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방법론 1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0점) 2수강생의 주변인의 건강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한다고 가정하고, ASSURE 모형을 적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교육방법론 1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0점) 2수강생의 주변인의 건강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한다고 가정하고, ASSURE 모형을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0점)

2. 수강생의 주변인의 건강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한다고 가정하고, ASSURE 모형을 적용하여 보건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해보시오. 특히 선정한 매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해당 매체를 선정한 이유를 제시하시오. (30점)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교육을 제공하여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캠페인 및 이벤트: 건강 캠페인과 이벤트를 통해 대중에게 건강 정보를 전달하고 참여를 유도한다.
온라인 리소스 및 소셜 미디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 정보를 전파하고 상호 작용을 촉진한다.
다음은 ASSURE 모형을 적용한 보건 교육의 내용이다.1) 학습자 분석 (Analyze Learner)
대상: 수강생 및 주변인(가족, 친구 등)
특성 분석: 연령, 건강 상태, 건강 관심도, 일상생활 습관 등
2) 목표의 진술 (State Objective)
Audience: 수강생 및 주변인이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건강행동 습관을 형성
Behavior: 수강생이 주변인과 함께 건강한 식습관과 활동적인 생활을 채택
Conditions: 가족, 친구 모임 등 다양한 상황에서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Degree: 수강생이 수업 내용을 토대로 주변인과 함께 건강한 행동을 일상에 정착
3) 수업방법 매체, 자료의 선정 (Select method, media, and materials)
수업방법: 그룹 토의, 활동, 실제 사례 연구
매체: 온라인 건강정보 웹사이트, SNS, 캠페인
자료: 건강한 식단 샘플,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 가이드, 성공 사례 연구 자료
4) 매체와 자료의 활용 (Utilize media and materials)
자료의 사전점검: 건강 정보의 신뢰성과 실용성 평가 및 필요 시 수정
제시방법의 숙달: 교수자는 수업 이전에 각 매체 활용 방법을 실습 및 조정
환경 조성: 수업 장소와 온라인 플랫폼을 효과적인 학습을 지원하도록 조성
학습자 준비시키기: 수강생에게 온라인 자료 열람 및 토의를 위한 사전 과제 부여
자료 제시: 수업에서 활용할 매체와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시
5) 학습자 참여의 유도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토론 및 토의: 건강한 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 교환 및 공유
그룹 활동: 주변인과 함께 건강한 식단 및 활동 계획 수립
피드백 요소 강화: 학습자들 간의 상호 피드백 및 자기 평가 과정 강조
6) 평가 및 수정 (Evaluate and Revise)
수업 전반 평가: 학습자의 참여, 이해도, 적용 여부 종합적 평가
목표와의 일치 확인: 학습자가 세운 목표와 달성 정도를 평가
피드백 수렴: 학습자들과의 피드백을 수용하여 다음 수업 계획에 반영
수정 및 보완: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 사항을 식별하고 수업 계획을 수정 및 보완
7) 매체 선정 이유
온라인 웹사이트, SNS, 캠페인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고 소통을 통해 동기부여와 주변인 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주변인에게 건강행동의 중요성을 알리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보건 교육에서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SNS), 그리고 캠페인을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의 매체가 특정한 강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웹사이트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건강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맞게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건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웹사이트는 설문조사, 퀴즈, 블로그, 포럼 등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SNS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는 플랫폼으로, 대중에게 건강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SNS를 통해 서로 의견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는 건강 정보의 확산을 가속화시키고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SNS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 최신 건강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캠페인은 시각적으로 강조되기 때문에 대중에게 더 잘 기억된다. 이미지, 슬로건, 이벤트 등을 활용하여 건강 메시지를 강조할 수 있다. 캠페인은 이벤트, 워크숍, 경품 행사 등을 통해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이는 건강한 행동으로의 전환이나 변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캠페인은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고, 건강한 행동을 채택하는데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이렇게 다양한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보건 교육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달하고 상호 작용을 촉진하여 지속적인 건강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출처 및 참고 문헌
보건교육방법론. 이혜재, 정영일, 윤혜정, 이자명, 장사랑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3년 07월 25일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1.31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