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마케팅 4학년) 1. 농축산물을 가공하여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을 향상시킨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각각의 차이를 설명하시오(10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푸드마케팅 4학년) 1. 농축산물을 가공하여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을 향상시킨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각각의 차이를 설명하시오(10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농축산물을 가공하여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을 향상시킨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각각의 차이를 설명하시오(10점)
1) 신선편이농산물
2) 장기보존식품
(1) 통·병조림 식품
(2) 레토르트 식품
(3) 냉동 식품
3) 건강기능식품
4) 건강기능식품
5) 각각의 차이
(1) 신선편이농산물
(2) 장기보존식품
(3) 건강기능식품
(4) 건강기능식품

2. 농축산물을 원료로 하는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 각각 1가지씩 총 4가지 식품을 선정하여 아래의 내용을 설명하시오(20점).
1) 신선편이농산물
2) 신선편의식품
3) 장기보존식품
4) 건강기능식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들고 있다.
(2) 장기보존식품
멸균은 제품의 중심온도가 120℃ 이상에서 4분 이상 열처리하거나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으로 열처리하여야 한다. PH 4.6을 초과하는 저산성식품은 제품의 내용물, 가공장소, 제조일자를 확인할 수 있는 기호를 표시하고 멸균공정 작업에 대한 기록을 보관하여야 한다. PH4.6 이하인 산성식품은 가열 등의 방법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제품은 저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하여야하며 내용물의 변색이 방지되고 호열성 세균의 증식이 억제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냉각하여야한다. 보존료는 일절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은 일상 식사만으로 부족 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를 섭취할 목적으로, 캡슐정제분말과립액상환편상페이스트상시럽겔젤리바 등의 형태로 1회 섭취가 용이하게 제조가공되어야 한다. 일반 식품 또는 식사를 대신할 수 있는 식품유형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14조 제2항 및 제15조 제2항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
(4)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였다. 건강기능식품법의 제3조1항에 의하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기능성이라는 것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일반식품과 달리 국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의 예방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에 안정성 및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증명과체계적인 운영관리가 필요하다.
2. 농축산물을 원료로 하는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 각각 1가지씩 총 4가지 식품을 선정하여 아래의 내용을 설명하시오(20점).
1) 신선편이농산물 - 뜯어서 바로 먹는 닭가슴살 샐러드
(1) 영양성분표시
영양정보
총내용량 245g
305kcal
총 내용량 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
나트륨530mg
27%
탄수화물16g
5%
당류13g
13%
지방14g
26%
트랜스지방0g
포화지방2.2g
15%
콜레스테롤195mg
65%
단백질28g
51%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은 2,000kcal 기준이므로 개인의 필요 열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품질인증마크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3) 제품에 따라 표시된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 설명 내용
2) 신선편의식품 - 상하 유기농 첫치즈1단계 18g x 80매
(1) 영양성분표시
영양정보
총내용량 180g
60kcal
총 내용량 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
나트륨46mg
12%
탄수화물0.1g
1%
당류0g
지방5.1g
20%
트랜스지방0.3g
포화지방3.3g
콜레스테롤15mg
단백질28g
51%
칼슘110mg
37%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은 2,000kcal 기준이므로 개인의 필요 열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품질인증마크
유기농 농림수산식품부
(3) 제품에 따라 표시된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 설명 내용
3) 장기보존식품 - 햇반 햇반소프트밀 들깨버섯죽 420g
(1) 영양성분표시
영양정보
총내용량 420g
240kcal
총 내용량 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
나트륨900mg
45%
탄수화물40g
12%
당류2g
2%
지방6g
11%
트랜스지방0g
포화지방0.5g
3%
콜레스테롤0mg
0%
단백질6g
11%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은 2,000kcal 기준이므로 개인의 필요 열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품질인증마크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3) 제품에 따라 표시된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 설명 내용
4) 건강기능식품 - 솔브앤고
(1) 영양성분표시
(2) 품질인증마크
건강기능식품
(3) 제품에 따라 표시된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 설명 내용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농축산물을 가공하여 편의성, 저장성, 기능성을 향상시킨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각각의 차이를 설명, 2. 농축산물을 원료로 하는 신선편이농산물, 신선편의식품, 장기보존식품, 건강기능식품 각각 1가지씩 총 4가지 식품을 선정하여 아래의 내용을 설명해 보았다. 최근 신선편이농산물은 시장은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외식시장, 단체급식업체에서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해 선호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박피, 제심, 절단, 세척 등의 최소가공공정을 거쳐 완성된 편이식 채소나 과일을 구매하는 경향 또한 급등하고 있다. 현재 국내 대형마트에서 판매하고 있는 신선편이농산물의 패키지디자인은 식품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한 포장재의 사용으로 유통 및 최종 소비단계에서 상품의 종합적인 가치를 저하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소량 패키지가 아닌 대량 패키지 형태의 제품이 많았으며 그 과정에 생기는 부패, 변질로 인해 발생하는 쓰레기 또한 환경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푸드마케팅, 황조혜, 김선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윤기선, 식문화 변화에 따른 신선편이 식품 발전방안,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13(1):26-31, 2014.
조혜영, 「제외국 건강기능식품 규제 관리제도 조사 연구」,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17.
김두진, “건강기능식품 표시·광고 법제의 현황 및 개선방안 - 미국, 유럽연합, 중국 법제와의 비교 및 함의를 중심으로”, 소비자법연구, 8권4호, p.4-97, 한국소비자법학회, 2022.
강태미, 조선경, 박지용, 송경빈, 정명수, 박종현. 2011. 유통중인 즉석섭취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세균 오염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김상효, 이계임, 허성윤, 이욱직. 신선편의 과일·채소 시장 변화와 대응과제.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가격6,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4.03.31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5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