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목차
I.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인간 발달에 대한 맥락적 접근
2. 상호작용에서의 교호적 영향의 의미
3. 가정환경과 아동발달
4. 가정환경과 아동발달간의 교호적 영향에 관한 연구
Ⅲ. 연구문제 및 가설
Ⅳ. 연구방법
1. 연구자료
2. 측정도구
3. 분석전략
4. 분석절차
Ⅴ. 연구결과
1. 유사인과관계분석(상관분석)
2. 공변량구조분석
Ⅳ. 종합논의 및 결론
1. 종합논의
2. 결론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인간 발달에 대한 맥락적 접근
2. 상호작용에서의 교호적 영향의 의미
3. 가정환경과 아동발달
4. 가정환경과 아동발달간의 교호적 영향에 관한 연구
Ⅲ. 연구문제 및 가설
Ⅳ. 연구방법
1. 연구자료
2. 측정도구
3. 분석전략
4. 분석절차
Ⅴ. 연구결과
1. 유사인과관계분석(상관분석)
2. 공변량구조분석
Ⅳ. 종합논의 및 결론
1. 종합논의
2. 결론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본문내용
child-rearing behavior is in part influenced and changed by the child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the parents must constantly self-monitor and evaluate their behavior in child-rearing practices.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the linear structural relation analysis, demand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cases in order to deal with an adequate number of variables. This requirement was not properly met in this study and,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future study of this kind should look into this aspect more closely.
Key words: reciprocal interaction, child effects, bidirectional influence, unidirectional influence, contextualism, life-span development, intelligence, social maturity, process environment, status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감사의 글
제가 대학에 입학하여 학부시절부터 인간발달에 관심을 가져 발달이론과 교육목표설정의 관련성을 주제로 졸업논문을 쓰고 석사과정에서는 주로 발달연구의 방법론 및 방향의 모색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썼습니다. 박사과정에서야 비로소 실제 자료를 가지고 실제의 발달현상을 다루게 되었으며 본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논문을 지도교수님이신 이성진 선생님께 바칩니다. 선생님은 저의 학부 시절 인간발달과 교육이라는 강의를 통해 만나 뵌 이후 학부졸업논문의 심사를 해주셨고 석사과정부터는 지도학생으로 받아주셨으며 난삽한 석사논문의 체제를 단기간에 바로 잡아 무사히 논문을 통과시켜 주셨고 박사논문 또한 20여년간 수집되어온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자료의 사용을 기꺼이 허락하셨으며 심지어 자료수집의 막중한 임무를 맡기시는 등 논문의 토대를 제공해 주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석사과정부터 박사과정까지 공부할 연구실을 제공해 주시고 이후 한국행동과학연구소로 불러 주시는 등 물심 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논문작성과정에도 수년에 걸쳐 수정과 교정, 심지어 영문초록까지 세세하게 지도해 주셨습니다. 그런 지도편달에도 불구하고 논문진척이 지지부진한 저를 무한한 인내심으로 기다려주셨습니다. 말로는 표현 못할 감사의 마음을 이렇게 은혜를 되새기는 것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학업지도위원이신 김기석 선생님과 문용린 선생님께서는 논문의 방법론적인 측면과 이론적인 측면에 대해 사전지도와 심사과정에서 논문의 전문성을 한층 높여주셨습니다. 특히 김기석 선생님께서는 본 논문의 주요 방법론인 공변량구조분석강의를 청강하는 것을 기꺼이 허락해 주시고 또 학업지도위원으로서 방법론의 틀을 잡아주셨습니다. 또한 학위논문의 학문적 의미를 저에게 되새겨주셔서 공부를 평생의 업으로 삼고자 결심했던 석사과정 입학 당시의 초발심을 다시 일깨워주신 것이 가장 도움이 컸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문용린 선생님께서는 석사과정부터 인간발달에 대한 저의 안목을 넓히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다양한 관점의 수용을 가능하게 해주셨으며 심사과정에서 논문의 문제의식을 명확히 하는데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이성수 선생님께서는 멀리 캐나다에서 교환교수로 오셔서 강의와 연구로 바쁘신 일정에도 소중한 시간을 할애하여 논문의 세밀한 결함까지 꼼꼼히 지도해 주셨고 우물한 개구리식의 논문이 되지 않도록 기초부터 엄격하게 검토해주셨으며 지방에 계시면서 서울에 올라오실 일이 있으시면 그 바쁘신 가운데에도 틈을 내어 지도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선생님의 국내체류기간동안 제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큰 행운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강태중 선생님은 후배에 대한 애정을 담은 지도를 해주셨습니다. 