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 갑상선암 수술후 간호과정 2개 (A+ 받은 자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 갑상선암 수술후 간호과정 2개 (A+ 받은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자 사정
2. 진단 자가학습
3. 자료수집
4.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본문내용

2. 통증의 위치, 양상, 빈도, 그리고 지속시간에 대한 질문을 통하여 통증을 사정하고, 말이나 글로 표현하게 했다.
(위치: 목, 겨드랑이, 양상: sharp, 빈도: 지속적, 지속시간: 2시간)
<치료적 측면>
PRN 처방을 확인하고 진통제(Tridol)를 투여했다.(“NRS 4< Tridol 50mg/1ml/A 1AM BY IV 투여”)
의사 처방을 확인하고 PCA를 적용하였다.(PCA - Fentanyl citrate 1mg/20 1AM)
<교육적 측면>
교육용 유인물과 실물 PCA를 이용하여 직접 PCA 버튼을 눌러보게 하고, 한 번 누른 후에는 일정시간 동안 다음 약이 투여되지 않는다는 것, 보호자가 대신 PCA 버튼을 누르면 안되는 것, 그리고 호흡곤란, 오심구토,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바로 알려줄 것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현재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도록 교육하였다.(“지금은 좀 나은데, 기침이 나오면 너무 아파요.”)
참고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여, 천천히 심호흡을 하며 통증을 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장기목표>
퇴원 시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로 표현하여 목표가 달성되었다.(“수술했던 날보다 정말 많이 나아졌어요.”)
<단기목표>
수술 당일 NRS 5점이었던 환자는 퇴원일에 NRS 2점이 되어 목표가 달성되었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수집>
- “이렇게 평생 쉰 목소리만 나오는건가요?”
“제 식사에서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건 빼서 주시는 거죠?”
“시간을 놓쳐서 가글하는 걸 까먹었는데 한 번쯤은 괜찮겠죠?”
<객관적 자료수집>
목을 전혀 움직이지 않고 계속 부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임.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와 관련한 내용을 세 가지 이상 말로 설명한다.
<진단적 측면>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측면>
대상자에게 신체적, 정서적으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교육적 측면>
보호자를 포함하여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호자를 포함하여 수술 후 올바른 관리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진단적 측면>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심리적 고통을 이해하고 지식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환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해야 한다.(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2021), 379)
<치료적 측면>
대상자를 교육하기 전에는 기본적인 생리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므로, 환자의 불안을 사정하고 불안 조절 간호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지지를 제공한다.(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2021), 139)
<교육적 측면>
환자에게 수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 주고 수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2021), 315)
신체기관과 조직의 기능 회복 및 유지, 불편감과 통증의 경감,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예방이 중요하다.(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2021), 315)
<진단적 측면>
수술 후 관리법과 관련하여 세 가지 질문을 하고 답변을 통해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주의해야 하는 식이가 있을까요?” -> “미역 같이 요오드가 들어있는 음식은 먹으면 안되지 않나요?”
“수술 후 한동안 절대 해서는 안되는 행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샤워랑, 기침, 그리고 목도 절대 움직이면 안되는 거로 알고 있어요.”
“가글은 하루에 몇 번 하는 거로 알고 계시나요?” -> “2시간 간격으로 시행해야 해요.”
(전반적인 지식은 있지만, 일부 잘못된 정보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음)
<치료적 측면>
통증 완화를 위해 반파울러 체위를 취하게 하고, 지속적으로 얼음찜질과 압박붕대를 제공하여 신체적으로 안정을 취하게 하고,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하여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였다.
<교육적 측면>
유인물을 통하여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출혈, 호흡기도 폐쇄, 그리고 목소리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호자를 포함하여 설명하였다.
설명서를 통하여 수술 후에는 특별히 주의해야 할 식이가 없고, 샤워나 기침은 당분간 금해야 하고, 2시간 간격으로 가글을 시행해야 하고, 지속적으로 얼음찜질을 해야한다는 등 올바른 관리법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그리고 관련된 동영상을 보여주며 꾸준한 목운동이 필요함을 교육하였다.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단기목표>
1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와 관련한 내용을 세 가지 말로 설명하여, 목표가 달성되었다.
(꾸준히 목 운동 하기, 2시간 간격으로 가글하기, 기침하지 않기)
<참고 문헌>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전남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서울대학교 암정보교육관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국립암센터,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2019년 암등록통계)”, 제117044호(2021)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국제성모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갑상선암 수술과 수술 전후 음성관리”, 제31호 제2권(2020), 49-55.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홈페이지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Patient-Controlled Analgesia(PCA)”
carefusion, “Patient information guide to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이진희, 조현숙, “체계적인 통증자가조절기에 대한 교육이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과 태도, 통증 및 진통제 사용량에 미치는 효과”, 제17권 제3호(2011), 455-466.
김경모, 황경균, “자가 조절 통증 치료법”,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2005), 95-100.
이잔디, 정웅윤, “경액와 액와부 접근법 로봇 갑상선 수술 후 삶의 질 변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 외과학교실, 제8권 제1호(2015), 19-25.
삼성서울병원, “갑상선암과 치료를 위한 안내”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4.04.10
  • 저작시기202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7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