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신장실 반영일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공신장실 반영일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시
2. 제목(주제가 되는 경험, 상황)
3. 임상경험(직접 참여, 수행, 관찰) : 객관적으로 그대로 기술
4. 반영적 사고(Reflective review)(이론, 정상기준, 간호의 표준 등에 비추어 경험한 상황을 돌아 봄)
느낀 점, 배운 점

본문내용

분들을 많이 만나다보니 그 두려움은 사라졌고, 무의식적으로 더욱 자주 손위생을 하는 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환자분들이나 사원님들이 접촉주의 환자분의 침상을 지날 때 살짝이라도 스치면 어디선가 간호사선생님이 와서 접촉되었으니 빨리 손 씻으라고 말해주는 모습과 접촉주의 환자에게 다가갈 때 철저하게 무균술을 지키는 모습을 보면서 선생님들은 항상 신경이 곤두서 있고 대단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나중에 임상에 가서 더욱 신경써야겠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CPE와 CRE에 대해서 자세히 알게되었다.
11/4
(목)
3way foley catheter
(관찰)
전날 왼쪽 하지 절단술을 한 59세 남성 김00 환자분에게 3way foley catheter가 적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가까이서 확인해보니 하나의 관에는 urine bag이 연결되어 있었고, 다른 하나의 관에는 생리식염수가 연결되어 주입되고 있었다.
선생님께서 3way foley catheter는 irrigation이 필요할 때 사용하게 된다고 하셨다. irrigation을 하는 이유가 궁금하여 추가로 학습하였다.
Foley irrigation 목적
- 방광 내에 고여있는 blood crot 덩어리나 농,점액 등을 씻어내는 것 (blood crot:혈액 덩어리)
- Hematuria가 있을 경우 urine이 turbid하기때문에 방광을 한 두번 씻어내면서 고여있는 것들을 배출시키는 것
학교에서는 매번 2way foley catheter만 보다가 처음으로 3way foley catheter라는 것을 알게되어서 너무 신기하였다. 3way foley catheter의 도관은 balloning용, urine bag연결 용, 생리식염수 irrigation용으로 나눠져 있고, irrigation은 방광 내에 고여있는 것들을 씻어내면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11/5
(금)
AVF 혈류검사
(관찰)
정기 혈류검사 시 혈류가 120으로 측정되어, 추가 검사 후 혈관 stant 시술을 한 환자분을 대상으로 혈류검사를 시행하였다.
손위생을 실시한다.
환자에게 혈류검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
모니터에서 환자의 기록을 불러온다.
환자의 지난번 검사수치를 확인한다.
투석기의 동맥과 정맥 연결선을 소독솜으로 소독한다.
혈류검사 기기를 동맥과 정맥에 연결한다.
혈류검사를 시행한다. (정방향)
역방향으로 한번 더 혈류검사를 시행한다.(동맥과 정맥 카테터의 위치를 바꿔준다.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면서 검사를 한번 더 시행한다,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검사결과를 기록지에 기록한다.
환자에게 검사결과에 대해 설명한다.(“환자분 저번에 혈류검사결과 120으로 나와서 시술 했는데요. 지금 혈류검사 해보니 490으로 많이 좋아졌습니다.”)
손위생을 실시한다.
혈류검사의 목적
- 혈관막힘을 조기에 측정하여 미리 예방하는 HD03 장비를 사용하여 혈관 막힘을 예방하고 미리 관리 할 수 있도록
혈류검사의 장점
혈류량 측정을 통해 혈관 막힘을 조기에 발견하여 혈관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음
혈관협착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협착을 예방할 수 있음,
짧고 간단한 측정시간
투석된 혈액의 정상 순환여부 확인(재순환)
혈류검사 결과
1) 정상수치
Fore arm : 600~2000
Upper arm : 800~2300
2) 수치 감소 의의
협착, 혈전 등
3) 수치 증가의 의의
심부담↑
혈액투석 환자들은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의 혈류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빠른 시간 안에 작은 기계로 혈류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였다. 그리고 선생님이 이 기계로 재순환률도 측정할 수 있다면서 재순환에 대해 설명해주셨는데, 투석된 혈액이 재순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석 바늘을 천자할 때 그냥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5cm 이상 간격을 두어 천자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11/5
(금)
혈당검사, Infusion pump를 사용한 인슐린 주입
(관찰)
infusion pump로 인슐린을 주입하고 있는 무의식 환자 78세 윤00분의 혈당을 2시간마다 확인하였다.
준비물 : 5cc syringe, 혈당측정기, 혈당 측정 검사지, 손소독제, 소독솜
손위생을 시행한다.
무의식 환자였기 때문에 개방형으로 질문은 하지 않고 대상자의 입원 팔찌를 확인하였다.
손소독을 시행하였다.
혈당측정기의 전원을 켜고 혈당 측정 검사지를 혈당 측정기에 꽂았다.
투석기의 정맥라인 입구를 소독솜으로 소독하였다.
투석기 정맥라인의 입구를 통해 5cc syringe로 약간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측정 검사지에 혈액을 스며들게 하였다.
측정 검사를 확인하고 간호기록지에 기록하였다.
선생님이 주기적으로 infusion pump를 통해 insulin이 잘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하였고, Infusion pump는 자주 확인하고 주의해야 한다고 하셔서 Infusion pump 사용 시 주의해야 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Infusion pump 사용 시 주의사항
- Infusion pump는 보통 pole대에 고정하는데 느슨하게 고정하면 환자에게 떨어지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고정이 단단하게 되어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
전원이 잘 꽂아져있는지,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았는지 확인
알람, 주입속도가 잘 설정되어있는지 확인
수액세트가 꼬이거나 깔린 부분이 없는지 확인
혈당 정상수치
1) 공복 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한 혈당농도
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 100~125mg/dL이면 공복혈당장애로 의심
2) 식후 2시간 혈당
200mg/dL 이상이면 당뇨, 140~199mg/dL이면 내당능 장애로 의심
투석을 하고있는 환자들은 굳이 손가락을 찔러 피를 내어 혈당검사를 하지 않고, 투석기에 흐르고 있는 혈액을 체취하여 혈당검사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Infusion pump를 처음 실제로 봐서 신기했고, 생각했던 것보다 조작방법이 복잡해보였다. 그리고 Infusion pump를 적용해놓으면 끝일 줄 알았는데, 주기적으로 가서 배터리가 있는지, 잘 주입되고있는지, pole대에 잘 고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4.04.03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