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자교육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선호도
Ⅱ. 한자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선호도
Ⅲ. 한자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선호도 비교
Ⅳ. 맺음말
Ⅱ. 한자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선호도
Ⅲ. 한자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선호도 비교
Ⅳ. 맺음말
본문내용
選好하는 것과는 달리 學生들은 눈으로 보고, 興味있게 공부할 수 있는 컴퓨터 等 映像媒體 敎材를 選好하는 것이다.
6. 漢字敎育 方法에 대한 選好度 差異
다음은 敎育 方法에 대한 選好度 差異이다.
첫 번째로 音·뜻 익히기를 漢字의 基本 學習이라 감안하면 學生들은 퀴즈나 게임形式의 學習方法(29.9%)을 選好하고 있는 反面에 學父母는 漢字語의 뜻풀이(13.0%)를 더 選好하고 있다.
두 번째는 學生이나 學父母 모두 筆順에 따라 쓰기를 選好하는 反面 學父母는 漢字語의 뜻풀이(29.7%)에 많은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세 번째는 學父母 學生 兩者 모두 漢字語의 뜻풀이를 選好하고 있다.
공부 方法에 있어서 공부한 方法의 經驗에 따라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學生과 學父母 모두 音·뜻 익히기와 筆順에 따라 쓰기를 選好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學生은 그러한 經驗을 바탕으로 興味있는 授業을 원하여 퀴즈나 게임 學習을 選好하는 反面에 學父母는 基本 經驗을 土臺로 漢字語 뜻풀이에 대한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7. 漢字敎育 期間과 時間 選好度 差異
공부하고 싶은 期間과 時間 選好度에 있어서는 學父母와 學生의 意見이 一致하고 있다. 兩者 모두 1週日에 3日 程度 공부하길 원하고 있으며 學習時間은 하루에 30分에서 1時間 程度 學習하는 것이 適當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8. 漢字敎育에서 가장 重要한 點에 대한 認識 差異
學生과 學父母 모두 指導 敎師와 敎材에 대해서 많은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學生은 敎師의 指導를 53.1%가 必要로 하는 反面에 學父母는 42.0%가 必要하다고 應答하였다. 敎材에 있어서는 學生이 34.0%, 學父母는 37.7%가 必要하다고 應答하였다.
學生이 學父母보다 敎師의 指導를 더 많이 必要로 하고 있으며 學父母는 學生보다 學習敎材를 약간 더 많이 考慮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學習 받는 當事者인 學生이 絶對的으로 敎師의 指導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9. 漢字敎育 敎材에서 가장 重要한 點에 대한 認識 差異
漢字敎材에 있어서 가장 重要한 點으로는 學生, 學父母 모두 豊富한 生活語彙를 選好하고 있지만 學父母가 약간 더 生活語彙를 選好하고 있다. 學生은 재미있는 이야기나 漫畵를 敎材로 選好하고 있다. 그 대신 學父母는 古典文句나 古事成語를 더 많이 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본 바와 마찬가지로 學父母는 漢字敎育에서 傳統과 關聯된 것을 選好하는 反面 學生은 이야기나 漫畵로 된 敎材에 關心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漢字敎育 敎師 選好度 差異
指導敎師 選好度이다.
敎師에 대한 選好度로는 모두 專門講師에 대한 選好度가 높다. 그런데 學生은 父母님께 漢字敎育을 받고 싶어하는 比率이 26.5%로 學父母 3.6%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學父母가 漢字를 敎育할 能力이 學生의 期待値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 대신에 學父母는 學校 敎師에 대한 選好度가 31.9%로 學生들의 15.6%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學父母의 學校 敎師에 대한 信賴度가 學生보다 肯定的임을 알 수 있다.
11. 漢字敎育의 問題點에 대한 認識 差異
漢字 공부의 問題點으로 學父母나 學生 공히 漢字의 認識不足이라 應答하였다. 그런데 學生은 學父母보다 敎師의 指導 不足(12.9%)이나 學父母의 期待(15.6%)를 問題點으로 생각하는 反面에 學父母는 敎材·施設不足 및 落後(14.5%)나 敎育方法의 不實(19.6%)을 問題點으로 생각하고 있다.
