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압이란?
2. 혈압측정방법
3. 혈압계의 종류
4. 혈압관리
2. 혈압측정방법
3. 혈압계의 종류
4. 혈압관리
본문내용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자동혈압계는 수축기혈압이 70 mmHg 이하일 경우에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유아나 소아에서 청진법에 의한 혈압측정이 어려울 경우에는 Doppler효과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는 위쪽 팔의 혈압이 아래쪽 팔의 혈압보다 약간 낮은데 체위변환에 의해서도 혈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혈압을 측정한 뒤에는 반드시 커프의 압력을 제거하여야 한다.
분 류 수축기혈압(mmHg) 확장기혈압(mmHg)
정상 <130 <85
높은정상 130 - 139 85 - 89
고혈압1단계 140 - 159 90 - 99
고혈압2단계 160 - 179 100 - 109
고혈압3단계 180 - 209 110 - 119
고혈압4단계 >210 >120
3. 혈압계의 종류
일반인이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간접 또는 비침습적(noninvasive) 측정방법에 국한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청진기를이용하는 수은혈압계나 메타 혈압계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무리라고 할 수 있겠다.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혈압계는 전자혈압계가 있으며 최근에는 퍼지기술의 도입등으로 그 정확성에 있어서도 어느정도 인정받고 있는 것이어서 자가혈당측정등과 같이 자가혈압측정에의한 건강관리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커프를 장착하는 부위에 따라 팔뚝형, 손목형, 손가락형 등이 있으나 팔뚝형과 손목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4. 혈압관리
인체의 모든 생체데이타가 그러하듯이 혈압 또한 항상 변화하는 것이다. 운동, 신진대사, 정신상태 등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따라서 한달에 한두 번 혈압을 측정하고서 이것이 나의 혈압이다 라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혈압을 통해서 체크 하고자 한다면 주기적으로 기초혈압을 측정하여 그 값들의 평균을 생각 해 보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기초혈압이란 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배제한 상태, 즉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배소변 이전에 측정한 값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고혈압 에방을 위한 일상생활의 포인트>
스트레스를 피한다.
짜게 먹지 않는다 -염분속의 나트륨은 혈압상승 작용을 한다. 1일 8g이하 권장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적당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며 알콜은 피한다.
40°C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자주하고 심한 추위는 피한다.
야채를 많이 섭취하고 담배는 피한다
유아나 소아에서 청진법에 의한 혈압측정이 어려울 경우에는 Doppler효과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는 위쪽 팔의 혈압이 아래쪽 팔의 혈압보다 약간 낮은데 체위변환에 의해서도 혈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혈압을 측정한 뒤에는 반드시 커프의 압력을 제거하여야 한다.
분 류 수축기혈압(mmHg) 확장기혈압(mmHg)
정상 <130 <85
높은정상 130 - 139 85 - 89
고혈압1단계 140 - 159 90 - 99
고혈압2단계 160 - 179 100 - 109
고혈압3단계 180 - 209 110 - 119
고혈압4단계 >210 >120
3. 혈압계의 종류
일반인이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간접 또는 비침습적(noninvasive) 측정방법에 국한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청진기를이용하는 수은혈압계나 메타 혈압계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무리라고 할 수 있겠다.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혈압계는 전자혈압계가 있으며 최근에는 퍼지기술의 도입등으로 그 정확성에 있어서도 어느정도 인정받고 있는 것이어서 자가혈당측정등과 같이 자가혈압측정에의한 건강관리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커프를 장착하는 부위에 따라 팔뚝형, 손목형, 손가락형 등이 있으나 팔뚝형과 손목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4. 혈압관리
인체의 모든 생체데이타가 그러하듯이 혈압 또한 항상 변화하는 것이다. 운동, 신진대사, 정신상태 등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따라서 한달에 한두 번 혈압을 측정하고서 이것이 나의 혈압이다 라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혈압을 통해서 체크 하고자 한다면 주기적으로 기초혈압을 측정하여 그 값들의 평균을 생각 해 보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기초혈압이란 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배제한 상태, 즉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배소변 이전에 측정한 값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고혈압 에방을 위한 일상생활의 포인트>
스트레스를 피한다.
짜게 먹지 않는다 -염분속의 나트륨은 혈압상승 작용을 한다. 1일 8g이하 권장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적당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며 알콜은 피한다.
40°C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자주하고 심한 추위는 피한다.
야채를 많이 섭취하고 담배는 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