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정부의 언론정책 및 언론발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태우 정부의 언론정책 및 언론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노태우 정부의 언론정책 및 언론발전


1. 시대적 배경

2. 정부의 언론정책

3. 매체의 양적 팽창과 사이비 언론의 대두

4. 노태우 정부의 언론통제

5. ABC 창립과 부수공개제도
 1. ABC
 2. 한국ABC협회
 3. 부수공개제도

6. PD연합회

7. 한겨레신문의 창간

8. SBS 개국

9. 88올림픽과 언론발전

10. 소결

본문내용

8면씩, 4개 경제지는 하루 4면씩, 2개 영자지는 하루 8면씩 증면했다.
그러나 이러한 신문들의 증면 경쟁은 전체 지면에서 차지하는 광고지면의 비율을 증가시켰고 매출액 대비 광고 의존도를 심화시켰다. 광고지면 비율이 가장 높은 <조선일보>의 경우 83년 38.4%에서 89년 5월 49.6%로 거의 50%에 육박하였다. 또 이 신문의 전체 매출액 대비 광고매출액 비율은 88년 63.4%, 89년 67.5%로까지 올라갔다.
- > 높은 광고 의존도는 곧 신문의 독립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광고주의 선호에 따라 신문 지면을 나누게 되고 스포츠 등의 지면을 늘리는 것이다. 또한 광고 의존도 심화는 광고성 기사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10. 소결
노태우 정부시대의 언론은 국민들 스스로 독재정부에 맞서 쟁취해 낸 귀중한 산물로 우리나라 언론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시대부터 더 이상의 강압적이고 직접적인 통제가 사라지게 되고 권력계층 스스로 그것을 깨달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언론사 스스로의 민주화를 위한 노력 즉 한겨레신문 창간, PD연합회 발족 등은 우리나라 언론의 성숙도를 한층 높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회유정책 즉 은근한 언론통제로 정권이 원하는 데로 언론이 움직였다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그래도 민주화의 첫발을 내딛게 된 6공화국 시대의 언론이 없었더라면 오늘날과 같은 언론의 민주화는 이루어 지지 않았을 거라 생각하며 그 당시부터 오늘날까지 발전한 것처럼 언론은 계속해서 자기 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2.16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