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육성법) 태권도장에서 체력운동시 주의점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력육성법) 태권도장에서 체력운동시 주의점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력 및 근지구력 체력훈련과 지도방법
(1) 근력 훈련과 근지구력 훈련
(2) 근력 및 근지구력의 훈련 평가
1) 약력
2) 배근력
3) 각근력
4) 윗몸 일으키기
5) 팔굽혀펴기
6) 하프 스쿼트
2. 순발력 훈련 및 지도방법
(1) 순발력 훈련
(2) 순발력 훈련 평가
1) 제자리멀리뛰기
2) 제자리높이뛰기
3) 메디신볼 던지기 검사
4) 수직으로 팔 뻗치기 검사
3. 민첩성 훈련과 지도방법
(1) 민첩성 훈련
(2) 민첩성 훈련 평가
1) 부메랑 달리기 검사
2) 전신반응검사
3) jump step test
4) side step test
4. 전신지구력 훈련
(1) 전신지구력 훈련
1) 저강도 지속 주 훈련
2) pace/tempo training
3) interval training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수 경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추가 발언을 하자면, 저강도 지속 주 훈련은 신경학적으로 경기 중에 필요한 근섬유 동원 형태를 자극하지 않아서 경기 도중 사용되지 않는 근섬유를 작용시킬 수도 있다.
2) pace/tempo training : pace/tempo training에서는 실제 경주시 강도보단 약간 높은 강도를 채택한다. 운동강도는 젖산 역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역치 훈련이나 유산소성/무산소성 interval training이라고도 한다. pace/tempo training의 실행 방법에는 계속해서, 그리고 간헐적으로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지속적인 pace tempo/training은 젖산 역치에 해당하는 강도로 약 20~30분간 계속 수행하는 훈련 방법이다. pace/tempo training의 특수한 목적은 선수에게 젖산 역치에 해당하는 특정한 강도에 선수를 처하게 함으로써 유산소적으로, 그리고 무산소적인 대사 과정을 통해 에너지 생산력을 개선함에 있다. 간헐적인 pace/tempo training은 tempo intervals, cruise intervals, 또는 역치 운동이라고 한다. 간헐적 pace/tempo training 때와 같다. 하지만 훈련 과정은 운동 도중에 간단한 회복기를 포함한 일련의 짧은 interval로 구성된다. pace/tempo training 중엔 처방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운동을 하지 않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교적 운동이 쉽게 느껴지면 훈련 거리를 증가시키는 게 후년강도의 증가보다 좋은 방법이다. 이 훈련의 핵심 목표는 경주시 선택할 속도 감각을 발달시키고 경주속도에서 운동을 계속할 수 있는 인체 기관계의 역량을 발달시킴에 있다. pace/tempo training은 경기 때와 똑같은 근섬유 동원 형태를 가진다. 이 훈련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득은 젖산 역치의 상승과 달리기 효율의 개선에 있다.
3) interval training : interval training은 최대유산소성 power에 가까운 강도로 수행하는 운동을 포함한다. 어떤 때는 한 차례의 운동이 30초만 진행할 수도 있지만, 최소한 3분에서 5분은 계속돼야 하고, 3~5분간 한 운동의 휴식시간은 운동시간과 같아야 한다. 운동과 휴식의 비율을 1:1로 해야 한다.
5. 참고문헌 : 태권도 체육지도사 훈련지도서 진한엠앤비 2021년 9월 출간, 체육인재육성재단, 체육과학연구원 저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1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