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ASSURE 모형의 단계별 설명과 특징
(2) 선정한 대상자의 특성과 선정한 매체
(3) 보건교육 내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ASSURE 모형의 단계별 설명과 특징
(2) 선정한 대상자의 특성과 선정한 매체
(3) 보건교육 내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했는지와 관련해 확인할 수 있으며 목표를 실천하는 방안이기도 하다.
학습자에게 매체와 자료의 활용(Utilize media and materials)에서는 학습자를 위해서 선정한 자료들을 점검해야 하는데 강의식 자료에서 활용할 파워포인트 자료는 대학병원의 당뇨병 자료와 당뇨 관련 서적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의학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확하게 자료를 검토하고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당뇨병 정보를 활용하여 강의안을 제작하고 이에 보완하기 위해 신체 사진과 가독성을 위한 기타 그림 자료를 첨부하였다. 학습을 진행할 환경은 가정에서 시행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학습자가 앞으로도 건강 행동을 개선하여 인슐린을 가정에서 자가 투약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목표 실천율을 높이는 방안이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서 동기를 유발하고 전반적으로 학습 진행과 관련한 개요를 설명한 후 자료를 제시한다.
학습자의 참여유도(Require learner participation)는 이 보건교육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직접 능동적으로 행동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질병 인식도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하며 피드백을 통해 질병 인식도를 향상시킬 것이며 이에 더 나아가 인슐린 투약 과정을 직접 실천하는 수행을 확인하기 위해서 학습 활동과 관련된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평가와 수정(Evaluate and revise materials)에서는 학습 전, 중, 후 모든 과정에서 평가가 진행될 것이다. 강의를 하기 전에 질병 인식도에 관한 사전 퀴즈를 진행하여 학습자를 파악하고 강의 중에 질의응답을 통해 교육을 잘 따라오고 있는지에 대해서 점검한다. 학습이 끝난 후에는 퀴즈를 통해 교육 이수 정도를 파악하며 목표 실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앞서 세웠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평가를 지속해서 수행하면서 학습자에게 더 적절한 보건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다음 시행될 보건교육에서는 이를 더욱 반영해서 개선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결론
ASSURE 모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직접 나의 주변 인물에게 적용할 보건교육을 실현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단순히 건강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지만 체계적인 교수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목표 실현에 한 걸음 다가가는 것이다. 또한, 건강행동을 개선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확하고 신뢰있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의 선정과 자료 검토를 준수하며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학습자가 고령인 것을 고려하여 적절한 매체 선정으로 주의집중을 유도하였으며 질병 인식도와 자가투약이 가능한 건강행동 개선을 보였기 때문에 목표를 달성한 보건교육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우미향, ASSURE 모형을 이용한 교수매체 선정 및 활용,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08
학습자에게 매체와 자료의 활용(Utilize media and materials)에서는 학습자를 위해서 선정한 자료들을 점검해야 하는데 강의식 자료에서 활용할 파워포인트 자료는 대학병원의 당뇨병 자료와 당뇨 관련 서적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의학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확하게 자료를 검토하고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당뇨병 정보를 활용하여 강의안을 제작하고 이에 보완하기 위해 신체 사진과 가독성을 위한 기타 그림 자료를 첨부하였다. 학습을 진행할 환경은 가정에서 시행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학습자가 앞으로도 건강 행동을 개선하여 인슐린을 가정에서 자가 투약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목표 실천율을 높이는 방안이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서 동기를 유발하고 전반적으로 학습 진행과 관련한 개요를 설명한 후 자료를 제시한다.
학습자의 참여유도(Require learner participation)는 이 보건교육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직접 능동적으로 행동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질병 인식도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하며 피드백을 통해 질병 인식도를 향상시킬 것이며 이에 더 나아가 인슐린 투약 과정을 직접 실천하는 수행을 확인하기 위해서 학습 활동과 관련된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평가와 수정(Evaluate and revise materials)에서는 학습 전, 중, 후 모든 과정에서 평가가 진행될 것이다. 강의를 하기 전에 질병 인식도에 관한 사전 퀴즈를 진행하여 학습자를 파악하고 강의 중에 질의응답을 통해 교육을 잘 따라오고 있는지에 대해서 점검한다. 학습이 끝난 후에는 퀴즈를 통해 교육 이수 정도를 파악하며 목표 실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앞서 세웠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평가를 지속해서 수행하면서 학습자에게 더 적절한 보건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다음 시행될 보건교육에서는 이를 더욱 반영해서 개선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결론
ASSURE 모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직접 나의 주변 인물에게 적용할 보건교육을 실현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단순히 건강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지만 체계적인 교수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목표 실현에 한 걸음 다가가는 것이다. 또한, 건강행동을 개선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확하고 신뢰있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의 선정과 자료 검토를 준수하며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학습자가 고령인 것을 고려하여 적절한 매체 선정으로 주의집중을 유도하였으며 질병 인식도와 자가투약이 가능한 건강행동 개선을 보였기 때문에 목표를 달성한 보건교육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우미향, ASSURE 모형을 이용한 교수매체 선정 및 활용,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08
추천자료
2023년 2학기 보건교육방법론 기말시험 과제물(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
보건교육방법론
보건교육방법론
보건교육방법론 1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0점) 2수강생의 주변인...
보건교육방법론) 1교육 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수강생의 주변인의 건...
보건교육방법론) 1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수강생의 주변인의 건...
보건교육방법론) 1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수강생의 주변인의 건...
보건교육방법론) 1교육매체를 선정을 위한 ASSURE 모형을 설명하시오 2수강생의 주변인의 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