12. 漢字敎育 改善點에 대한 認識 差異
改善點에 대해서는 學父母나 學生 大部分이 體系的인 專門敎育을 들고 있다. 現在 初等의 漢字敎育은 敎育政策의 混亂으로 인해 公敎育으로 體系化되지 못한 狀態에서 私敎育에 많이 依存해 있는 實情이다. 그러나 私敎育 역시 敎材와 敎育方法 等에 있어 體系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狀況에서 漢字의 必要性을 認識한 學生과 學父母들이 體系的인 漢字 專門敎育을 實施하길 원하는 것이라 하겠다.
學父母 거의가 體系的인 專門敎育 實施(75.4%)로 應答한 反面 學生은 體系的인 專門敎育 實施(59.8%)와 함께 講師의 實力 및 資質 向上(21.1%)을 改善點으로 생각하고 있다.
學生들이 學父母보다 敎師의 指導를 더 必要로 하고 있음에도 現實에선 敎師 指導가 未盡한 實情이다. 그런 까닭으로 學生들이 學父母보다 敎師에 대한 實力 및 資質 向上에 대해 높은 反應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맺음말
本稿는 正確한 實態를 통해 初等 漢字敎育의 問題點을 把握하고 그에 따른 改善點을 摸索하고자 調査硏究 方法을 利用하였다.
漢字敎育에 대한 學父母와 學生의 認識과 選好度에 대해 考察한 結果는 以上 說明한 바와 같다.
學父母와 學生 兩者는 공히 漢字敎育의 가장 큰 問題點으로 漢字敎育에 대한 認識不足이라 應答하였으며, 改善點으로 漢字 專門敎育 實施라고 應答하였다.
漢字敎育의 問題點과 改善 方案을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體系的인 漢字敎育은 무엇보다도 初等學校 正規敎育 時間에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學生, 學父母 모두 敎師의 指導를 最優先으로 생각하고 있었듯이, 專門講師 採用과 體系的인 敎員硏修가 必要하다.
漢字敎育에 대한 認識 改善과 體系的인 敎育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漢字공부는 어렵다 라는 等의 先入觀이 改善되어야 한다. 둘째, 漢字敎育에 대한 學父母와 學生間의 認識과 選好度 差異를 줄여야 한다. 셋째, 學父母나 學生들이 漢字敎育 效果로 選好하는 것들을 모두 充足시키기 위해서는 文字 敎育用 敎材(『千字文』, 『訓蒙字會』 等)와 德性 敎育用 敎材(『小學』,『明心寶鑑』,『童蒙先習』,『擊蒙要訣』,『四字小學』 等)의 結合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밖에도 映像媒體 等에 익숙한 世代인 學生들을 위해선 旣存의 平面學習보다는 멀티미디어 敎材를 積極 活用하는 일 等이다.
오늘날 수많은 學生과 學父母들이 漢字敎育을 經驗하고 있다. 初等學校의 漢字敎育은 大部分 처음 接하는 것이니 만큼 體系的으로 推進되어야 한다. 앞으로 全國的으로 初等 漢字敎育의 實態와 問題點을 把握하여 改善 方案을 摸索한다면 보다 體系的인 漢字敎育이 이루어지는데 一助하게 될 것이다.
6. 漢字敎育 方法에 대한 選好度 差異
다음은 敎育 方法에 대한 選好度 差異이다.
첫 번째로 音·뜻 익히기를 漢字의 基本 學習이라 감안하면 學生들은 퀴즈나 게임形式의 學習方法(29.9%)을 選好하고 있는 反面에 學父母는 漢字語의 뜻풀이(13.0%)를 더 選好하고 있다.
