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9장. 심혈관계~맥관계
2. 제 11장. 복 부
3. 제 12장. 신경계
2. 제 11장. 복 부
3. 제 12장. 신경계
본문내용
보세요, 눈썹을 올려 보세요, 치아를 보여주세요, 뺨을 부풀려보세요. 그리고 후~하고 공기를 빼보세요.
간호사 : 공기 동시에 양쪽 똑같이 빠지고, 얼굴 표정 좌우대칭이고 경련이나 처짐, 늘어짐 없이 부드럽게 움직이므로 정상입니다.
13
제8뇌신경(청신경)을 사정한다
1) 속삭임: 대상자 뒤쪽에서 속삭이는 소리로 청력 사정한다
2) 웨버검사: 음차를 진동시켜 앞이마나 머리 위에 높고 양쪽 귀에서 같은 진동음을 느끼는지 확인한다.
3) 린네검사: 음차를 진동시켜 유양돌기 위에 놓아 골전도 시간을 측정한다. 더 이상 들을 수 없을 때 음차를 귀 앞에 놓아 공기 전도 시간을 측정한다. 골전도와 공기전도 시간의 비를 평가한다
1)간호사 : 청신경 검사하겠습니다. 제가 속삭이는 소리를 듣고 똑같이 말씀해주세요.
간호사 : (속삭이며) 사과
간호사: 양쪽귀 모두 속삭임검사 정상입니다.
2) 간호사 : 웨버검사 하겠습니다. 양쪽귀에서 같은 진동이 느껴지시나요?
3) 간호사: 다음은 린네검사 입니다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말씀해 주세요. 반대쪽 하겠습니다
골전도 6초 공기전도가 14초로 2배이상 길게 느껴지므로 정상입니다.
14
제 9, 10뇌신경(설인신경, 미주신경)을 사정한다
1) 입을 벌려 ‘아’ 소리를 내게 하여 쉰 목소리가 나는지 양쪽 연구개가 대칭적으로 올라가는지 확인한다.
2) 구토반사와 연하작용을 검사한다. --> 말만하기
간호사 : 설인신경과 미주신경 검사하겠습니다. 입을 벌려 ‘아’ 해보세요.
환자 : 아-
간호사 : 쉰 목소리 나지 않고, 구개수와 연구개가 중간정도로 상승되며, 양쪽 연구개가 대칭적으로 올라가므로 정상입니다.
간호사 : 구토반사와 연하작용 모두 원활해 정상입니다.
15
제 11뇌신경(부신경)을 사정한다
1) 대상자에게 검진자가 뺨에 댄 손에 저항하여 고개를 오른쪽과 왼쪽으로 세게 돌려보라고 한다.
2) 대상자의 어깨를 누르면서 위로 으쓱 올려보라고 한다. 저항감이 양측이 동일한지 확인한다
간호사 : 척추부신경 검사하겠습니다. 제가 뺨에 손을 대어 밀도록 하겠습니다. 밀리지 않도록 해주세요.
간호사 : 제가 어깨를 누를테니 어깨를 위로 올려보세요.
간호사 : 위축이나 근육 허약 없이 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동일한 힘이 느껴지므로 정상입니다.
16
제12뇌신경(설하신경)을 사정한다
2) 혀를 앞으로 내민 다음 집어넣게 한다. 혀를 내밀어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다.
3) 혀끝으로 뺨의 안쪽에 대항하여 밀어보게 한다. 대상자의 외부 뺨에 손가락 한두 개로 눌러 저항을 제공하여 혀로 밀어보게 한다. 다른 쪽도 반복한다. 힘을 평가한다
간호사 : 설하신경 검사하겠습니다. 혀를 앞으로 내밀어서 좌우로 움직여보세요. 코쪽으로 내밀어 보세요. 아래턱 쪽으로 내밀어 보세요.
간호사 : 혀로 뺨을 밀어보세요. 제가 손가락으로 눌러보겠습니다.
간호사 : 반대 쪽도 해주세요. 혀가 편위나 위축이 없이 힘이 균형적이므로 정상입니다.
