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동하여 등전 PH영역에 도달한다. 이 영역에서 단백질은 알짜 전하가 없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각 단백질은 그것의 등전 PH에 있는 좁은 영역에 모인다.
6. 등전점: 다양성자 화학종의 평균전하가 0 이 되는 점. 수용액 속의 양쪽성 전해질의 전하의 대수합이 0 이 되는 상태를 용액의 수소지수 PH로 나타낸 것. 이온화 이외의 원인에 의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산성기와 염기성기의 이온기가 같아질 때의 PH를 등이온점이라 하여 입자 전체로서의 전하(실효 전하)가 0 이 되는 등전점과 구별함.
7. 등이온점: 다양성자성 분자인 중성 용액의 PH. 존재하는 이온은 다양성자 화학종으로부터 나온
H^+
과
OH^-
뿐이다. 순수한 중성 다양성자성 산 HA(중성 쯔비터이온)가 물에 녹았을 때 얻는 PH이다.
8. 미세평형 상수: 분자내 화학적으로 구별되는 자리의 반응을 기술하는 평형상수. 예를 들어, 두 다른 자리에 양성자가 결합되는 염기는 각 자리가 다른 평형상수를 가진다.
9. 다양성자성 산과 염기: 하나 이상의 양성자를 주거나 취할 수 있는 물질( 산 과 염기).
10. 쯔비터 이온: 한쪽은 양전하, 다른 한 쪽은 음전하를 가지는 분자.
6. 등전점: 다양성자 화학종의 평균전하가 0 이 되는 점. 수용액 속의 양쪽성 전해질의 전하의 대수합이 0 이 되는 상태를 용액의 수소지수 PH로 나타낸 것. 이온화 이외의 원인에 의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산성기와 염기성기의 이온기가 같아질 때의 PH를 등이온점이라 하여 입자 전체로서의 전하(실효 전하)가 0 이 되는 등전점과 구별함.
7. 등이온점: 다양성자성 분자인 중성 용액의 PH. 존재하는 이온은 다양성자 화학종으로부터 나온
H^+
과
OH^-
뿐이다. 순수한 중성 다양성자성 산 HA(중성 쯔비터이온)가 물에 녹았을 때 얻는 PH이다.
8. 미세평형 상수: 분자내 화학적으로 구별되는 자리의 반응을 기술하는 평형상수. 예를 들어, 두 다른 자리에 양성자가 결합되는 염기는 각 자리가 다른 평형상수를 가진다.
9. 다양성자성 산과 염기: 하나 이상의 양성자를 주거나 취할 수 있는 물질( 산 과 염기).
10. 쯔비터 이온: 한쪽은 양전하, 다른 한 쪽은 음전하를 가지는 분자.
추천자료
평형상수결정-지시약의 산 해리상수
산과 염기
[과외]3.물상 산과 염기의반응(1)
[과외]중학 과학 중3-5 산과 염기의 반응 03
체내의 수분과 전해질 산 염기 불균형
일반화학 실험 - 산과 염기의 성질(예비&결과)
화학/물리화학실험/화학평형상수 산해리
[일반화학실험] 생활 속의 산 염기
(예비+결과) 엔탈피 측정 - 목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
분석화학 - pH meter를 이용한 산,염기 적정 및 Gran도시
일반화학실험 - 산 해리 평형
[일반화학실험] 표준산, 염기 적정용액 실험 : 정량적 화학반응이 일어나는데 양적 표준이 되...
바이오 디젤의 정의,바이오 디젤 장점 단점,촉매의 종류-염기촉매,산 촉매 ppt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측정 :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알고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