두 번째는 學生이나 學父母 모두 筆順에 따라 쓰기를 選好하는 反面 學父母는 漢字語의 뜻풀이(29.7%)에 많은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세 번째는 學父母 學生 兩者 모두 漢字語의 뜻풀이를 選好하고 있다.
공부 方法에 있어서 공부한 方法의 經驗에 따라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學生과 學父母 모두 音·뜻 익히기와 筆順에 따라 쓰기를 選好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學生은 그러한 經驗을 바탕으로 興味있는 授業을 원하여 퀴즈나 게임 學習을 選好하는 反面에 學父母는 基本 經驗을 土臺로 漢字語 뜻풀이에 대한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7. 漢字敎育 期間과 時間 選好度 差異
공부하고 싶은 期間과 時間 選好度에 있어서는 學父母와 學生의 意見이 一致하고 있다. 兩者 모두 1週日에 3日 程度 공부하길 원하고 있으며 學習時間은 하루에 30分에서 1時間 程度 學習하는 것이 適當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8. 漢字敎育에서 가장 重要한 點에 대한 認識 差異
學生과 學父母 모두 指導 敎師와 敎材에 대해서 많은 選好度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學生은 敎師의 指導를 53.1%가 必要로 하는 反面에 學父母는 42.0%가 必要하다고 應答하였다. 敎材에 있어서는 學生이 34.0%, 學父母는 37.7%가 必要하다고 應答하였다.
學生이 學父母보다 敎師의 指導를 더 많이 必要로 하고 있으며 學父母는 學生보다 學習敎材를 약간 더 많이 考慮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學習 받는 當事者인 學生이 絶對的으로 敎師의 指導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9. 漢字敎育 敎材에서 가장 重要한 點에 대한 認識 差異
漢字敎材에 있어서 가장 重要한 點으로는 學生, 學父母 모두 豊富한 生活語彙를 選好하고 있지만 學父母가 약간 더 生活語彙를 選好하고 있다. 學生은 재미있는 이야기나 漫畵를 敎材로 選好하고 있다. 그 대신 學父母는 古典文句나 古事成語를 더 많이 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본 바와 마찬가지로 學父母는 漢字敎育에서 傳統과 關聯된 것을 選好하는 反面 學生은 이야기나 漫畵로 된 敎材에 關心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漢字敎育 敎師 選好度 差異
指導敎師 選好度이다.
敎師에 대한 選好度로는 모두 專門講師에 대한 選好度가 높다. 그런데 學生은 父母님께 漢字敎育을 받고 싶어하는 比率이 26.5%로 學父母 3.6%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學父母가 漢字를 敎育할 能力이 學生의 期待値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 대신에 學父母는 學校 敎師에 대한 選好度가 31.9%로 學生들의 15.6%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學父母의 學校 敎師에 대한 信賴度가 學生보다 肯定的임을 알 수 있다.
11. 漢字敎育의 問題點에 대한 認識 差異
漢字 공부의 問題點으로 學父母나 學生 공히 漢字의 認識不足이라 應答하였다. 그런데 學生은 學父母보다 敎師의 指導 不足(12.9%)이나 學父母의 期待(15.6%)를 問題點으로 생각하는 反面에 學父母는 敎材·施設不足 및 落後(14.5%)나 敎育方法의 不實(19.6%)을 問題點으로 생각하고 있다.
12. 漢字敎育 改善點에 대한 認識 差異
改善點에 대해서는 學父母나 學生 大部分이 體系的인 專門敎育을 들고 있다. 現在 初等의 漢字敎育은 敎育政策의 混亂으로 인해 公敎育으로 體系化되지 못한 狀態에서 私敎育에 많이 依存해 있는 實情이다. 그러나 私敎育 역시 敎材와 敎育方法 等에 있어 體系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狀況에서 漢字의 必要性을 認識한 學生과 學父母들이 體系的인 漢字 專門敎育을 實施하길 원하는 것이라 하겠다.
學父母 거의가 體系的인 專門敎育 實施(75.4%)로 應答한 反面 學生은 體系的인 專門敎育 實施(59.8%)와 함께 講師의 實力 및 資質 向上(21.1%)을 改善點으로 생각하고 있다.
