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목차
제 1 장 중등 과학 교육에서의 ICT 활용 개요
제 2 장 연수의 필요성 인식
제 3 장 중등 과학 교육에서의 ICT 활용 사례
제 2 장 연수의 필요성 인식
제 3 장 중등 과학 교육에서의 ICT 활용 사례
본문내용
용된다. 위성 화면은 컴퓨터를 이용해 수신, 저장, 검토가 가능하다.
스캐너(Scanner)
소형 복사기와 유사하며 영상을 컴퓨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크에 저장하고,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A4 용지 사용.
검색 엔진(Search engine/facility)
CD-ROM 타이틀과 인터넷의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전체 색인을 일일이 뒤지지 않고도 키워드나 논리 연산자를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검출 테크놀로지(Sensing technology)
빛, 소리, 움직임, 온도 등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낸 정보를 컴퓨터에 기록하고 출력하는 장비. 검출 장비 중에는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수집한 정보를 컴퓨터에 연결해 기록 내용을 출력하는 것도 있다.
서버(Server)
통신망의 중추 역할을 하는 초강력 컴퓨터로 통신망 이용을 제어하고, 대부분의 파일을 저장한다. 인터넷 웹페이지는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웹 서버 기억 장치에 남겨진다.
시뮬레이션(Simulations)
실제 혹은 가상 시나리오를 모방한 컴퓨터 프로그램. 일상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다루기 힘들거나, 위험한 상황을 모방한다.
음성 입력/출력(Speech input/output)
워드 프로세서 중에는 문자 정보를 음성 정보로, 음성 정보를 문자 정보로 변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자동 맞춤법 검사/교정(Spell-/grammar-checker)
대부분의 워드 프로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 맞춤법 검사와 교정 기능. 맞춤법과 문법에서 오류를 감지했을 경우 대안을 제시해준다.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문자 혹은 수치 데이터를 입력, 저장,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계산이나 그래프 제작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예산안처럼 수학적 법칙에 따라 결정되는 모델을 탐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말하는 책/워드프로세서/사전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단어를 소리내어 읽게 할 수 있다.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모든 단어를 다 읽도록 만들거나 사용자가 지정하는 단어만 읽도록 만들 수 있다.
터미널
정보망과 연결된 컴퓨터. 통상적으로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된다.
텍스트 아트(Text art)
로고스(logos)처럼 문자 정보의 특정 부분에 특수 효과를 입힘으로써 생동감을 주는 방법.
문자 회의(Text conferencing)
토론 그룹이나 대화방에 참가한 사람들이 문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주로 인터넷을 통해 진행되며 참가자의 문자 메시지가 컴퓨터 화면에 곧바로 떠오른다.
문자 조작 소프트웨어(Text manipulation software)
언어 학습에 많이 쓰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글자나 단어를 숨기고, 드러내고, 대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촉감 디스플레이 스크린. 손가락으로 스크린의 특정 부분을 만짐으로써 프로그램 선택, 이동, 그림 그리기를 할 수 있다.
트랙볼(Trackball)
마우스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마우스보다 적은 공간이 필요하다.
거북이 그래픽(Turtle graphics)
로고 프로그램과 함께 쓰이며 기계 장치를 이용한 거북이나, 입력한 프로그램에 따라 영상이나 수학적 도형을 만들어 내는 기호 등 두 종류이다.
비디오 캡쳐(Video capture)
컴퓨터에 비디오 카메라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비디오의 화면이나 스틸 사진을 디스크에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회의(Video conferencing)
컴퓨터에 부착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해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방법. 인터넷이나 초고속 통신망(high speed telephone lines)을 통해 음성과 영상을 전달한다.
비닐 재단기(Vinyl cutter)
정해진 패턴에 따라 비닐을 절단하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된 자동 재단기.
가상 교사 센터(Virtual Teacher Center)
전국 교육 정보망(National Grid for Leaning)의 일부로서 수업, 도서실, 학교 행정, 교사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웹 페이지 제작용 소프트웨어(Web authoring software)
웹 페이지 제작을 도와주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사이트-웹 페이지(Web site-Web pages)
웹사이트란 인터넷에 올려진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소유/유지되는 웹 페이지의 집합을 말한다. 학교나 개인이 웹사이트를 만드는 작업은 예상 외로 간단하다.
전자 칠판(Whiteboard/interactive, electronic)
흰색 플라스틱 칠판과 사용 방법이 유사하다. 컴퓨터 화면의 영상이 전자 칠판에 영사되며 컬러 펜 대신 철필(stylus)을 이용한다.
워드프로세싱(Word processing)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 입력, 편집, 조작, 저장, 인쇄 기술. 최근에 출시된 워드 프로세서에는 전자 출판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웹 페이지의 형태로 인터넷에 올려진 방대한 정보의 집합체.
휴대용 모니터(Wristwatch monitor)
심장 박동 기록 장치. 가슴에 부착된 무선 장치에서 심장 박동의 변화를 감지해 손목시계 형태의 모니터에 송신한다. 심장 박동에 큰 변화가 발생했을 때 경고음을 보내도록 되어있다.
연구자료 RM 2000 -
영국의 교과별 정보통신기술 활용 안내
발 행 : 2000년 11월
발행인 : 서 삼 영
발행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 소 : 137-070 서울 서초구 서초동 1467-80
전화 : (02)3488-6200
팩스 : (02)3472-8909
등 록 : 제 - 호(1999년 월 일)
인쇄처 : ... 인쇄
전화 : (02)0000-0000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비매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37-070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467-80
대표전화 : (02)3488-6200 FAX : (02)3472-8909
홈페이지 : http://www.keris.or.kr
스캐너(Scanner)
소형 복사기와 유사하며 영상을 컴퓨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크에 저장하고,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A4 용지 사용.