운동계
17
소뇌기능(조정과 숙련된 움직임)사정
1) 빠른 교대운동: 손바닥과 손등을 교대로 무릎을 반복으로 치게 하면서 속도를 점점 빠르게 한다.
2) 지적운동: 대상자의 시지로 검진자의 시지와 자신의 코끝을 닿게 한다. 검진자는 여러방향으로 움직여 대상자가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따라오는지 확인한다.
1) 간호사 : 소뇌기능 검사하겠습니다. 손바닥과 손등을 교대로 무릎을 반복해서 쳐주세요. 그리고 점점 빨리 쳐주세요.
간호사 : 빠른 리듬의 속도를 양손이 같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2) 간호사 : 제 검지를 대상자 분의 검지로 닿게 한 후 검지를 코에 닿게 해주세요. (검지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인다.)
간호사 : 움직임이 유연하고 정확하므로 정상입니다.
감각계
18
진동감각: 뼈 돌출부위에서 음차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뼈 표면 주의)간호사 : 제가 뼈 부분에 진동을 줄텐데 눈을 감고 진동이 느껴지면 말씀해주세요.
환자 : 느껴집니다.
간호사 : 감각의 소실없이 뼈 돌출부위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19
입체감각인식: 대상자에게 눈을 감도록 하고 친숙한 물체(종이클립, 동전, 솜뭉치, 연필)를 대상자의 손바닥에 놓고 구별하도록 한다.
간호사 : 눈을 감으시고 제가 대상자 분 손에 놓은 것을 맞혀보세요.
간호사: 구별할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20
그림감각: 대상자에게 눈을 감도록 하고 손바닥에 연필이나 펜의 무딘 쪽으로 숫자나 문자를 쓰고 알아맞히도록 한다.
간호사 : 눈을 감으시고 제가 대상자 분 손에 그린 것을 맞혀보세요.
간호사 : 피부 위에 그려진 숫자를 읽을 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반사
21
표면 반사
족저 반사(바빈스키 반사): 반사용 망치의 뒷부분을 이용하여 발바닥 외측의 발꿈치 부분부터 발가락까지 줄을 그면서 자극하여 족저반사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간호사 : 발바닥을 보여주세요. (발꿈치부터 애기발가락, 엄지발가락 순으로 자극함)
반대쪽 하겠습니다.
간호사 : 발바닥 굴곡되고 발가락이 내번되며 굴곡되는 족저반사가 나타나므로 정상입니다.
22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간호사 : 편안한 자세로 계시면 됩니다.
23
검진이 끝났음을 알리고, 질문할 것은 없는지 물어본다,
간호사 : 검진이 끝났습니다. 질문이 있으십니까?
환자: 아니요.
24
손을 씻는다.
25
검진결과를 기록한다.
[검진결과 기록]
-뇌신경
1뇌신경:후각 정상
2뇌신경: 시력0.8, 0.6 대면법에 의한 시야 정상
5뇌신경:턱의 힘 양쪽 동일함, 촉각 정상, 각막반사 정상
7뇌신경:안근근육 정상, 대칭적
8뇌신경:청력정상, 속사이는 소리 양쪽 모두 들을수 있음, 공기전도가 골전도 시간의 두배이상
9,10뇌신경:소리낼 때 정중선의 구개수가 올라감, 구토반사, 연하작용 나타남
11뇌신경:어깨를 으쓱함, 머리 움직임 양쪽 동등함
12뇌신경:혀의 편위나 위축, 진전없이 정상
-운동
위축,허약,진전 없음. 빠른 교대운동 부드럽고 정상적으로 수행함
-감각
진동감각 반응 있음, 입체감각과 그림감각 모두 정상적으로 인식함
-반사
발바닥 굴곡되고 발가락 내번되며 굴곡되는 족저반사 나타남
간호사 : 공기 동시에 양쪽 똑같이 빠지고, 얼굴 표정 좌우대칭이고 경련이나 처짐, 늘어짐 없이 부드럽게 움직이므로 정상입니다.
