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음악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일본의 음악
♠ 역사

▣ 중국의 음악
♠ 역사
♠ 고전음악과 민간음악의 현황

▣ 한국의 음악
♠ 역사
1. 상고시대
2. 삼국 시대
3. 고려 시대
4. 조선시대 - 조선시대 전기의 음악(1392~1600)
5. 갑오개혁 이후

본문내용

(1783) 대제학 이휘지가 가사를 짓고 그 뒤 남공철이 개작하였다. 곡조는 종묘악인 정대업과 보태평을 참고로 하여 작곡했다. 통신사 행렬 때 앞의 악대를 취고수, 뒤의 악대를 사악수라 한다. 임금의 거동 때 사용된 고취악에는 여민락, 보허자, 낙양춘, 정읍 등이 있었는데 당비파, 해금, 퉁소, 피리, 대금 등의 관악기 위주인 편성이었다. 삼현육각이 무용 반주에 사용되었다. 줄풍류, 대풍류, 병주, 방중악,세 악 등의 악기 편성이 있었다.
(4)가악의 확립
가곡은 선조 때 애창된 것으로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의 세 가지 유형 중 영조 때 만대엽이 없어져 현재의 가곡 체계는 고종 때 확립되었다.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에 수록되었으며 그 계보는 박효관, 안민영, 하준권, 하순일, 하규일로 이어졌다. 가사는 향토색이 짙은 장가로 12곡조가 있으며 하규일, 박기준에 의하여 전창되고 있다. 시조는 조선 중엽 이후 크게
유행해 현재도 성행된다.
(5)민속악의 대두
국악 현대화에 가장 고무적인 요소가 민속악인데 영조 이후 판소리, 잡가, 민요, 산조 등이 일반인에게 크게 확대되었다. 우리 음악에 대한 이해가 민속악을 중심으로 불붙고 있다.
5. 갑오개혁 이후
1895년 갑오개혁 이후 특기할 만한 것은 미국의 선교사 H.G.언더우드와 H.G.아펜젤러 등 목사들에 의한 서양음악의 유입이다. 이들 목사들은 선교와 더불어 찬송가를 가르쳤는데, 이를 효시로 1900년경부터는 학교에서 창가(唱歌)를 가르치게 되었다. 이어 1909년에는 조양구락부(調陽俱樂部)에 서양악과(西洋樂科)가 설치되어 성악·풍금(오르간)·사현금(바이얼린) 등의 전공을 둠으로써 서양음악 전문교육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때 서양음악과 한국의 전통음악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통음악에 ‘국악’이라는 명칭을 붙이게 되기도 하였다.
그 후 국악은 일제의 침략을 당하여 다시 위기를 맞게 되는데, 갑오개혁 직후에 772명이던 악원(樂院)의 악사가 17년에는 57명으로 대폭 축소된 것만으로도 당시의 상황이 짐작된다. 이 때부터 8·15광복을 맞기까지의 기간은 그야말로 국악의 암흑기였는데, 모든 악공은 흩어졌고, 악기들은 파손되었으며, 국악의 명맥이 완전히 끊기는 듯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전통음악을 계승한 곳이 있으니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이습회(肄習會)·조양구락부(調陽俱樂部)·협률사(協律社)·조선성악연구회(鮮聲樂硏究會) 등 몇몇 단체이다. 이 단체들은 미약하나마 연주활동을 폈고 소수의 후진을 양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막상 기다리던 광복이 된 후에도 사회적인 혼란과 경제적인 핍박 때문에 모든 것은 여의치 못하였다. 즉 45년에는 제7회 아악생(雅樂生)으로 모집한 25명을 해산시켜야 했고, 48년에는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의 발족에 따른 일부의 편견으로 1년 이상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조선음악통론》(咸和鎭 저, 1948)과 《판소리 춘향가》(金演洙 편, 48) 등 수많은 저서와 논문·창작집 등이 나왔으며, 덕성여대(54)·서울대학(59)·한양대학(73)·이화여대(74)·국악고등학교(72) 등이 국악교육을 전문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이 밖에 한국국악학회(48) 등 학술단체와 국립국악원·국립창극단(65)·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65) 등 연주단체가 창단되어서 연주활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한편 정부에서는 전통음악과 예능을 보호 육성하자는 취지에서 62년부터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도를 실시하였고, 매년 전국민속예술 경연대회 등을 개최하여 민족음악의 발양(發揚)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특히 94년을 '국악의 해’로 지정, 다채로운 행사를 벌이기도 하였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5.08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