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정보화 환경
제 2 장 인터넷 이용 실태
제 3 장 인터넷 활용
제 4 장 컴퓨터/인터넷의 영향
제 2 장 인터넷 이용 실태
제 3 장 인터넷 활용
제 4 장 컴퓨터/인터넷의 영향
본문내용
중독성이 심각한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어린이 스스로 음란/폭력사이트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음란/폭력사이트에 어린이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나 기관에서 부모들에게 인터넷 사용에 관한 Guide line을 제시하고 있으며 거르기(filtering)를 통해서 인터넷 접속이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확대실시하고 있다.
<그림4-2> 인터넷 이용시 단점(인터넷 이용자(어린이), 상위 6위)
4. 인터넷 이용시 불안요소
인터넷 이용시 부모들이 느끼는 불안한 요소로는 '음란물에 대한 노출'(52.9%)이 가장 불안한 요소로 응답하였으며 '인터넷 중독증'(24.0%) > '채팅으로 인한 이성교제'(7.2%) > '언어폭력'(5.7%) 순으로 부모들은 음란물/폭력물 노출로 인한 어린이들의 정서침해를 가장 불안한 요소로 꼽았다.
<그림4-3> 인터넷 이용시 불안요소(전체응답자(부모), 상위7위)
5. 인터넷 유해정보에 대한 대화
인터넷 유해정보에 관해 자녀와 대화를 나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응답자의 55.6%로 과반수 가량의 응답자가 유해정보에 대해 관심이 있으며 이를 자녀와 논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별로 보면 30대 일수록 부모가 젊고 컴퓨터세대이므로 유해정보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0대 57.4%). 소득수준별로 보면 소득이 높을수록 인터넷의 유해정보에 대해 대화를 더 많이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다(100만원 미만 39.1%, 200∼300만원 미만 60.7%, 300∼400만원 미만 59.1%). 또한 부모의 학력이 중졸이하는 대화를 나눈다고 응답한 경우가 41.5%, 대졸이상은 58.7%로 학력이 높을수록 유해정보에 대해 자녀와 대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대화 나눔
보통
대화안함
전 체
55.6
15.2
29.3
연령별
3 0 대
4 0 대
5 0 대 이상
57.4
53.5
42.9
13.4
17.5
9.5
29.2
29.0
47.6
가구주 소득
100 만원 미만
100∼200 미만
200∼300 미만
300∼400 미만
400 만원 이상
39.1
52.2
60.7
59.1
57.9
19.6
16.7
13.9
13.3
12.4
41.3
31.1
25.4
27.6
29.8
학력별
중 졸 이 하
고 졸
대 졸 이 상
41.5
54.1
58.7
18.5
16.1
13.8
40.0
29.8
27.6
<표4-3> 연령별·소득별 유해정보에 대한 대화(전체응답자(부모))
6.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에 대한 견해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체응답자의 84.1%, 설치해도 좋고 안해도 무방하다는 응답이 12.3%,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3.6%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 설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이용자별로 살펴보면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경험이 없는 응답자에 비해 긍정율이 85.0%(인터넷이용 비경험자 81.6%)로 다소 높게 나타나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다.
<그림4-4> 인터넷 사용자별 차단소프트웨어 설치에
대한 견해(전체응답자)
7. 유해정보 방지프로그램 및 차단장치 설치여부
자녀의 인터넷 유해정보(음란사이트)로부터 안전하도록 도와주는 유해방지 프로그램 또는 차단장치가 가정의 PC에 설치되어 있는 비율은 전체의 15.2%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유해정보에 어린이들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우리의 실정을 보여 주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사례수 30명 가운데 3.3%)지역은 설치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경우 비이용자보다 차단장치 설치율이 17.8%(비이용자 8.1%)로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부모의 경우 유해정보의 폐해를 인식하고 차단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부모들의 경우 유해정보 방지 프로그램 및 차단장치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설치필요성 84.1%) 실제 어린이들의 인터넷 사용에 대해 무방비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설치율 15.2%).
