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출혈 케이스스터디 / 외상성 경막하 출혈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ICU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 외상성 경막하 출혈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ICU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결과 및 사정 결과
3. 약물치료
4. 간호진단 목록
5. 간호과정

Ⅲ. 결론
1.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초) 1450ML
1450ML 1BAG
q24hrs
IV
- 정맥영양제
- 단백질 아미노산제제
에어탈정
Aceclofenac 100mg/A
100mg0.2mp/회
Bid
PO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애니디핀 정
Amlodipine 5mg
2.5mg
0.5 tab
Qd
PO
- 칼슘채널차단제
- 혈압강하제
판토록 정
Pantoprazole 40mg
40mg 1tab
Tid
PO
- 제산제, 소회성 궤양용제
케프라 정
Levetiracetam 500mg
500mg 1tab
Bid
PO
- 항경련제, 항전간제
- 뇌손상 환자들에게 루틴으로 PO로 깔아주어 seizure 예방
PRN
Furosemide 20mg
20mg 1amp
Qd
IV
- 이뇨제, 이뇨작용
타미풀주
Multi vitamin
1vial
q24hrs
IV
- 비타민 제제, 혼합 비타민제
3. 약물치료
4.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간호진단
1
혈종으로 인한 두개 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2
식욕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위험성
3
의식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5. 간호과정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안먹어”, \"물 아냐,,\"(200824)
- “아유..!! 그만.....”(200825)
객관적 자료
- 연하곤란 관찰됨 (200819)
- 기운 없고 식욕도 없다고 함(200819)
- 요플레 두 숟가락(200822)
- BST 75(200826)
- 매끼니 1/3도 안 먹음. 경구 섭취량 매우 저조한 상태 (200819~200826)
- 물도 안 마심, 입맛 없다고 먹기 싫다고 함
- Deep drowsy-confusion 상태 지속되어 깨워도 반응 잘 없음 (200819~200826)
간호진단
식욕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위험성
간호
목표
일반적 목표
- 대상자는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 대상자 선호에 맞는 적절한 식사방법으로 식사량이 증가한다.
구체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매 끼니에 1/2이상 식사를 한다.
- 대상자는 매일 구강섭취로 부족한 부분을 비경구적 영양법을
사용하여 1일 총 섭취량을 유지한다.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Mini Nutritional Assessment(MNA) 평가 점수가 23.5점 이상이 나온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2. 대상자가 적절히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대상자의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한다.
4. 대상자에게 부족한 양의 영양을 공급한다.
간호
수행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규칙적으로 사정하였다.
- Mini Nutritional Assessment(MNA) Short Form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영양 상태를 평가하였다.
- 3일/회 몸무게를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 하였다.
-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종류, 양을 확인하였다.
(I/O Check, 제공한 경장영양액 섭취 확인, 개인적으로 섭취한 음식 파악)
-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신체요구량보다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줄 수 있다.
2. 대상자가 적절히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위주로 섭취하도록 권면하였다. (요플레, 두유 등 권유)
- 대상자에게 최대한 끼니를 거르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소량이라도 섭취, 적게 자주 먹으려고 시도하도록 하기)
- 식사 시 입으로 직접 넣어드리며 더 먹을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 환경조성, 선호음식 제공 등의 방법으로 대상자를 격려하여 스스로의 의지를 들여 끼니를 거르지 않고 조금이라도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3. 대상자의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하였다.
-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환기 자주 시켜 불쾌한 냄새 나지 않게 하기)
- 식사 전후 주기적으로 구강위생 시행하도록 하였다. (4시간 마다 부드러운 칫솔로 칫솔질, 칫솔질 후 매 2시간 마다 식염수로 구강 세척하기)
- 매일 신체 요구량만큼의 영양섭취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식이와 경장영양제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대상자에게 부족한 양의 영양을 공급하였다.
- 처방된 Sodium Chloride 0.9%을 투여하였다.
- 처방된 TPN제제(Winuf Peri Inj)를 IV로 투여하였다.
- 처방된 Multi vitamin을 IV로 투여하였다.
- 영양사와 치료식과 관련된 상담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 식욕부진, 오심, 기력저하 등으로 구강섭취량이 저하된 대상자에겐 부족한 만큼의 영양 공급이 필수로 요해진다. 영양 상태를 파악해 TPN으로 영양을 공급한다.
간호
평가
- 대상자는 체중변화 없이 유지중이다.(200826)
- 대상자 선호에 맞는 적절한 식사방법을 통해 영양섭취를 격려중이며 매 끼니에 1/3정도 식사를 한다. (200826)
- 대상자는 비경구적 영양법을 사용하여 1일 총 섭취량을 유지하고 있다. (200826)
- 대상자의 Mini Nutritional Assessment(MNA) 평가 점수가 23.0점 측정되었다.(200826)
Ⅲ. 결론
1. 결론 및 제언
대상자는 휠체어 낙상으로 SDH 소견보여 ER통해 내원하셨다. 경막하혈종으로 인해 비효율적 조직관류가 발생하지만 관찰 당시 중재가 완료되어가는 시점이었고 식욕 저하가 가장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영양과 관련된 중재를 세우고 직접 시도보았다. 의식이 계속 저하된 상태이기에 그와 관련되어 낙상위험성, 피부 습함과 관련된 욕창위험성 등 대상자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생길 수 있는 간호문제를 도출해내어 그에 따른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을 세웠다. 간호과정에 적절한 교육과 투약, 환경조성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보았다.
Ⅳ. 참고문헌
-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 https://blog.naver.com/juwonlidwina/222103216359
- https://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
- http://www.hankookhospital.co.kr/knowledge_dept5/12997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4.04.20
  • 저작시기2020.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8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