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전자현미경이란?
- 전자현미경의 기원
- 전자현미경의 작동 원리
- 전자현미경의 기원
- 전자현미경의 작동 원리
본문내용
받는다:
@ 분석시료의 원자번호: 원자번호가 클수록 더 많은 전자들을 흡수하거나 차단시 켜 상호 작용하는 부피가 작다.
@가속전압: 전압이 높을수록 입사전자들의 에너지가 크기때문에 시료내로 더 깊 숙히 침투하여 상호작용하는 부피(interaction volume)가 크다.
@전자비임의 입사각도: 각도가 클수록 상호작용하는 부피가 작다.
다음 그림은 전자비임이 니켈(z=28)시편의 표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20,000V (20kV)로 입사될 때, 상호작용하는 부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및 그 결과가 탐지되고 이미지로서 스크린, CRT, 혹은 필름에 기록된다.
위의 단계들은 전자현미경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발생하는데, 세부적인 사항으로서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차이가 있다.
@ 분석시료의 원자번호: 원자번호가 클수록 더 많은 전자들을 흡수하거나 차단시 켜 상호 작용하는 부피가 작다.
@가속전압: 전압이 높을수록 입사전자들의 에너지가 크기때문에 시료내로 더 깊 숙히 침투하여 상호작용하는 부피(interaction volume)가 크다.
@전자비임의 입사각도: 각도가 클수록 상호작용하는 부피가 작다.
다음 그림은 전자비임이 니켈(z=28)시편의 표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20,000V (20kV)로 입사될 때, 상호작용하는 부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및 그 결과가 탐지되고 이미지로서 스크린, CRT, 혹은 필름에 기록된다.
위의 단계들은 전자현미경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발생하는데, 세부적인 사항으로서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