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목차
목 차
국 문 초 록
제 Ⅰ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연구방법
제 Ⅱ 장 이론적 검토와 분석모형
제1절 정책변동
1. 정책변동의 개념
2. 연구동향
3. 정책변동의 유형
제2절 정책종결로서의 조직종결
1. 정책종결의 내용
2. 조직종결의 원인
3. 조직종결의 기준과 방법
제3절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
1. 정책종결과정의 역동성
2.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요인
1) 정책종결에 대한 일반적인 저항요인
2) 조직종결에 대한 저항요인
3.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전략
1) 정책종결에 대한 일반적인 저항전략
2) 조직종결에 대한 저항전략
제4절 분석모형
1. 분석모형의 전제
1) 특수한 정치상황
2) 중앙정부의 조직개편
3) 행정조직의 영속성 추구 본능
2. 분석모형의 설정
1) 조직개편에 대한 저항주체별 분석
2) 저항주체별 저항요인의 상호작용
3) 연구의 분석틀
제 Ⅲ 장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요인
제1절 정부조직개편과 정책변동
1. 정부조직개편을 통한 정책변동
1) 정부조직개편 원인
2) 정부조직개편 목적
2. 정부조직개편의 추진주체
1) 구성과 배경
2) 의사결정기준
3. 정부조직개편의 특징과 과정
1) 정부조직개편의 특징
2) 정부조직개편의 과정
제2절 특정고객연계적 정부부처의 저항요인
1. 개편대상조직
2. 정책수혜집단
3. 국회 및 정당
4. 언론 및 시민단체
제3절 불특정고객연계적 정부부처의 저항요인
1. 개편대상조직
2. 정책수혜집단
3. 국회 및 정당
4. 언론 및 시민단체
제 Ⅳ 장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과정
제1절 저항의 심리적 측면
1. 개인심리적 측면
2. 조직심리적 측면
제2절 저항의 전술적 측면
1. 저항의 기본전술 수립
1) 정부조직개편 상황파악
2) 여론동향 관찰
3) 조직내부의 의견 결집
2. 조직개편단계별 저항전술
1) 조직개편추진주체에 대한 로비
2) 정책수혜집단의 활용
3) 국회 및 정당과의 연대
4) 최고정책결정권자에 대한 설득
5) 언론 및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기대
제 Ⅴ 장 연구결과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제1절 저항요인의 비교분석
1. 저항요인의 공통점
2. 저항요인의 차이점
제2절 저항과정의 비교분석
1. 저항과정의 공통점
2. 저항과정의 차이점
제3절 이론적 . 정책적 시사점
1. 이론적 시사점
2. 정책적 시사점
제 Ⅵ 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국 문 초 록
제 Ⅰ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연구방법
제 Ⅱ 장 이론적 검토와 분석모형
제1절 정책변동
1. 정책변동의 개념
2. 연구동향
3. 정책변동의 유형
제2절 정책종결로서의 조직종결
1. 정책종결의 내용
2. 조직종결의 원인
3. 조직종결의 기준과 방법
제3절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
1. 정책종결과정의 역동성
2.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요인
1) 정책종결에 대한 일반적인 저항요인
2) 조직종결에 대한 저항요인
3.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전략
1) 정책종결에 대한 일반적인 저항전략
2) 조직종결에 대한 저항전략
제4절 분석모형
1. 분석모형의 전제
1) 특수한 정치상황
2) 중앙정부의 조직개편
3) 행정조직의 영속성 추구 본능
2. 분석모형의 설정
1) 조직개편에 대한 저항주체별 분석
2) 저항주체별 저항요인의 상호작용
3) 연구의 분석틀
제 Ⅲ 장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요인
제1절 정부조직개편과 정책변동
1. 정부조직개편을 통한 정책변동
1) 정부조직개편 원인
2) 정부조직개편 목적
2. 정부조직개편의 추진주체
1) 구성과 배경
2) 의사결정기준
3. 정부조직개편의 특징과 과정
1) 정부조직개편의 특징
2) 정부조직개편의 과정
제2절 특정고객연계적 정부부처의 저항요인
1. 개편대상조직
2. 정책수혜집단
3. 국회 및 정당
4. 언론 및 시민단체
제3절 불특정고객연계적 정부부처의 저항요인
1. 개편대상조직
2. 정책수혜집단
3. 국회 및 정당
4. 언론 및 시민단체
제 Ⅳ 장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과정
제1절 저항의 심리적 측면
1. 개인심리적 측면
2. 조직심리적 측면
제2절 저항의 전술적 측면
1. 저항의 기본전술 수립
1) 정부조직개편 상황파악
2) 여론동향 관찰
3) 조직내부의 의견 결집
2. 조직개편단계별 저항전술
1) 조직개편추진주체에 대한 로비
2) 정책수혜집단의 활용
3) 국회 및 정당과의 연대
4) 최고정책결정권자에 대한 설득
5) 언론 및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기대
제 Ⅴ 장 연구결과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제1절 저항요인의 비교분석
1. 저항요인의 공통점
2. 저항요인의 차이점
제2절 저항과정의 비교분석
1. 저항과정의 공통점
2. 저항과정의 차이점
제3절 이론적 . 정책적 시사점
1. 이론적 시사점
2. 정책적 시사점
제 Ⅵ 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본문내용
of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flow of change and to solve the internal problems, the preliminary government which accomplished a peaceful turn-over of political power last year tried to restructur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However, par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Law went far away from the intention of the reformers because the Law was a product of a political compromise among various groups that share different interests.
