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여성 병동 실습 / 3-1 여성건강간호학 케이스(질 탈출증) 학점 A+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여성 병동 실습 / 3-1 여성건강간호학 케이스(질 탈출증) 학점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동기
 2. 사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문헌고찰
1) 질 탈출증
 (1) 해부생리
 (2) 정의
 (3) 원인 및 유형과 증상
 (4) 수술치료
 (5) 진단 및 간호방법
 
Ⅱ. 본론
 1. 환자정보조사
 2. 임상검사
 3. 투약기록
 4. 간호과정
 
Ⅲ. 결론
   1. 소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력을 키움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요인과 낙상 예방교육을 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호출벨 위치와 사용법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3)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을 위한 보조기구 적용법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달성(1/12)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 내로 낙상 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달성
문제중심기록지작성
건강문제 2
감염의 위험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01/08 JP bag 삽입
01/08 Foley Catheter 삽입
01/08 Jp bag 삽입부위 oozing 확인 후
새는 곳 없음 관찰함.
[I/O 측정기록]
24-01-09
24-01-10
I/O
11시
13시
19시
06시
13시
19시
Total intake
Total output
650
210
452
905
250
1330
Foley catheter
(output)
650
200
450
900
200
1300
Urine 양(cc)
JP bag(output)
10
2
5
50
30
[LAB 검사기록]
[활력징후 기록]
간호진단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Risk for Infection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 동안 활력 징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
간호계획 및 수행
진단적 계획
1. V/S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SN)
2. 배액관 삽입 부위, IV Line 삽입부위(부종,발적), 카테터 삽입부위에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있는 지 사정한다(RN)
3. 배액 양상을 사정한다.(RN)
치료적 계획
1. 배액관 관리 시 무균술을 적용한다.(RN)
2. 배액관 드레싱을 하루에 2번 이상 시행한다.(RN)
3. 배액관 줄을 단단히 고정하고 줄이 꼬이지 않았는 지 사정한다.(RN,SN)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배액관 관리방법에 대해 교육한다.(RN)
2. 대상자에게 배액관 삽입 후 감염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RN)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올바른 손씻기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RN,SN)
합리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V/S는 대상자의 감염 징후를 알 수 있다.
2) 배액관 삽입 부위, IV Line 삽입부위(부종,발적), 카테터 삽입부위를 확인하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3) 배액 양상(색,농도,양)등을 사정하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무균술 적용하여 교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2) 배액관 드레싱을 하루 2번 이상 할 경우 오염을 방지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3) 배액관 줄을(꼬임,고정 안됨)등 을 확인하면 배액이 정체되거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배액관 관리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2) 대상자에게 배액관 삽입 후 감염 증상을 교육함으로써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달성(01/12)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 동안 활력 징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 > 달성
문제중심기록지작성
건강문제 3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배액관은 언제 빼야해요?”
객관적 자료
연세 74세 고령자(섬망증상,지남력의 기복)
01/08 Pelviscopic-Pectopexy 수술.
01/08 JP bag 삽입, 01/12일 제거된 것을 관찰함.
퇴원과 관련된 질문을 하는 것을 관찰함.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Deficient Knowledge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후 다음 외래진료까지 합병증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자가관리 방법에 대해서 이해했다고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지식수준과 학습내용에 대해 사정한다.(RN)
2. 대상자의 자가간호능력에 대해 사정한다.(RN)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RN)
2. 대상자에게 대상자가 이해하고 있는 내용을 확인한다.(RN,SN)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정상적인 식사의 패턴을 가지도록 교육한다.(RN)
2. 대상자에게 퇴원 후 상처관리, 배액관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RN)
3. 대상자에게 퇴원 전에 좌욕 사용법을 먼저 시범을 보여준 후, 퇴원 후 좌욕을 일주일 1-3회/일 시행하도록 교육한다.(RN)
합리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지식수준을 사정하면 퇴원계획을 세울 때 기초 교육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자가간호능력이 있는지 사정하면 퇴원계획을 세울 때 기초 교육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 이해하기가 쉬워 잘 실천할 수 있다.
2) 대상자가 정보를 이해하고 있는 지에 대해 사정하면 잘못되거나 모르는 부분을 바로 잡을 수 있다.
교육적 계획
1) 균형잡힌 식이유지를 통해 수술 후 상처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상처관리, 배액관 관리 교육을 통해 상처회복과 2참 감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3) 좌욕은 혈액순환을 돕고 신진대사를 높여 면역력을 향상시키므로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후 다음 외래진료까지 합병증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달성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자가관리 방법(목욕,머리감기 등)에 대해서 이해했다고 말로 표현한다. > 달성
Ⅲ. 결론
1. 소감
2. 참고문헌
[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848758 | 하이닥
질탈출증 정의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송도병원 네이버 포스트]
[MSD 매뉴얼 일반인용]
약물기록 - [네이버 지식백과]
약물기록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C0257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24.07.21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7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