늘 따뜻한 말로 격려를 먼저 해주시고 아울러 솔직하고도 발전적인 조언도 아끼지 않으셔서 이에 용기를 얻어 논문완성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습니다. 불편한 몸이신 데에도 불구하고 저에 대한 배려를 아끼지 않으신 임승권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논문의 통계적 처리 및 해석에 지대한 도움을 준 류한구선생, 분석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준 성기선 선생, 항상 귀찮게 드나들어도 늘 웃는 얼굴로 대해주던 진영석 선생 외 조교실 후배들, 늘 격려를 아끼지 않은 황매향선생, 자발적으로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고 검토해준 양명희 선생 등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이 논문이 완성될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학위논문은 제쳐두고 연구소 일에 최우선인 전용오 선배님과 부지런히 학위논문을 쓰면서도 연구소일에 소홀함이 없던 여태철 선생을 비롯한 연구소 식구들은 학위논문 핑계 대고 연구소일을 소홀히 한 저에게 보이지 않는 원군이었습니다. 특히 연구소의 대모인 박민의 과장님과 인턴연구원으로 고생하면서도 틈틈이 논문작성을 도와준 허승연, 장연화 선생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작성에 전념하도록 최선의 조력을 아끼지 않은신 부모님과 장인장모님, 마지막 교정까지 잔일을 도맡아 해준 아내 최지은 선생, 힘들 때마다 삶의 의욕을 붇돋워 준 딸 정빈 등 가족 모두는 저의 삶의 의미이자 목표입니다. 학자의 모범을 보여주신 외삼촌 부부께서는 항상 든든한 후원자였습니다. 고교동창들을 비롯한 친구들도 가족과 다름없이 저를 끝까지 믿고 기다려주며 용기를 주었습니다.
논문을 완성하면서 그동안 잊혀져가던 배움을 향한 열정이 되살아 난 것이 저에게는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처음처럼 그 열정을 영원히 간직한 채 사는 것이 이 모든 분들의 은혜에 보답하는 길이라 생각하며 학문에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the linear structural relation analysis, demand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cases in order to deal with an adequate number of variables. This requirement was not properly met in this study and,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future study of this kind should look into this aspect more closely.
Key words: reciprocal interaction, child effects, bidirectional influence, unidirectional influence, contextualism, life-span development, intelligence, social maturity, process environment, status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감사의 글
제가 대학에 입학하여 학부시절부터 인간발달에 관심을 가져 발달이론과 교육목표설정의 관련성을 주제로 졸업논문을 쓰고 석사과정에서는 주로 발달연구의 방법론 및 방향의 모색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썼습니다. 박사과정에서야 비로소 실제 자료를 가지고 실제의 발달현상을 다루게 되었으며 본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논문을 지도교수님이신 이성진 선생님께 바칩니다. 선생님은 저의 학부 시절 인간발달과 교육이라는 강의를 통해 만나 뵌 이후 학부졸업논문의 심사를 해주셨고 석사과정부터는 지도학생으로 받아주셨으며 난삽한 석사논문의 체제를 단기간에 바로 잡아 무사히 논문을 통과시켜 주셨고 박사논문 또한 20여년간 수집되어온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자료의 사용을 기꺼이 허락하셨으며 심지어 자료수집의 막중한 임무를 맡기시는 등 논문의 토대를 제공해 주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석사과정부터 박사과정까지 공부할 연구실을 제공해 주시고 이후 한국행동과학연구소로 불러 주시는 등 물심 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논문작성과정에도 수년에 걸쳐 수정과 교정, 심지어 영문초록까지 세세하게 지도해 주셨습니다. 그런 지도편달에도 불구하고 논문진척이 지지부진한 저를 무한한 인내심으로 기다려주셨습니다. 말로는 표현 못할 감사의 마음을 이렇게 은혜를 되새기는 것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학업지도위원이신 김기석 선생님과 문용린 선생님께서는 논문의 방법론적인 측면과 이론적인 측면에 대해 사전지도와 심사과정에서 논문의 전문성을 한층 높여주셨습니다. 특히 김기석 선생님께서는 본 논문의 주요 방법론인 공변량구조분석강의를 청강하는 것을 기꺼이 허락해 주시고 또 학업지도위원으로서 방법론의 틀을 잡아주셨습니다. 