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욕구로 결혼을 하며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을 찾으려는 시기이며 이 과정에서 얻어지는 친밀감은 결혼 생활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사회적 관계를 회피하는 고립상황에 놓이게 되면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추구하여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소외시키는 성향을 갖게 된다.
일곱 번째는 성인 중기의 ’생산성 대 침체감(generativity vs. stagnation)’의 단계로 가족, 직업 및 사회와 관련된 인생의 목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혼한 부부가 자녀를 양육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주며 미래 세대와 관련된 관심사를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이 시기의 중년은 다음 세대를 위해 희생을 하게 되며 생산성의 균형적 발달이 잘 이루어진다면 직업, 관계 등에 대한 ‘호의(care)‘라는 자아 특성이 균형적으로 발달하게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부정적 자아의 특질인 거부 혹은 권위주의가 형성되기도 한다. 개인의 욕구와 안위만이 주된 관심사인 생산성이 결여된 사람은 인간관계가 황폐화되며 절망감과 인생의 무의미함을 느낀다.
여덟 번째는 성숙 노인기의 ‘자아통합 대 절망감’(ego integrity vs. despair)’의 단계로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그 의미를 수용하는 단계를 말한다. 인생을 회고하며 개인은 인생을 평가하고 생의 통합성을 직면하게 되어 자아 통합을 경험하게 될 경우, 자비와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지혜’라는 자아 특성이 발달하지만 은퇴 후 신체적 혹은 경제적 무력감을 느끼거나 삶의 절망감을 느끼고 지난 삶에 대한 후회는 노인성 정신병이나 우울증을 야기하기도 한다.
3. 결론
이러한 인간 발달의 8단계들은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단계 간의 연결과 지속적인 발달이 중요하다고 에릭슨은 주장했다. 결국 인간을 제대로 파악한다는 것은 개인과 사회와 시간성의 관계를 이해하지 않고는 불가능 한 것이므로 이러한 이론은 여러 영역에서 심리적인 변화와 삶의 이해에 기여하였으며, 오늘날 발달심리학 및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신분석 이론 교재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정신의학의 탄생, 2016.01.15
에릭 에릭슨, 두산백과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두산백과 두피디아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심리학 용어사전, 2014.4
일곱 번째는 성인 중기의 ’생산성 대 침체감(generativity vs. stagnation)’의 단계로 가족, 직업 및 사회와 관련된 인생의 목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혼한 부부가 자녀를 양육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주며 미래 세대와 관련된 관심사를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이 시기의 중년은 다음 세대를 위해 희생을 하게 되며 생산성의 균형적 발달이 잘 이루어진다면 직업, 관계 등에 대한 ‘호의(care)‘라는 자아 특성이 균형적으로 발달하게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부정적 자아의 특질인 거부 혹은 권위주의가 형성되기도 한다. 개인의 욕구와 안위만이 주된 관심사인 생산성이 결여된 사람은 인간관계가 황폐화되며 절망감과 인생의 무의미함을 느낀다.
여덟 번째는 성숙 노인기의 ‘자아통합 대 절망감’(ego integrity vs. despair)’의 단계로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그 의미를 수용하는 단계를 말한다. 인생을 회고하며 개인은 인생을 평가하고 생의 통합성을 직면하게 되어 자아 통합을 경험하게 될 경우, 자비와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지혜’라는 자아 특성이 발달하지만 은퇴 후 신체적 혹은 경제적 무력감을 느끼거나 삶의 절망감을 느끼고 지난 삶에 대한 후회는 노인성 정신병이나 우울증을 야기하기도 한다.
3. 결론
이러한 인간 발달의 8단계들은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단계 간의 연결과 지속적인 발달이 중요하다고 에릭슨은 주장했다. 결국 인간을 제대로 파악한다는 것은 개인과 사회와 시간성의 관계를 이해하지 않고는 불가능 한 것이므로 이러한 이론은 여러 영역에서 심리적인 변화와 삶의 이해에 기여하였으며, 오늘날 발달심리학 및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신분석 이론 교재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정신의학의 탄생, 2016.01.15
에릭 에릭슨, 두산백과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두산백과 두피디아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심리학 용어사전, 2014.4
추천자료
도시행정론
[문학교육][문학][교육][문학교육학][제7차교육과정][문학교육과정]문학교육의 성격과 문제점...
대안학교
정보기술기초 학습지도안
[독후감]독서감상문(독후감)의 개념과 중요성, 독서감상문(독후감)의 장점, 독서감상문(독후...
[수업설계][수학교육][미술교육][웹기반교육][수준별교육]수업설계 정의, 수업설계의 동향, ...
화법교육론 - 생활국어 교수․학습 과정안
국제회의의 정의, 기준, 특성, 구성요소 및 국제회의 종류(분류)
교육평가B형 2019 교재4장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교재 5장 문항제작과 분석교재 10장 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