13
제8뇌신경(청신경)을 사정한다
1) 속삭임: 대상자 뒤쪽에서 속삭이는 소리로 청력 사정한다
2) 웨버검사: 음차를 진동시켜 앞이마나 머리 위에 높고 양쪽 귀에서 같은 진동음을 느끼는지 확인한다.
3) 린네검사: 음차를 진동시켜 유양돌기 위에 놓아 골전도 시간을 측정한다. 더 이상 들을 수 없을 때 음차를 귀 앞에 놓아 공기 전도 시간을 측정한다. 골전도와 공기전도 시간의 비를 평가한다
1)간호사 : 청신경 검사하겠습니다. 제가 속삭이는 소리를 듣고 똑같이 말씀해주세요.
간호사 : (속삭이며) 사과
간호사: 양쪽귀 모두 속삭임검사 정상입니다.
2) 간호사 : 웨버검사 하겠습니다. 양쪽귀에서 같은 진동이 느껴지시나요?
3) 간호사: 다음은 린네검사 입니다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말씀해 주세요. 반대쪽 하겠습니다
골전도 6초 공기전도가 14초로 2배이상 길게 느껴지므로 정상입니다.
14
제 9, 10뇌신경(설인신경, 미주신경)을 사정한다
1) 입을 벌려 ‘아’ 소리를 내게 하여 쉰 목소리가 나는지 양쪽 연구개가 대칭적으로 올라가는지 확인한다.
2) 구토반사와 연하작용을 검사한다. --> 말만하기
간호사 : 설인신경과 미주신경 검사하겠습니다. 입을 벌려 ‘아’ 해보세요.
환자 : 아-
간호사 : 쉰 목소리 나지 않고, 구개수와 연구개가 중간정도로 상승되며, 양쪽 연구개가 대칭적으로 올라가므로 정상입니다.
간호사 : 구토반사와 연하작용 모두 원활해 정상입니다.
15
제 11뇌신경(부신경)을 사정한다
1) 대상자에게 검진자가 뺨에 댄 손에 저항하여 고개를 오른쪽과 왼쪽으로 세게 돌려보라고 한다.
2) 대상자의 어깨를 누르면서 위로 으쓱 올려보라고 한다. 저항감이 양측이 동일한지 확인한다
간호사 : 척추부신경 검사하겠습니다. 제가 뺨에 손을 대어 밀도록 하겠습니다. 밀리지 않도록 해주세요.
간호사 : 제가 어깨를 누를테니 어깨를 위로 올려보세요.
간호사 : 위축이나 근육 허약 없이 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동일한 힘이 느껴지므로 정상입니다.
16
제12뇌신경(설하신경)을 사정한다
2) 혀를 앞으로 내민 다음 집어넣게 한다. 혀를 내밀어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다.
3) 혀끝으로 뺨의 안쪽에 대항하여 밀어보게 한다. 대상자의 외부 뺨에 손가락 한두 개로 눌러 저항을 제공하여 혀로 밀어보게 한다. 다른 쪽도 반복한다. 힘을 평가한다
간호사 : 설하신경 검사하겠습니다. 혀를 앞으로 내밀어서 좌우로 움직여보세요. 코쪽으로 내밀어 보세요. 아래턱 쪽으로 내밀어 보세요.
간호사 : 혀로 뺨을 밀어보세요. 제가 손가락으로 눌러보겠습니다.
간호사 : 반대 쪽도 해주세요. 혀가 편위나 위축이 없이 힘이 균형적이므로 정상입니다.
운동계
17
소뇌기능(조정과 숙련된 움직임)사정
1) 빠른 교대운동: 손바닥과 손등을 교대로 무릎을 반복으로 치게 하면서 속도를 점점 빠르게 한다.
2) 지적운동: 대상자의 시지로 검진자의 시지와 자신의 코끝을 닿게 한다. 검진자는 여러방향으로 움직여 대상자가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따라오는지 확인한다.
