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총론
3. 향후 계획
2. 총론
3. 향후 계획
본문내용
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한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이번 개정 배경에 대해 “지식정보창조경제 사회에서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력, 서로 다른 지식을 융합·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하면서, “현재 우리나라 교육은 PISA 등 국제학업성취도 평가는 최상위 수준이지만, 과도한 학습 부담과 문제풀이 수업 등으로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와 행복감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이제는 ‘지식 위주의 암기식 교육’에서 ‘배움을 즐기는 행복교육’으로 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계획, 교원연수 실시 및 대입제도 개선 방안 등을 조속히 추진함으로써, 새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잘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학개론] 교육제도敎育制度의 중요성과 학제에 대한 이해 및 한국의 학제의 이해(취학전...
한국 수학교육과정의 잘못된 방향과 해결방안
[2019 영유아교수방법론2B][출처표기] 9월 셋째주 만 3세반의 주간 교육계획안과 일일활동 계...
[2019 유아교육과정4공통] (1)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과 운영특성 (2)영유...
21세기 디지털 정보화시대의 문학 교육에 대한 연구 및 교수학습과정안(수업자료PPT)
다문화교육론
음악 ) 음악 현행 교육과정 현황 및 비판
교직 ) 1 초임교사의 준비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교직의 개념과 특수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영유아 )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