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통솔범위 원리이다. 수간호사가 건강관리과 소속 간호사의 전 스케줄을 짜고 맞추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수간호사가 통솔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간호사 팀이 결정되고 또 구축되고 있다.
세 번째는 명령 통일의 원리이다. 이는 사실 가장 먼저 나왔던 조직화의 기본원리인 계층제의 원리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간호사에게 연차별로 당연하게 요구하는 스킬이나 이해도가 다르겠지만, 모든 간호사들은 수간호사를 제외하고 같은 팀의 팀원으로서 근무하고 있다. 일반 회사와는 다르게 교대근무로 돌아가는 형태이기 때문에, 그날그날 같이 일하게 되는 팀원들이 달라지게 되어서 그때마다 자신의 역할이 조금씩 조정이 될 수가 있지만 업무의 경우는 모든 간호사들이 나누어서 진행하고 있는 것은 일반 회사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분업의 원리에는 각자에게 주 업무가 주어지지만 주 업무를 다 시행하거나 또 추가적으로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부 업무를 말하는 것이다. 보통 이에 대해서는 신규 간호사들에게 가장 많이 분업의 원리가 적용되고는 한다. 일반 간호사들이나 중간 연차의 간호사들의 경우 설명 없이 인수인계 뒤 자기 할 일을 진행하면 되지만, 아직 혼자 일을 해내기에 버거운 신규 간호사들의 일을 고 연차의 간호사들이 나누어서 진행하게 된다.
마지막의 원리는 조정의 원리이다. 이 앞에 나왔던 모든 조직화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는 원리라고 말할 수 있는데, 본인의 계급에 맞추어서 업무가 잘 주어지고 있는지 또한 팀들이 모두 분업이 되어서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 모든 일들이 잘 실행되고 있어서 조직이 세웠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보는 원리이다. 이는 사실 모든 의료진 팀이 동일하겠지만, 가장 의료인들에게 우선시 되어야 하는 목표는 바로 환자의 빠른 회복, 그리고 환자의 완쾌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의 목적은 항상 고정된 사항이기 때문에 사실상 기타 업무에 대해서만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현재 본인이 속해있는 과에 관해서는 사실 직접적인 의료 행위를 실시하는 과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는 검진과 같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먼저이다. 또한 사람들이 예상할 수 없는 질병의 위험에 대해서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또 이를 바탕으로 문제가 있더라도 빠르게 시술이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사실상 업무가 너무 과중된다거나 등의 문제는 딱히 없기 때문에 본인이 속한 과는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전략적간호관리. 이상미, 최윤경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6년
- 강남세브란스병원 웹사이트,
https://gs.severance.healthcare/gs/index.do
- 건국대학교병원 웹사이트,
https://www.kuh.ac.kr/main.do
- 경희대학교 병원 웹사이트,
https://med.khmc.or.kr/kr/introduction/philosophy-vision/vision.do
- 이종수, 2009,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세 번째는 명령 통일의 원리이다. 이는 사실 가장 먼저 나왔던 조직화의 기본원리인 계층제의 원리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간호사에게 연차별로 당연하게 요구하는 스킬이나 이해도가 다르겠지만, 모든 간호사들은 수간호사를 제외하고 같은 팀의 팀원으로서 근무하고 있다. 일반 회사와는 다르게 교대근무로 돌아가는 형태이기 때문에, 그날그날 같이 일하게 되는 팀원들이 달라지게 되어서 그때마다 자신의 역할이 조금씩 조정이 될 수가 있지만 업무의 경우는 모든 간호사들이 나누어서 진행하고 있는 것은 일반 회사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분업의 원리에는 각자에게 주 업무가 주어지지만 주 업무를 다 시행하거나 또 추가적으로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부 업무를 말하는 것이다. 보통 이에 대해서는 신규 간호사들에게 가장 많이 분업의 원리가 적용되고는 한다. 일반 간호사들이나 중간 연차의 간호사들의 경우 설명 없이 인수인계 뒤 자기 할 일을 진행하면 되지만, 아직 혼자 일을 해내기에 버거운 신규 간호사들의 일을 고 연차의 간호사들이 나누어서 진행하게 된다.
마지막의 원리는 조정의 원리이다. 이 앞에 나왔던 모든 조직화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는 원리라고 말할 수 있는데, 본인의 계급에 맞추어서 업무가 잘 주어지고 있는지 또한 팀들이 모두 분업이 되어서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 모든 일들이 잘 실행되고 있어서 조직이 세웠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보는 원리이다. 이는 사실 모든 의료진 팀이 동일하겠지만, 가장 의료인들에게 우선시 되어야 하는 목표는 바로 환자의 빠른 회복, 그리고 환자의 완쾌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의 목적은 항상 고정된 사항이기 때문에 사실상 기타 업무에 대해서만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현재 본인이 속해있는 과에 관해서는 사실 직접적인 의료 행위를 실시하는 과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는 검진과 같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먼저이다. 또한 사람들이 예상할 수 없는 질병의 위험에 대해서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또 이를 바탕으로 문제가 있더라도 빠르게 시술이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사실상 업무가 너무 과중된다거나 등의 문제는 딱히 없기 때문에 본인이 속한 과는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전략적간호관리. 이상미, 최윤경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6년
- 강남세브란스병원 웹사이트,
https://gs.severance.healthcare/gs/index.do
- 건국대학교병원 웹사이트,
https://www.kuh.ac.kr/main.do
- 경희대학교 병원 웹사이트,
https://med.khmc.or.kr/kr/introduction/philosophy-vision/vision.do
- 이종수, 2009,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추천자료
전략적간호관리 2023년 중간과제물) 의료기관유형 3개 기관 미션 비전 진술문끼리 비교 특성 ...
2023 전략적간호관리 중간과제물) 의료기관유형 3개 기관 미션 비전 진술문끼리 비교 특성 장...
[전략적간호관리 2023] 1. 위치, 규모, 의료기관유형을 고려해 보건의료기관 세 곳 1) 3개 기...
전략적 간호관리4)위치(대도시, 중소도시), 규모(병상수), 의료기관유형(상급종합병원, 종합...
전략적간호관리-위치대도시, 중소도시, 규모병상수, 의료기관
전략적간호관리 ) 1 위치(대도시, 중소도시), 의료기관유형(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
전략적간호관리 위치(대도시, 중소도시), 규모(병상수), 의료기관유형을 고려해 다양한 보건...
전략적간호관리 자신이 현재 소속된 또는 과거 소속되었던 조직(조직 규모가 큰 경우에 부서)...
전략적간호관리 조직화의 기본원리인 계층제 원리, 통솔범위 원리, 명령통일 원리, 분업 원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