This paper tries to concentrate on the process of reforms which was deserted fro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reformers, while analyzing what caused resistance against reforms and how the resistance was developed.
To that end, the case of government organization reforms this year was analyzed by grouping them according to the forms of their existence. In other words, They are grouped based on the purpose of their existence : whether they exist in order to execute policy objectives for demanders or they exist for the sake of the ruler. The former group is referred to as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involve beneficiary groups (e.g.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nd the latter one to the ones without them (e.g. Ministry of Political Affairs, Ministry of Information). With these grouping,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resistance in the shoes of not only the organizations concerned but also their beneficiaries,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the press and the public. In addition, it tries to find out what strategies are used in the course of resistance in order to sustain their existence.
As a result, the former category, with the support of their beneficiary groups and politicians, were able to survive the harsh reform process with relatively less shock, while the latter were put to an end without any resistance because they didn\'t have any group that benefit from them. Of course, it is the highest policy maker who determines what organizations are to be selected. In the case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involve beneficiary groups, however, that decision was hard to make because of a political burden imposed by the beneficiary groups and political opponents.
Therefore, in order to draw a fruitful result in executing government reform in the midst of mutual compromise among the interest groups and with minimum amount of friction, a prior effort to persuade the concerned organization, beneficiary groups and political resistance that no one-sided sacrifice will be asked. A political touch to deal with their emotional problems should also precede. This is because an administrative reform is nothing but a product of a political process that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cooperations from the parties concerned.
* Key words : policy change, termination of policies, organization reform, beneficiary group, cause of resistance, development of resistance
* Student Number : 91921-604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flow of change and to solve the internal problems, the preliminary government which accomplished a peaceful turn-over of political power last year tried to restructur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However, par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Law went far away from the intention of the reformers because the Law was a product of a political compromise among various groups that share different interests.
This paper tries to concentrate on the process of reforms which was deserted fro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reformers, while analyzing what caused resistance against reforms and how the resistance was developed.
To that end, the case of government organization reforms this year was analyzed by grouping them according to the forms of their existence. In other words, They are grouped based on the purpose of their existence : whether they exist in order to execute policy objectives for demanders or they exist for the sake of the ruler. The former group is referred to as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involve beneficiary groups (e.g.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nd the latter one to the ones without them (e.g. Ministry of Political Affairs, Ministry of Information). With these grouping,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resistance in the shoes of not only the organizations concerned but also their beneficiaries,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the press and the public. In addition, it tries to find out what strategies are used in the course of resistance in order to sustain their existence.
As a result, the former category, with the support of their beneficiary groups and politicians, were able to survive the harsh reform process with relatively less shock, while the latter were put to an end without any resistance because they didn\'t have any group that benefit from them. Of course, it is the highest policy maker who determines what organizations are to be selected. In the case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involve beneficiary groups, however, that decision was hard to make because of a political burden imposed by the beneficiary groups and political opponents.
Therefore, in order to draw a fruitful result in executing government reform in the midst of mutual compromise among the interest groups and with minimum amount of friction, a prior effort to persuade the concerned organization, beneficiary groups and political resistance that no one-sided sacrifice will be asked. A political touch to deal with their emotional problems should also precede. This is because an administrative reform is nothing but a product of a political process that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cooperations from the parties concerned.
* Key words : policy change, termination of policies, organization reform, beneficiary group, cause of resistance, development of resistance
* Student Number : 91921-604
추천자료
모자복지정책
보육정책의 이모저모에 관하여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사회과학]
정책 결정 참여자
[저출산][출산]우리나라 저출산 현황과 문제에 따른 저출산 방지정책 및 저출산에 따른 대응...
[서비스산업][서비스업][서비스산업 중요성][서비스산업 현황][서비스산업 동향][서비스산업 ...
[국가균형발전][지방분권][지방과 시민사회 역할][지역산업정책]국가균형발전의 출발배경, 지...
[빈곤][빈곤 여성화][빈곤 세계화][빈곤과 사회적차별][빈곤과 빈곤선][빈곤정책 과제]빈곤의...
정책목표[policy goal 政策目標]
[여성복지][여성복지서비스][여성복지제도][여성복지실천][여성문제][성차별][여성복지정책]...
[금리스프레드, 금리스프레드 필요성, 금리스프레드 변화추이, 금리스프레드 결정이론, 통화...
[일본, 일본 정치, 일본 정당, 일본 경제, 일본 사회, 일본 정책, 일본 행정, 일본 외교, 정...
[부동산법제 공통] 최근 부동산 3법(주택법,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도시 및 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