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종양내과 반영일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종양내과 반영일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lab검사를 통해 PLT수치가 50K이상이 되어야 안전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7/19
(화)
IV
(관찰)
IV라인 잡아놓은 것이 자주 막히는 환자분을 대상으로 새로운 라인을 잡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1. 침상 옆의 수액 걸대에 수액백을 걸고 수액세트의 끝을 대상자에게 주사할 부위 가까이에 둔다.
2.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정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3. 정맥 상태가 양호한 부위보다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어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보다 정맥이 곧고 길게 두드러진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4. 손소독을 한 후 소독솜으로 정맥 천자할 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8cm 둥글게 닦는다.
5. 정맥 천자부위의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분의 피부를 한손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다음 다른 손으로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15~30도로 혈류 방향을 따라 카테터를 정맥 내로 삽입한다.
6. 카테터 내로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의 중심부를 잡고 카테터의 삽입각도를 낮추면서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면서 카테터 길이만큼 탐침을 조금씩 빼낸다.
7. 카테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 카테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지혈대를 푼다.
8. 한손으로 혈관 내로 삽입된 카테터의 끝 부위를 눌러주면서 다른 손으로 탐침을 재빨리 제거한다.
9. 탐침을 제거한 후 바로 수액세트의 튜브를 카테터의 중심부와 연결하여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10. 고정용 반창고로 고정하고 카테터 삽입 날짜와 카테터의 크기를 기입한다.
● 정맥주사 부위
1. 성인
- 수액을 계속 주입하는 경우 : 중수정맥, 척측피정맥 및 요측피정맥을 흔히 사용
- 검사물 채취 시 : 척측피정맥, 중척골정맥
2. 영아
- 수액을 장기간 주입하는 경우 : 측두골의 두피정맥, 손발의 정맥
- 검사물 채취 시 : 외경정맥, 대퇴정맥
3. 주사부위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인
- 순환상태, 정맥의 상태, 약물의 종류와 약물요법의 기간, 대상자의 안위
● 정맥주사 부작용
1. 정맥염
정맥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염증으로 인해 삽입 부위의 혈관벽에 섬유소막이 형성되어 혈전이 형성된다. 산선용액을 주입하거나 주입량이 많고 속도가 빠른 경우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맥염이 발생된 경우 주사 부위를 바꾸고 마사지 하지 않는다.
2. 침윤/일혈
수액이 정맥이 아닌 주위 조직으로 침윤되어 통증과 종창을 유발한다. 비발포성 약제의 유출을 침윤이라고 하고, 발포성 약제의 유출을 일혈이라고 한다. 예방하기 위해 큰 혈관을 삽입부위로 선정하고, 삽입부위를 안정되게 고정하며 부위의 운동을 제한한다. 주사 바늘의 위치를 수시로 확인하며, 침윤/일혈된 부위는 상승시켜 주고 냉찜질을 하면 불편감 감소에 도움이 된다. 심각성에 따라 해독제 사용, 수술적 중재 등을 시행한다.
3. 국소감염
바늘 삽입부위를 통한 미생물의 침입으로 유발된다. 주입 1시간 후 오한과 발열 반응이 나타난다. 예방을 위해 손을 철저히 씻고, 삽입 시 외과적 무균술을 유지하여 수액세트를 24~72시간 마다 교환한다.
4. 순환 과잉
약물이 순환계에 너무 빠른 속도로 주입되었을 경우 생길 수 있는데 두통, 불안, 현기증, 요통, 오한, 호흡곤란, 빈맥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주입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5. 색전증
심장, 혈관 내로 이물질이나 공기가 들어가서 혈관강을 차단한 상태로 막힌 혈관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주로 호흡기계 곤란, 흉통, 청색증, 혈압 하강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예방하기 위해 수액 세토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공기 제거가 되는 필터를 사용한다. 색전증이 의심되면 머리부분을 낮추고 좌측위를 취해준다.
학교에서 실습할 때 모형에 하는 것도 손이 떨렸는데 아무렇지 않게 정맥주사 할 부위를 찾고 능숙하게 수액연결을 하시는 것을 보고 나도 떨지 않고 능숙하게 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혈관이 잘 보이지 않는 환자나 오랜기간 IV를 한 환자는 더 이상 핏줄이 없어서 찾기 힘들다고 한다. 따라서 얇은 핏줄에 IV를 연결하게 되면 일정시간 후에 핏줄이 터져버리게 된다고 하는 것을 듣고 환자들이 하루 빨리 완쾌하셨으면 좋겠다고 느꼈다.
7/20
(수)
BST
(직접수행)
DM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9시에 정규 BST를 직접 측정하였다.
BST하는데 필요한 준비물을 챙긴다.
손위생을 실시한다.
환자에게 가서 간호사 소개를 한다.
환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확인한다.
손소독을 실시한다.
소독솜으로 손가락을 소독한다.
잘 말리고 란셋으로 손가락 측면을 찌른다.
나온 혈액을 검사지에 흡수한다.
결과를 확인하고 환자에게 알려준다.
새로운 소독솜을 꺼내 혈액이 나온 부위를 눌러준다.
손소독을 시행한다.
혈당의 정상범위에 대해 알아보았다.
● 공복혈당
(최소 8시간 이상 금식)
정상 : 100mg/dL 미만
당뇨병 전단계 : 100mg/dL ~125mg/dL
당뇨병 : 126mg/dL 이상
● 식후 2시간 혈당
정상 : 140mg/dL 미만
당뇨병 전단계 : 140mg/dL ~199mg/dL
당뇨병 : 200mg/dL 이상
DM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후 2시간 혈당을 측정하는데 200이 넘는 분을 확인하였다. 선생님한테 말씀드렸더니 이 병동은 300이 넘어야 의사에게 노티한다고 말씀해주셨다. 병원마다 BST측정 후 노티하는 범위가 다르니 나중에 취업할 때 꼭 확인하라고 해주셨다.
참고문헌
- 캔서앤서(cancer answer)
(http://www.canceranswer.co.kr)
-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 안전사용정보
(https://nedrug.mfds.go.kr/index)
- [네이버 지식백과] 골수 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55)
서울아산병원 의학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24.04.03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