學生들이 學父母보다 敎師의 指導를 더 必要로 하고 있음에도 現實에선 敎師 指導가 未盡한 實情이다. 그런 까닭으로 學生들이 學父母보다 敎師에 대한 實力 및 資質 向上에 대해 높은 反應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맺음말
本稿는 正確한 實態를 통해 初等 漢字敎育의 問題點을 把握하고 그에 따른 改善點을 摸索하고자 調査硏究 方法을 利用하였다.
漢字敎育에 대한 學父母와 學生의 認識과 選好度에 대해 考察한 結果는 以上 說明한 바와 같다.
學父母와 學生 兩者는 공히 漢字敎育의 가장 큰 問題點으로 漢字敎育에 대한 認識不足이라 應答하였으며, 改善點으로 漢字 專門敎育 實施라고 應答하였다.
漢字敎育의 問題點과 改善 方案을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體系的인 漢字敎育은 무엇보다도 初等學校 正規敎育 時間에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學生, 學父母 모두 敎師의 指導를 最優先으로 생각하고 있었듯이, 專門講師 採用과 體系的인 敎員硏修가 必要하다.
漢字敎育에 대한 認識 改善과 體系的인 敎育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漢字공부는 어렵다 라는 等의 先入觀이 改善되어야 한다. 둘째, 漢字敎育에 대한 學父母와 學生間의 認識과 選好度 差異를 줄여야 한다. 셋째, 學父母나 學生들이 漢字敎育 效果로 選好하는 것들을 모두 充足시키기 위해서는 文字 敎育用 敎材(『千字文』, 『訓蒙字會』 等)와 德性 敎育用 敎材(『小學』,『明心寶鑑』,『童蒙先習』,『擊蒙要訣』,『四字小學』 等)의 結合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밖에도 映像媒體 等에 익숙한 世代인 學生들을 위해선 旣存의 平面學習보다는 멀티미디어 敎材를 積極 活用하는 일 等이다.
오늘날 수많은 學生과 學父母들이 漢字敎育을 經驗하고 있다. 初等學校의 漢字敎育은 大部分 처음 接하는 것이니 만큼 體系的으로 推進되어야 한다. 앞으로 全國的으로 初等 漢字敎育의 實態와 問題點을 把握하여 改善 方案을 摸索한다면 보다 體系的인 漢字敎育이 이루어지는데 一助하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영상 개념, 미디어영상활용교육, 영상인식 행태, 미디어환경변화와 새로운 교육 필요성, 영상...
한부모가족(한부모가정) 문제점 및 해결방안(자녀교육을 중심으로),한부모 가정(가족)의 실태...
[교육실습]교육실습(교생실습)에 대한 인식, 교육실습(교생실습)과 교사교육, 교육실습(교생...
학교붕괴(교실붕괴, 학급붕괴)의 원인, 인식, 현황, 학교붕괴(교실붕괴, 학급붕괴)와 교육공...
통일교육 내용으로서 남북한의 통일에 관한 인식과 남북한 관계요인 분석
죽음준비교육의 개념, 필요성, 목적, 효과 및 외국의 죽음준비교육 - 죽음교육이 활성화 되지...
보육교사와 보수교육의 문제 인식과 활성화 방안
식생활에 관한 단편적인 지식이나 정보가 범람하고 있는 현실에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여성교육론]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 ‘여성문화’ 혹은 ‘여성과 가족’과...
[부모교육] 유아기의 자아개념 형성과 성정체성 인식의 이해 - 유아기 부모의 역할 & 성...
한국 교육의 문제 인식
★대안 학교, 본연의 씨앗을 찾아서.. & 「교육사회」수업 느낀점 (한국의 대안학교 인식,...
[★발표자료★][성희롱] 『성희롱』의 인식수준 및 실태와 대처방안 - ‘ 당신이 모르는 사이에…...
[교육사회][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