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만큼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인간 주위의 우주 자연은 평화로우며 생명력이 충만한 유기체로 파악하며 우주가 담고 있는 모든 생명력은 선한 것 중에서도 가장 선한 것이라고 하였다. 유가는 우주 자연의 생명력이란 현명하고 성실하며 궁극적인 최고선이라고 보았고 인간은 우주 자연의 일부분이므로 최고선인 자연의 속성을 지니고 태어나기 때문에 인간의 본질은 선하다고 보았다.
2) 유가에서 예의 법도가 갖는 의미는?
유가에서 인의예지는 하늘의 이치를 성찰하는 성인들이 인간을 궁극적 도덕원리로 발굴해 낸 것을 말한다. 곧 인의예지란 옛날의 성인들이 뛰어난 그들의 도덕적 성찰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의 본성을 각각 그 행위에 적용시키면 과연 어떻게 될 것인지를 생각하고 연구하여 만들어 놓은 예의 법도를 말한다. 성인을 섬기면서 동시에 선한 사람들과 교류하며 상생하기를 권유하고 예가 아닌 것은 따르지 말라고 하는 모든 가르침을 의미한다.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은 본질만 있는 것이 아닌 다른 모든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육체를 바탕으로 그것에 기인하는 욕망과 본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그 기질이 가장 깨끗하므로 어떤 생명체보다도 가장 순화된 욕망과 정제된 감정 체계를 갖추고 나름의 주관을 토대로 개인의 도덕적 본성을 회고하며 그에 걸맞게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은 도덕적으로 살아가며 선한 본연의 모습을 되찾는 것이며 이를 통해 비로소 삶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유가는 결국 인간을 하늘과 땅과 더불어 우주를 지지하는 세 가지 기둥의 하나로서 여기며 그렇기 때문에 유가 사상을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부른다. 인간은 의식 주관의 수양과 반성을 통해서 자연의 생명력을 얻고 사회적인 삶을 영위하며 도덕을 실현한다.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공자의 가르침은 도덕적 지배 엘리트들에 의해 확립된 사회적 덕치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지배 엘리트가 공자의 가르침을 토대로 도덕적 자기 수양이 제대로 갖춰있지 않을 경우에는 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정치에 대한 백성들의 신뢰가 크게 하락하여 예의 법도 자체가 자칫 기득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수단이 될 때 유가 사상의 이념은 봉건적 지배 이데올로기로 전락하고 만다.
출처 및 참고문헌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2) 유가에서 예의 법도가 갖는 의미는?
유가에서 인의예지는 하늘의 이치를 성찰하는 성인들이 인간을 궁극적 도덕원리로 발굴해 낸 것을 말한다. 곧 인의예지란 옛날의 성인들이 뛰어난 그들의 도덕적 성찰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의 본성을 각각 그 행위에 적용시키면 과연 어떻게 될 것인지를 생각하고 연구하여 만들어 놓은 예의 법도를 말한다. 성인을 섬기면서 동시에 선한 사람들과 교류하며 상생하기를 권유하고 예가 아닌 것은 따르지 말라고 하는 모든 가르침을 의미한다.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은 본질만 있는 것이 아닌 다른 모든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육체를 바탕으로 그것에 기인하는 욕망과 본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그 기질이 가장 깨끗하므로 어떤 생명체보다도 가장 순화된 욕망과 정제된 감정 체계를 갖추고 나름의 주관을 토대로 개인의 도덕적 본성을 회고하며 그에 걸맞게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은 도덕적으로 살아가며 선한 본연의 모습을 되찾는 것이며 이를 통해 비로소 삶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유가는 결국 인간을 하늘과 땅과 더불어 우주를 지지하는 세 가지 기둥의 하나로서 여기며 그렇기 때문에 유가 사상을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부른다. 인간은 의식 주관의 수양과 반성을 통해서 자연의 생명력을 얻고 사회적인 삶을 영위하며 도덕을 실현한다.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공자의 가르침은 도덕적 지배 엘리트들에 의해 확립된 사회적 덕치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지배 엘리트가 공자의 가르침을 토대로 도덕적 자기 수양이 제대로 갖춰있지 않을 경우에는 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정치에 대한 백성들의 신뢰가 크게 하락하여 예의 법도 자체가 자칫 기득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수단이 될 때 유가 사상의 이념은 봉건적 지배 이데올로기로 전락하고 만다.
출처 및 참고문헌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추천자료
철학의이해 2023년)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
철학의이해 2023학년도 2학기) 철학의이해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
[2023 철학의이해][출처표기]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
철학의 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
철학의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