를 넘어서 장력을 발생시키면서 짐을 들어올리는 작업, 즉 수축하는 시기로 0.04초 동안 지속된다. 이 시기는 수축을 시작하여 연축곡선이 최고봉을 이룰 때까지를 말하며, 근육의 복잡한 화학반응이 진행되어 화학적 에너지가 기계적 수축으로 전환되는 시기이다.
마지막 시기인 이완기(relaxation period)는 연축곡선이 하강하여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시기로 약 0.05초 동안 계속된다. 수축기가 능동적인데 비해 이완기는 피동적으로 근육이 다시 늘어나는 시기이다.
(2) 강축 (Tetanus)
근육에 적당한 시간 간격, 즉 1초에 5~30회의 자극을 반복적으로 가하면 연축이 합쳐져서 단일수축의 경우보다 큰 힘과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강축이라 한다.
자극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가하면 근육에는 큰 장력이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평탄한 곡선을 그리는데, 이를 완전 강축(complete tetanus)이라 한다. 반면 자극 빈도의 시간 간격이 좀 길어지면 앞에 있는 수축곡선의 정점을 지나 이완기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다음의 수축이 일어나는 식으로 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톱니처럼 생긴 강축곡선을 그리게 된다. 이것을 불완전 강축(incomplete tetanus)이라고 한다. 즉 처음 자극에 의해서 생긴 연축이 이완하기 전에 두 번째 연축이 가중되는 결과이다.
(3) 긴장 (Tones)
골격근은 생채 내에서는 중추신경으로부터 오는 흥분충동을 받아서 항상 약한 수축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이것을 긴장이라고 하며 신체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예를 들면 힘없이 손을 내리고 있어도 손가락이 약간 구부러진 상태로 있고, 손을 흔들어도 손가락이 흔들거리지 않음이 그것이다. 근육의 긴장에서는 극히 적은 양의 에너지가 사용되므로 이로 인한 피로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4) 강직 (Rigor)
강직이란 비가역적인 수축상태로서 근육실질의 파괴를 수반하고 근육은 굳어져 죽는다. 한편 강직은 근육이 과도하게 피로할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5) 등척성 수축과 등장성 수축
① 등척성 수축 (Isotonic contraction)
등력성 수축은 근육의 한 끝을 고정하고 다른 끝에 여러 가지의 무게를 달아 이것을 끌어올릴 수 있게 하였을 때 일어나는 수축 현상을 말한다. 이 때 근육의 길이는 짧아지나 장력의 변화는 없다. 예로는 물건을 집어 올리려고 팔을 움직일 때 일어나며, 상완이두근의 수축이나 동안근에서 볼 수 있다.
② 등장성 수축 (Isometric contraction)
등장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를 일정하게 양 끝을 고정하고 근육을 자극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근육이 자극을 받아 수축하지만 물건을 잡고 있는 한 부분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 때 근육의 길이는 변하지 않지만 장력은 변화한다. 예로는 물건을 들고 있을 때나 건물 벽을 향해 밀었을 때 일어나며, 신체에서는 교근에서 볼 수 있다.
걷기 운동에서 골격근은 등장성 수축과 등력성 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즉 한쪽 다리근은 등력성 수축으로 다리를 굽히거나 올릴 수 있게 해주고, 다른 쪽 다리근은 등장성 수축으로 다리가 땅을 디딜 수 있도록 유지한다.
(6) 근육의 위축과 비대 (Atrophy and hypertrophy)
골격근은 수의적으로 수축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것은 대뇌피질에서 시작한 신경흥분이 중추신경계통과 운동신경을 거쳐서 골격근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만일 중추신경계통의 운동신경이 손상되어서 전달이 차단될 때는 수의적으로 수축을 일으킬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을 마비(paralysis)라 한다.
마비된 근육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점 부피가 줄어드는데 이것을 위축(atrophy)이라고 한다. 그러나 근육의 위축은 반드시 마비 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관절 등이 장기간 고정되어서 근육이 수축하지 못할 때도 일어나며 이때는 특히 비사용 위축(disuse atrophy)이라고 부른다. 이와 반대로 근육이 과도하게 운동했을 때는 근육의 부피가 커지고 수축력도 강대하게 되는데 이것을 비대(hypertrophy)라고 한다.
*참 고 문 헌*
1. 개정 3판 인체생리학 - 현문사
2. 개정판 인체해부학 - 현문사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