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주체적 반응 활동 조장을 통한 시 감상 능력 신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반응이란?
2. 시 감상 능력이란?

Ⅱ. 이론적 배경
A. 시 교육의 의의와 관점
B. 시 교육에서 학습자 반응의 의의와 범주
C. 시 수업 모형에 대한 논의

Ⅲ. 연구의 설계

Ⅴ. 연구 결과의 고찰

Ⅵ.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선하여 부교재 형식으로라도 아동들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2. 학교 현장의 시 수업 과정이 크게 개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극단적 텍스트 중심 또는 독자 반응 중심에서 벗어나 텍스트와 독자 반응이 적절히 조절되고 융화되어 감상의 차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주체적 시 감상 교수-학습 모형'은 그 대안의 하나로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가 수용된다면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되는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이 모형에 의한 시 수업안이 소개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구인환외 4인, 〈문학교육론〉, 서울:삼지원, 1988.
권혁준, 〈문학이론과 시교육〉, 서울:박이정,1997.
김규선, 〈국어과 교수법〉, 서울:학문사, 1990.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 서울대 출판부, 1995.
김창원, 〈시 교육과 텍스트 해석〉, 서울: 서울대 출판부, 1995.
나병철 역, 〈문학교육론〉, 서울 : 문예출판사, 1990.
노명완 외 2인, 〈국어과 교육〉, 서울:갑을출판사, 1989.
문학교육연구회, 〈삶을 위한 문학교육〉, 서울:연구사, 1987.
문학과 문학교육연구소 편, 〈문학교육의 탐구〉, 서울: 국학자료원, 1996.
박민수, 〈아동문학의 시학〉, 서울: 양서원, 1993.
박이문, 〈예술철학〉,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1.
박인기,〈문학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서울대출판부, 1996.
신헌재편저, 〈아동문학교육론〉, 서울 : 범우사, 1992.
신헌재외 3인,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1993.
신헌재, 이재승 편저,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1993.
신헌재외 7인, 〈열린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방법〉, 도서출판 박이정. 1996.
양왕용,〈현대시교육론〉, 서울:삼지원.1997.
유종호, 〈시란 무엇인가〉, 서울:민음사, 1996.
윤여탁,〈시의 논리와 서정시의 역사〉,서울: 태학사, 1995.
이상섭, 〈자세히 읽기로서의 비평〉, 서울:문학과지성사, 1988.
이성영, 〈국어교육의 내용연구〉, 서울: 서울대출판부, 1995.
최현섭외 2인, 〈국어과 교육론〉, 서울: 선일문화사, 1988.
차봉희편저, 〈수용미학〉, 서울:문학과 지성사, 1991.
__________, 〈독자반응비평〉, 서울:고려원, 1993.
최현섭외 4인,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 서울: 일지사, 1995.
Bernice E. Cullinan,〈Literature and Child〉,Newyork : HJB, 1989.
Steinbergh, Judith Wolinsky, 〈Reading and Writing Poetry〉, Newyork: scholastic professional Books. 1994..
Rosenblatt,. M. Louise, 〈Literature as Exploration〉, Newyork : 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1995.
〈논문 기타〉
강정부, 초등학교 문학교재의 연구, 인하대 석사학위논문, 1991.
경규진,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방법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3.
김동국, 교과서 수록 동시의 자연수용양상,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1992.
_____, 구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낭송지도로 시향수 능력기르기, 현장연구, 1988.
김상욱, 문학교육과정의 연구와 실천방향,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발표지, 1996.
김숙, 시의 본질적 특성에 따른 시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조선대박사학위논문. 1991.
류덕제, 소설텍스트 문학교육 방법 연구,경북대 박사학위논문, 1995.
박인기, 문학교과 교재론의 이론적 접근과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1990.
유병석, 교단에서 시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월간 문학사상, 통권 32호.
유경환, 시의 이해와 감상, 월간 현대문학, 통권332호.
이경화, 문학작품을 보는 관점과 읽기의 두가지 방향, 청람어문학회학회지 제17집, 1997.
진선희, 동시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수록 작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석사학위논문, 1994.
〈동시집〉
강소천 외,〈봄동산 꽃동산〉, 서울:송원문화사, 1980.
기형도, 〈입속의 검은 잎〉,
김동국, 〈대동여지도〉, 서울: 아동문예, 1997.
김수남 엮음, 〈동시나라 가는 길〉, 서울:재능출판, 1997.
김정일, 〈별에 색칠하기〉,서울:어린이신문국, 1994.
김종상, 〈동시의 마을〉, 서울:중앙교육개발, 1991.
김한룡, 〈어린이 동시 감상과 해설〉, 서울;대일, 1989.
김형식, 〈코스모스길〉, 서울:아동문예, 1989.
김형주, 〈마음의 노래〉, 서울: 교음사, 1990.
남진원, 〈선생님의 구멍난 양말〉, 서울:계몽사, 1992.
노원호, 〈아이가 그린 가을〉, 서울:견지사, 1986.
눈높이 문학회, 〈어린이를 사랑하는 마음 제1호〉, 서울:대교출판, 1996.
대구아동문학회, 〈영그는 아이들〉, 서울:아동문예, 1991.
박경용, 〈한국명작 동시감상〉,서울:가나출판사,1992.
_____ , 〈우등생 시짓기〉, 서울:중앙교육개발, 1991.
박두순, 〈누군가 나를 지우개로 지우고 있다〉, 서울:예림당, 1986.
박영순, 〈별초롱 꿈초롱〉, 서울:대일, 1982.
박화목, 〈한국 동시선〉, 서울:범우사, 1986.
새바람 아동문학회, 〈청보리밭 파란마음 제3집〉, 대구:대일, 1989.
심헤옥, 〈빛나는 꿈밭〉, 서울 : 아동문예, 1995.
______, 〈골목에 뜨는 해〉, 서울: 아동문예, 1990.
아침햇살, 〈계간 아침햇살 통권7호〉, 서울:도서출판 아침햇살, 1996.
윤동재, 〈재운이〉, 서울: 도서출판 인간, 1984.
윤석중, 〈물소리 새소리〉, 서울:송원문화사, 1980.
장수복, 〈오색무지개 동요 동시〉, 서울:고려문학사, 1995.
정두리, 〈작은 거라도 네게는 다 말해 줄께〉, 서울:예림당, 1996.
하청호, 〈별과 풀〉, 서울:아동문예, 1989.
한국현대아동문학가협회, 〈저별은 엄마별 저별은 아빠별〉, 서울:대일, 1988.
  • 가격3,300
  • 페이지수93페이지
  • 등록일2002.03.04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