1) 간호사 : 소뇌기능 검사하겠습니다. 손바닥과 손등을 교대로 무릎을 반복해서 쳐주세요. 그리고 점점 빨리 쳐주세요.
간호사 : 빠른 리듬의 속도를 양손이 같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2) 간호사 : 제 검지를 대상자 분의 검지로 닿게 한 후 검지를 코에 닿게 해주세요. (검지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인다.)
간호사 : 움직임이 유연하고 정확하므로 정상입니다.
감각계
18
진동감각: 뼈 돌출부위에서 음차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뼈 표면 주의)간호사 : 제가 뼈 부분에 진동을 줄텐데 눈을 감고 진동이 느껴지면 말씀해주세요.
환자 : 느껴집니다.
간호사 : 감각의 소실없이 뼈 돌출부위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19
입체감각인식: 대상자에게 눈을 감도록 하고 친숙한 물체(종이클립, 동전, 솜뭉치, 연필)를 대상자의 손바닥에 놓고 구별하도록 한다.
간호사 : 눈을 감으시고 제가 대상자 분 손에 놓은 것을 맞혀보세요.
간호사: 구별할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20
그림감각: 대상자에게 눈을 감도록 하고 손바닥에 연필이나 펜의 무딘 쪽으로 숫자나 문자를 쓰고 알아맞히도록 한다.
간호사 : 눈을 감으시고 제가 대상자 분 손에 그린 것을 맞혀보세요.
간호사 : 피부 위에 그려진 숫자를 읽을 수 있으므로 정상입니다.
반사
21
표면 반사
족저 반사(바빈스키 반사): 반사용 망치의 뒷부분을 이용하여 발바닥 외측의 발꿈치 부분부터 발가락까지 줄을 그면서 자극하여 족저반사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간호사 : 발바닥을 보여주세요. (발꿈치부터 애기발가락, 엄지발가락 순으로 자극함)
반대쪽 하겠습니다.
간호사 : 발바닥 굴곡되고 발가락이 내번되며 굴곡되는 족저반사가 나타나므로 정상입니다.
22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간호사 : 편안한 자세로 계시면 됩니다.
23
검진이 끝났음을 알리고, 질문할 것은 없는지 물어본다,
간호사 : 검진이 끝났습니다. 질문이 있으십니까?
환자: 아니요.
24
손을 씻는다.
25
검진결과를 기록한다.
[검진결과 기록]
-뇌신경
1뇌신경:후각 정상
2뇌신경: 시력0.8, 0.6 대면법에 의한 시야 정상
5뇌신경:턱의 힘 양쪽 동일함, 촉각 정상, 각막반사 정상
7뇌신경:안근근육 정상, 대칭적
8뇌신경:청력정상, 속사이는 소리 양쪽 모두 들을수 있음, 공기전도가 골전도 시간의 두배이상
9,10뇌신경:소리낼 때 정중선의 구개수가 올라감, 구토반사, 연하작용 나타남
11뇌신경:어깨를 으쓱함, 머리 움직임 양쪽 동등함
12뇌신경:혀의 편위나 위축, 진전없이 정상
-운동
위축,허약,진전 없음. 빠른 교대운동 부드럽고 정상적으로 수행함
-감각
진동감각 반응 있음, 입체감각과 그림감각 모두 정상적으로 인식함
-반사
발바닥 굴곡되고 발가락 내번되며 굴곡되는 족저반사 나타남
추천자료
당뇨병 환자 개입
간호사례연구 - 협심증
ICU Case)외과중환자실(SICU) 췌장암 case study(케이스스터디)
간암 케이스 스터디 HCC : Hepatocellular Carcinoma case study간의 구조와 기능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장실습 A+받은 Case study입니다.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성인간호실습 A+] ORIF, 대퇴골 골절 폐쇄성 케이스, 간호진단 급성통증, 감염의 위험, 피부...
[A+자료] 불안정형 협심증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A+] 불안정형 협심증 케이스
A+ 망막박리 case study (문헌고찰, 건강사정, 간호진단,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