검색 엔진(Search engine/facility)
CD-ROM 타이틀과 인터넷의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전체 색인을 일일이 뒤지지 않고도 키워드나 논리 연산자를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검출 테크놀로지(Sensing technology)
빛, 소리, 움직임, 온도 등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낸 정보를 컴퓨터에 기록하고 출력하는 장비. 검출 장비 중에는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수집한 정보를 컴퓨터에 연결해 기록 내용을 출력하는 것도 있다.
서버(Server)
통신망의 중추 역할을 하는 초강력 컴퓨터로 통신망 이용을 제어하고, 대부분의 파일을 저장한다. 인터넷 웹페이지는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웹 서버 기억 장치에 남겨진다.
시뮬레이션(Simulations)
실제 혹은 가상 시나리오를 모방한 컴퓨터 프로그램. 일상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다루기 힘들거나, 위험한 상황을 모방한다.
음성 입력/출력(Speech input/output)
워드 프로세서 중에는 문자 정보를 음성 정보로, 음성 정보를 문자 정보로 변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자동 맞춤법 검사/교정(Spell-/grammar-checker)
대부분의 워드 프로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 맞춤법 검사와 교정 기능. 맞춤법과 문법에서 오류를 감지했을 경우 대안을 제시해준다.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문자 혹은 수치 데이터를 입력, 저장,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계산이나 그래프 제작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예산안처럼 수학적 법칙에 따라 결정되는 모델을 탐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말하는 책/워드프로세서/사전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단어를 소리내어 읽게 할 수 있다.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모든 단어를 다 읽도록 만들거나 사용자가 지정하는 단어만 읽도록 만들 수 있다.
터미널
정보망과 연결된 컴퓨터. 통상적으로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된다.
텍스트 아트(Text art)
로고스(logos)처럼 문자 정보의 특정 부분에 특수 효과를 입힘으로써 생동감을 주는 방법.
문자 회의(Text conferencing)
토론 그룹이나 대화방에 참가한 사람들이 문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주로 인터넷을 통해 진행되며 참가자의 문자 메시지가 컴퓨터 화면에 곧바로 떠오른다.
문자 조작 소프트웨어(Text manipulation software)
언어 학습에 많이 쓰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글자나 단어를 숨기고, 드러내고, 대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촉감 디스플레이 스크린. 손가락으로 스크린의 특정 부분을 만짐으로써 프로그램 선택, 이동, 그림 그리기를 할 수 있다.
트랙볼(Trackball)
마우스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마우스보다 적은 공간이 필요하다.
거북이 그래픽(Turtle graphics)
로고 프로그램과 함께 쓰이며 기계 장치를 이용한 거북이나, 입력한 프로그램에 따라 영상이나 수학적 도형을 만들어 내는 기호 등 두 종류이다.
비디오 캡쳐(Video capture)
컴퓨터에 비디오 카메라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비디오의 화면이나 스틸 사진을 디스크에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회의(Video conferencing)
컴퓨터에 부착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해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방법. 인터넷이나 초고속 통신망(high speed telephone lines)을 통해 음성과 영상을 전달한다.
비닐 재단기(Vinyl cutter)
정해진 패턴에 따라 비닐을 절단하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된 자동 재단기.
가상 교사 센터(Virtual Teacher Center)
전국 교육 정보망(National Grid for Leaning)의 일부로서 수업, 도서실, 학교 행정, 교사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웹 페이지 제작용 소프트웨어(Web authoring software)
웹 페이지 제작을 도와주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사이트-웹 페이지(Web site-Web pages)
웹사이트란 인터넷에 올려진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소유/유지되는 웹 페이지의 집합을 말한다. 학교나 개인이 웹사이트를 만드는 작업은 예상 외로 간단하다.
전자 칠판(Whiteboard/interactive, electronic)
흰색 플라스틱 칠판과 사용 방법이 유사하다. 컴퓨터 화면의 영상이 전자 칠판에 영사되며 컬러 펜 대신 철필(stylus)을 이용한다.
워드프로세싱(Word processing)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 입력, 편집, 조작, 저장, 인쇄 기술. 최근에 출시된 워드 프로세서에는 전자 출판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웹 페이지의 형태로 인터넷에 올려진 방대한 정보의 집합체.
휴대용 모니터(Wristwatch monitor)
심장 박동 기록 장치. 가슴에 부착된 무선 장치에서 심장 박동의 변화를 감지해 손목시계 형태의 모니터에 송신한다. 심장 박동에 큰 변화가 발생했을 때 경고음을 보내도록 되어있다.
연구자료 RM 2000 -
영국의 교과별 정보통신기술 활용 안내
발 행 : 2000년 11월
발행인 : 서 삼 영
발행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 소 : 137-070 서울 서초구 서초동 1467-80
전화 : (02)3488-6200
팩스 : (02)3472-8909
등 록 : 제 - 호(1999년 월 일)
인쇄처 : ... 인쇄
전화 : (02)0000-0000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비매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37-070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467-80
대표전화 : (02)3488-6200 FAX : (02)3472-8909
홈페이지 : http://www.keris.or.kr
추천자료
초·중등교육법의 주요 내용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육비교고찰
중등 서양사 교과서 교육의 기본적인 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고대,중세)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중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어교육 논문 발표 정리 및 참관 소감문 (중등국어과 교실평가연구 외 4편)
초·중등학교의 외국어교육의 목표 정하기
8년 연구- 중등 학교 교육과정 개선 사례
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개정법안 포함)
유상중등교육의팽창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개혁,기본방향,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
사회과 교육 중등 교과서 비교 [중학교 1학년 교과서 분석][중학교 2학년 교과서 분석](중앙...
한국(우리나라) 중등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