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립과 발전

2. 멸망

3. 부흥운동

4. 정치제도
1) 중앙관제
2) 지방관제
3) 군사제도
4) 형벌제도
5) 신분제도와 풍속

5. 경제생활

6. 종교생활

7. 한학의 발달

8. 국사편찬과 사가

9. 예술

1) 건축

2) 미술과 음악

10. 문화의 일본전파

본문내용

(石獸) ·동자상(童子像) ·청동경 ·자기 ·지석(誌石) ·금은 장신구 등이 있는데, 이 고분을 통해서 백제의 국가상, 사회생활, 양(梁)나라와의 문화교류, 장법(葬法)은 물론이고, 특히 삼국간의 문화교류, 문화의 특수성과 공통성을 확인할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고분이다.
또 사비시대의 부여 능산리(陵山里) 고분은 횡혈식 석실고분으로 송산리 고분보다 규모는 작으나 건축기술과 연화문 ·운문(雲文), 사신도(四神圖)의 벽화가 세련되었다. 그리고 충남 서산에 있는 마애삼존불상(磨崖三尊佛像)은 백제 말기에 화강암벽에 새긴 마애석불인데, 소박한 옷차림, 엷은 미소를 띤 온화한 아름다움은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금동관세음보살상(金銅觀世音菩薩像:충남 부여군 출토),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무령왕릉의 출토품인 금제 관식(金製冠飾) ·석수 ·동자상, 금은 장식품인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이 유명하며 산수귀문전(山水鬼文塼) ·연화문전(蓮花文塼) 등과 기와 등에도 백제미술의 우수성이 나타나 있는데, 고구려의 와당(瓦當)은 힘과 정열(와당의 귀신상)을 표현한데 비하여 백제의 것은 온화한 아름다움이 그 특색을 이루고 있다. 대표적 조각가로서는 신라의 황룡사(皇龍寺) 9층탑을 건축한 아비지(阿非知)가 있다.
2) 미술과 음악
백제의 그림은 능산리 고분의 연화문 ·운문, 사신도(四神圖)의 벽화와 송산리 고분의 신수도(神宿圖)가 우아하고 섬세한 면을 표현해 주고 있으며, 화가로는 위덕왕의 왕자로 일본에 건너가서 쇼토쿠태자[聖德太子]의 화상(畵像)을 그린 아좌태자(阿佐太子), 백제 말기에 일본에 건너가 산수화를 전하고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남긴 하성(河成)이 있다. 그리고 글씨로는 사택지적비문(砂宅智積碑文:사륙변려체), 무령왕릉의 지석(誌石:해서체) 등이 있다.
백제의 음악에 대한 기록은 매우 적은 편이다. 그러나 5∼6세기에 중국 남송(南宋)과 북위(北魏)에 백제음악이 소개된 것이 있고, 《일본서기》에 보면 백제의 음악가가 교대로 일본에 건너가서 음악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백제에는 고(鼓) ·각(角) ·공후() ·쟁(箏) 등의 악기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7세기 초 백제의 미마지(味摩之)가 중국 오(吳)나라에서 배운 기악(伎樂)을 일본에 전한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10. 문화의 일본전파
백제 근초고왕 때 최초로 일본에 한학을 전하고, 근구수왕 때 왕인 박사가 논어(論語)와 천자문(千字文)을 전했으며, 무령왕 때 단양이 ·고안무, 성왕 때 유귀(柳貴) 등은 오경박사(五經博士)로서 한학과 유학 등을 전하였다. 그리고 무왕 때 관륵(觀勒)은 천문 ·역법 ·지리 등을 전하고, 성왕 때(552) 노리사치계는 최초로 불교를 전했으며, 혜총은 쇼토쿠태자의 스승이 되고, 도장은 성실론(成實論)을 저술하였다. 아좌태자는 쇼토쿠태자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그 밖에도 화공(畵工) ·와공(瓦工)과 경사(經師) ·율사(律士) ·의사들을 보냈다. 이와 같이 삼국 중 백제문화는 일본의 문화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5.0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