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두환 정권의 등장
(2) 전두환 정권의 언론정책
1) 홍보조정실과 채찍과 당근정책
2) 언론통폐합
3) 언론기본법과 보도지침
4) 6.29선언후의 변화
(2) 전두환 정권의 언론정책
1) 홍보조정실과 채찍과 당근정책
2) 언론통폐합
3) 언론기본법과 보도지침
4) 6.29선언후의 변화
본문내용
언론통폐합 조치를 취하였고 12월에 언론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신군부는 그들 정권의 정통성을 인정받으려 모든 노력을 경주하지만 끊임없이 분출되는 정통성시비를 피할 수 없었다.
전두환 정권의 폭정과 기만술에 대한 민중적 분노는 1987년 6월 항쟁으로 폭발, 군부독재를 끝장내지는 못했으나 民主化를 진전시키는 결정적인 게기가 되었다. 군사정권은 6월 항쟁 이후 언론기본법 폐지, 보도지침 폐지 등을 공언하면서 言論自由를 최대한 보장하겠다고 國民에게 약속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7년 12월 대통령 선거가 끝난 뒤 KBS, MBC는 교묘한 영상조작, 방송시간 차별 등의 방법으로 여당후보 당선을 위한 득표공작을 한 것으로 두 방송사 記者들에 의해 폭로되기도 했다. 군부독재의 나팔수 노릇을 하던 '제도언론'에 대한 반발은 1988년 6만 여 명의 국민주주가 200억 원을 출자하여 『한겨레신문』을 창간하는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위에서 말한 바를 요약하자면 전두환 정권 하에서의 言論은 權力의 꼭두각시 역할을 할 뿐 이였고, 국민의 알권리보다는 정보를 알려주는 데 주력했다 할 수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해 신군부는 언론기본법과 보도지침등을 통해 언론에 압박을 가하였으며, 언론은 이에 대응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세확장에 힘을 기울여 참으로 국민의 눈과 귀를 막은 시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선 『한국의 정치권력과 언론정책』 전예원 1991
김운태 『한국정치론』 박영사 1994
한국기자협회·80년해직언론인협의회,『80년 5월의 민주 언론』나남1997
김민남 外5人 『새로쓰는 한국언론사』 아침 1995
전두환 정권의 폭정과 기만술에 대한 민중적 분노는 1987년 6월 항쟁으로 폭발, 군부독재를 끝장내지는 못했으나 民主化를 진전시키는 결정적인 게기가 되었다. 군사정권은 6월 항쟁 이후 언론기본법 폐지, 보도지침 폐지 등을 공언하면서 言論自由를 최대한 보장하겠다고 國民에게 약속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7년 12월 대통령 선거가 끝난 뒤 KBS, MBC는 교묘한 영상조작, 방송시간 차별 등의 방법으로 여당후보 당선을 위한 득표공작을 한 것으로 두 방송사 記者들에 의해 폭로되기도 했다. 군부독재의 나팔수 노릇을 하던 '제도언론'에 대한 반발은 1988년 6만 여 명의 국민주주가 200억 원을 출자하여 『한겨레신문』을 창간하는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위에서 말한 바를 요약하자면 전두환 정권 하에서의 言論은 權力의 꼭두각시 역할을 할 뿐 이였고, 국민의 알권리보다는 정보를 알려주는 데 주력했다 할 수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해 신군부는 언론기본법과 보도지침등을 통해 언론에 압박을 가하였으며, 언론은 이에 대응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세확장에 힘을 기울여 참으로 국민의 눈과 귀를 막은 시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선 『한국의 정치권력과 언론정책』 전예원 1991
김운태 『한국정치론』 박영사 1994
한국기자협회·80년해직언론인협의회,『80년 5월의 민주 언론』나남1997
김민남 外5人 『새로쓰는 한국언론사』 아침 1995
추천자료
[정치] 퍼펙트 역대정권의 엘리트충원 * 정부 엘리트
정부의 언론정책과 언론 구조의 변동
[언론제도]국내외의 언론제도
문민정부 이후의 언론정책 및 언론구조의 변화양상
【한국 언론의 구조변동과 언론전쟁】
[남북통일정책][남북한 통일정책 비교][남북통일][외국 통일 사례][남북통일 방안]역대정권의...
노태우 정부의 언론정책 및 언론발전
<충청일보사> 신문원론, 프린트미디어, 한국언론사, 충청일보, 기자 연봉, 지역 언론사, 지방...
[한국문화사] 의복의 역사(개항 ~ 현재) - 개항 후, 일제 시대, 해방 후, 박정희 정권시대, ...
[행정학] 과도기의 행정사상과 연구(제5공화국 정부를 중심으로) - 신군부의 등장(위기에서 ...
유신독재 시절의 언론민주화 운동 - 동아일보 '자유언론실천선언'의 영향과 효과
[2017학년도 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세상읽기와논술(E형) 미국 트럼프 정권의 등장
북한의 언론 출판에 대한 고찰 - 북한의 언론 통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