차단장치 설치
차단장치 비설치
전체
15.2
84.8
지역별
서 울
인 천 / 경 기
부산/ 울산/ 경남
대 구 / 경 북
광 주 / 전 라
대 전 / 충 청
강 원
제 주
18.9
14.5
14.6
12.9
13.0
15.7
18.2
3.3
81.1
85.5
85.4
87.1
87.0
84.3
81.8
96.7
인터넷이용
이 용 자
비 이 용 자
17.8
8.1
82.2
91.9
<표4-4> 지역별·인터넷 사용자별 차단장치설치 여부(전체응답자)
부모의 학력별로 차단장치 설치율을 살펴보면 '중졸이하'는 9.2%, ' 고졸'은 12.4%, '대졸이상'은 18.8%로 학력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유해정보에 대한 차단장치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이 주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지원되는 프로그램들이 주로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형식으로 지급되고 있어 인터넷이용이 어려운 계층에게는 거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유해정보 차단장치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 사용을 보다 활성화시키며 유해한 정보환경에 적극적으로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림4-5> 학력별 유해정보차단장치 설치 여부(전체응답자)
8. 컴퓨터 사용시간의 제한 및 제한이유
전체 응답자 가운데 74.3%가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한하고 있으며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한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79.5%)이다. 그리고 '자녀와의 대화감소'(4.1%) > '인터넷 음란물'(3.3%) > '인터넷 중독증'(3.1%) 순으로 나타났다.
제한여부
응답률
제한 이유
사용시간 제한
74.3
(2127명)
·학업에 방해되므로(79.5%)
·자녀와의 대화 감소(4.1%)
·인터넷 음란물(3.3%)
·인터넷 중독증(3.1%)
·시력저하(2.6%)
사용시간 비제한
25.7
<표4-5> 컴퓨터 사용시간 제한 및 제한 이유(전체응답자)
<그림4-2> 인터넷 이용시 단점(인터넷 이용자(어린이), 상위 6위)
4. 인터넷 이용시 불안요소
인터넷 이용시 부모들이 느끼는 불안한 요소로는 '음란물에 대한 노출'(52.9%)이 가장 불안한 요소로 응답하였으며 '인터넷 중독증'(24.0%) > '채팅으로 인한 이성교제'(7.2%) > '언어폭력'(5.7%) 순으로 부모들은 음란물/폭력물 노출로 인한 어린이들의 정서침해를 가장 불안한 요소로 꼽았다.
<그림4-3> 인터넷 이용시 불안요소(전체응답자(부모), 상위7위)
5. 인터넷 유해정보에 대한 대화
인터넷 유해정보에 관해 자녀와 대화를 나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응답자의 55.6%로 과반수 가량의 응답자가 유해정보에 대해 관심이 있으며 이를 자녀와 논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별로 보면 30대 일수록 부모가 젊고 컴퓨터세대이므로 유해정보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0대 57.4%). 소득수준별로 보면 소득이 높을수록 인터넷의 유해정보에 대해 대화를 더 많이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다(100만원 미만 39.1%, 200∼300만원 미만 60.7%, 300∼400만원 미만 59.1%). 또한 부모의 학력이 중졸이하는 대화를 나눈다고 응답한 경우가 41.5%, 대졸이상은 58.7%로 학력이 높을수록 유해정보에 대해 자녀와 대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대화 나눔
보통
대화안함
전 체
55.6
15.2
29.3
연령별
3 0 대
4 0 대
5 0 대 이상
57.4
53.5
42.9
13.4
17.5
9.5
29.2
29.0
47.6
가구주 소득
100 만원 미만
100∼200 미만
200∼300 미만
300∼400 미만
400 만원 이상
39.1
52.2
60.7
59.1
57.9
19.6
16.7
13.9
13.3
12.4
41.3
31.1
25.4
27.6
29.8
학력별
중 졸 이 하
고 졸
대 졸 이 상
41.5
54.1
58.7
18.5
16.1
13.8
40.0
29.8
27.6
<표4-3> 연령별·소득별 유해정보에 대한 대화(전체응답자(부모))
6.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에 대한 견해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체응답자의 84.1%, 설치해도 좋고 안해도 무방하다는 응답이 12.3%,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3.6%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 설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이용자별로 살펴보면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경험이 없는 응답자에 비해 긍정율이 85.0%(인터넷이용 비경험자 81.6%)로 다소 높게 나타나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유해정보 접근방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다.