또한 학위논문의 학문적 의미를 저에게 되새겨주셔서 공부를 평생의 업으로 삼고자 결심했던 석사과정 입학 당시의 초발심을 다시 일깨워주신 것이 가장 도움이 컸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문용린 선생님께서는 석사과정부터 인간발달에 대한 저의 안목을 넓히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다양한 관점의 수용을 가능하게 해주셨으며 심사과정에서 논문의 문제의식을 명확히 하는데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이성수 선생님께서는 멀리 캐나다에서 교환교수로 오셔서 강의와 연구로 바쁘신 일정에도 소중한 시간을 할애하여 논문의 세밀한 결함까지 꼼꼼히 지도해 주셨고 우물한 개구리식의 논문이 되지 않도록 기초부터 엄격하게 검토해주셨으며 지방에 계시면서 서울에 올라오실 일이 있으시면 그 바쁘신 가운데에도 틈을 내어 지도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선생님의 국내체류기간동안 제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큰 행운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강태중 선생님은 후배에 대한 애정을 담은 지도를 해주셨습니다. 늘 따뜻한 말로 격려를 먼저 해주시고 아울러 솔직하고도 발전적인 조언도 아끼지 않으셔서 이에 용기를 얻어 논문완성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습니다. 불편한 몸이신 데에도 불구하고 저에 대한 배려를 아끼지 않으신 임승권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논문의 통계적 처리 및 해석에 지대한 도움을 준 류한구선생, 분석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준 성기선 선생, 항상 귀찮게 드나들어도 늘 웃는 얼굴로 대해주던 진영석 선생 외 조교실 후배들, 늘 격려를 아끼지 않은 황매향선생, 자발적으로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고 검토해준 양명희 선생 등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이 논문이 완성될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학위논문은 제쳐두고 연구소 일에 최우선인 전용오 선배님과 부지런히 학위논문을 쓰면서도 연구소일에 소홀함이 없던 여태철 선생을 비롯한 연구소 식구들은 학위논문 핑계 대고 연구소일을 소홀히 한 저에게 보이지 않는 원군이었습니다. 특히 연구소의 대모인 박민의 과장님과 인턴연구원으로 고생하면서도 틈틈이 논문작성을 도와준 허승연, 장연화 선생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작성에 전념하도록 최선의 조력을 아끼지 않은신 부모님과 장인장모님, 마지막 교정까지 잔일을 도맡아 해준 아내 최지은 선생, 힘들 때마다 삶의 의욕을 붇돋워 준 딸 정빈 등 가족 모두는 저의 삶의 의미이자 목표입니다. 학자의 모범을 보여주신 외삼촌 부부께서는 항상 든든한 후원자였습니다. 고교동창들을 비롯한 친구들도 가족과 다름없이 저를 끝까지 믿고 기다려주며 용기를 주었습니다.
논문을 완성하면서 그동안 잊혀져가던 배움을 향한 열정이 되살아 난 것이 저에게는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처음처럼 그 열정을 영원히 간직한 채 사는 것이 이 모든 분들의 은혜에 보답하는 길이라 생각하며 학문에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추천자료
(아동복지)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사례분석(논문정리)
영화 <나비효과> 를 통해 본 아동학대
[유아교육 특수아교육]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장애아동과 통합교육의 개념과 필요...
현대사회의 아동관이 현대를 살아가는 아동에게 미치는 긍적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유아교육기관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이해 -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
요보호아동의 건강한 발달 증진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우리나라 아동복지사업과 이러한 복지...
아동상담의 주요기법 중 놀이치료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에 대하여 논하시오.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구성요소와 아동문학 중 글 없는 그림책을 유아에게 제공할 때 유아에...
[보육교사론] 아동학대가 영유아기에 미치는 영향과 특징을 설명하고, 보육현장에서 교사로서...
[아동환경 보육] 아동과 지역사회환경 - 지역사회환경의 정의와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지역...
[아동복지론] 아동에게 애착의 중요성, 아동의 발달영역별(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 등)이나...
아동발달에 맞는 아동문학을 선정해서 제공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논하시오 [아동문학 兒童...
아동보육과 보육경험이 발달적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 및 보육종사자의 자질
[아동문학교육] 아동문학의 정의 및 필요성과 아동문학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