<그림4-4> 인터넷 사용자별 차단소프트웨어 설치에
대한 견해(전체응답자)
7. 유해정보 방지프로그램 및 차단장치 설치여부
자녀의 인터넷 유해정보(음란사이트)로부터 안전하도록 도와주는 유해방지 프로그램 또는 차단장치가 가정의 PC에 설치되어 있는 비율은 전체의 15.2%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유해정보에 어린이들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우리의 실정을 보여 주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사례수 30명 가운데 3.3%)지역은 설치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경우 비이용자보다 차단장치 설치율이 17.8%(비이용자 8.1%)로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부모의 경우 유해정보의 폐해를 인식하고 차단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부모들의 경우 유해정보 방지 프로그램 및 차단장치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설치필요성 84.1%) 실제 어린이들의 인터넷 사용에 대해 무방비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설치율 15.2%).
차단장치 설치
차단장치 비설치
전체
15.2
84.8
지역별
서 울
인 천 / 경 기
부산/ 울산/ 경남
대 구 / 경 북
광 주 / 전 라
대 전 / 충 청
강 원
제 주
18.9
14.5
14.6
12.9
13.0
15.7
18.2
3.3
81.1
85.5
85.4
87.1
87.0
84.3
81.8
96.7
인터넷이용
이 용 자
비 이 용 자
17.8
8.1
82.2
91.9
<표4-4> 지역별·인터넷 사용자별 차단장치설치 여부(전체응답자)
부모의 학력별로 차단장치 설치율을 살펴보면 '중졸이하'는 9.2%, ' 고졸'은 12.4%, '대졸이상'은 18.8%로 학력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유해정보에 대한 차단장치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이 주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지원되는 프로그램들이 주로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형식으로 지급되고 있어 인터넷이용이 어려운 계층에게는 거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유해정보 차단장치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 사용을 보다 활성화시키며 유해한 정보환경에 적극적으로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림4-5> 학력별 유해정보차단장치 설치 여부(전체응답자)
8. 컴퓨터 사용시간의 제한 및 제한이유
전체 응답자 가운데 74.3%가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한하고 있으며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한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79.5%)이다. 그리고 '자녀와의 대화감소'(4.1%) > '인터넷 음란물'(3.3%) > '인터넷 중독증'(3.1%) 순으로 나타났다.
제한여부
응답률
제한 이유
사용시간 제한
74.3
(2127명)
·학업에 방해되므로(79.5%)
·자녀와의 대화 감소(4.1%)
·인터넷 음란물(3.3%)
·인터넷 중독증(3.1%)
·시력저하(2.6%)
사용시간 비제한
25.7
<표4-5> 컴퓨터 사용시간 제한 및 제한 이유(전체응답자)
추천자료
[전자상거래] 인터넷 마케팅에 관한 연구
초등 4학년 영어 4단원 what time is it 세안 지도안
초등 5학년 실과 4. 컴퓨터는 내친구 (2)가족신문 만들기 지도안
(복지기관 봉사활동) 월성종합복지관을 다녀와서..
초등 사회 교과서 분석 및 재구성 5-2. 1.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
희망의 밥상 독후감
키덜트 마케팅에 대한 연구
[아동복지C형]영유아보육서비스 중 직장보육서비스의 필요성과 발전적 운영방안
영유아보육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교독서교육]독서교육(독서지도)의 필요성 고찰과 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중요성, 학교...
사이버 교육에 대한 견해 (찬/반의 입장 규명)
미성년자의 불법행위능력 -미성년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의무자의 책임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 -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3학년 공통) 2004년 전면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