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AIT의 일반적 전제
3. AIT 방식 및 원리
4. AIT 적용절차
5. AIT에 이용되는 음악의 주파수(Hz) 및 크기(dB)
6. AIT 실시 후 효과
2. AIT의 일반적 전제
3. AIT 방식 및 원리
4. AIT 적용절차
5. AIT에 이용되는 음악의 주파수(Hz) 및 크기(dB)
6. AIT 실시 후 효과
본문내용
이 손상될 수 있다.
- 해드폰이나 이어폰의 습관적 사용: 해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들으면 고막이 완충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내이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9. AIT에 관한 논쟁
Rimland와 Edelson은 최근에 4-21세의 자폐성 아동 17명으로 AIT에 관한 pilot 연구를 시행했다. 8명의 아동은 10일간 AIT를 받았고, 9명의 아동은 동일조건에서 변조되지 않는 음악을 들었다. 이에 관해 평가자들과 부모들은 아동이 받은 처치에 관해 모르게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무작위 활당이 이용되지는 않았고, 두 그룹의 유사성이 진술되지는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반복적 행위, 초조, 과잉행동의 감소를 보고했고, 부모들은 연구(실험집단)집단의 주의력의 개선을 지적했다.
또한 Bettison은 두 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된 80명의 아동들을 연구했다. 한 집단은 AIT를 받았고, 다른 한 집단은 변조되지 않은 음악을 들었다. 12개월 후 두 집단은 행동, 언어(verval), 동작성(performance) IQ에서 상당한 개선을 증명, 이는 음악청취의 일부면이 자폐증의 특징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미국 Edelson 등(1999)은 19명의 어린이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AIT를 실시, 다른 한 그룹에는 일반음악을 헤드폰을 통하여 들려주었다. 실험진행자와 실험대상자 모두 어느 집단이 AIT를 받았는지 모르게 double blind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실시 후 3개월의 결과에서 AIT집단이 이상한 행동에 대한 점수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그리고 외부자극 처리과정을 관찰 할 수 있는 정밀뇌파검사에서도 AIT집단이 청각정보처리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반면에 일반음악을 들은 집단은 이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불안, 순종, 과잉행동, 강박충동행동, 사회성 행동에 관한 Conners' Rating Scales와 Fisher's 청각문제 체크리스트에서는 두 그룹 사이의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개방형 부모용 질문지에서는 소리민감도, hearing 및 이해의 개선, 눈맞추기의 개선을 보였다. AIT에 관한 Fisher's 청각문제 체크리스트에서의 정적인 결과는 Rimland 등(1995)의 연구에 보고되어왔으나 후속 대형 연구에서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1995년 Rimland 등의 연구에서 이상행동 및 Fisher's 청각문제 체크리스트에서의 정적인 결과가 있었으나 소리민감도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Rimland et. al., 1995).
AIT의 효과에 관한 널리 확산된 선행보고 및 출판된 보고에도 불구하고 AIT는 전문가 공동체에서 잘 수용되지 않는다. 이 방법의 효과에 관해 일부 연구자들이 회의를 느끼고 있다. Gillberg등(1997)은 AIT에 관한 자신들의 연구를 요약하여 "AIT 연구결과, 자폐증상에 관해 어떠한 정적인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한편, AIT가 중심으로 하는 전제의 한계점이 Gravel에 의해 검토되었는데, 청각유발 뇌간반응(auditory-evoked brainstem responce)과 같은 현행 객관적인 전기생리학적 측정은 자폐성 아동과 비자폐성 아동의 hearing 민감도의 차이를 증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더구나 자폐성 아동은 행동적 청력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사하기가 극히 어렵다. 왜냐하면 이들의 반응은 정상적 임상적 변수내에서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주파수들 사이에 작은 차이(5dB)를 보이면서 빈번히 일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AIT 실시자들이 그 기법이 안전하다고 하지만 사용된 장비의 특징과 장비에 의해 유발된 잠재적으로 불안전한 소리수준에 관한 일부 정보도 있다. 그러나 행동적 관찰 및 선행보고에서는 자폐성 아동의 소리 민감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더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 자폐인이 청각과민성을 가졌다는 것은 거의 의심할 바 없으나 이런 역기능을 수정하고 자폐와 관련된 다른 문제를 개선한다는 AIT의 역할은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하고 지켜보아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Heflin & Simpson, 1998).
AIT실시자들은 AIT를 받은 사람들에게 많은 유익성이 있다고 보고(주의력 개선, 청각적 처리능력의 개선, 초조성의 감소, 청각적 무감각(혼란) 감소, 표현언어 및 청각적 이해력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는 과학적 증거가 많지 않다. 현재까지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는 이러한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주장자들의 주장을 전적으로 지지하기는 어렵다.
- 해드폰이나 이어폰의 습관적 사용: 해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들으면 고막이 완충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내이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9. AIT에 관한 논쟁
Rimland와 Edelson은 최근에 4-21세의 자폐성 아동 17명으로 AIT에 관한 pilot 연구를 시행했다. 8명의 아동은 10일간 AIT를 받았고, 9명의 아동은 동일조건에서 변조되지 않는 음악을 들었다. 이에 관해 평가자들과 부모들은 아동이 받은 처치에 관해 모르게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무작위 활당이 이용되지는 않았고, 두 그룹의 유사성이 진술되지는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반복적 행위, 초조, 과잉행동의 감소를 보고했고, 부모들은 연구(실험집단)집단의 주의력의 개선을 지적했다.
또한 Bettison은 두 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된 80명의 아동들을 연구했다. 한 집단은 AIT를 받았고, 다른 한 집단은 변조되지 않은 음악을 들었다. 12개월 후 두 집단은 행동, 언어(verval), 동작성(performance) IQ에서 상당한 개선을 증명, 이는 음악청취의 일부면이 자폐증의 특징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미국 Edelson 등(1999)은 19명의 어린이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AIT를 실시, 다른 한 그룹에는 일반음악을 헤드폰을 통하여 들려주었다. 실험진행자와 실험대상자 모두 어느 집단이 AIT를 받았는지 모르게 double blind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실시 후 3개월의 결과에서 AIT집단이 이상한 행동에 대한 점수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그리고 외부자극 처리과정을 관찰 할 수 있는 정밀뇌파검사에서도 AIT집단이 청각정보처리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반면에 일반음악을 들은 집단은 이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불안, 순종, 과잉행동, 강박충동행동, 사회성 행동에 관한 Conners' Rating Scales와 Fisher's 청각문제 체크리스트에서는 두 그룹 사이의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개방형 부모용 질문지에서는 소리민감도, hearing 및 이해의 개선, 눈맞추기의 개선을 보였다. AIT에 관한 Fisher's 청각문제 체크리스트에서의 정적인 결과는 Rimland 등(1995)의 연구에 보고되어왔으나 후속 대형 연구에서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1995년 Rimland 등의 연구에서 이상행동 및 Fisher's 청각문제 체크리스트에서의 정적인 결과가 있었으나 소리민감도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Rimland et. al., 1995).
AIT의 효과에 관한 널리 확산된 선행보고 및 출판된 보고에도 불구하고 AIT는 전문가 공동체에서 잘 수용되지 않는다. 이 방법의 효과에 관해 일부 연구자들이 회의를 느끼고 있다. Gillberg등(1997)은 AIT에 관한 자신들의 연구를 요약하여 "AIT 연구결과, 자폐증상에 관해 어떠한 정적인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한편, AIT가 중심으로 하는 전제의 한계점이 Gravel에 의해 검토되었는데, 청각유발 뇌간반응(auditory-evoked brainstem responce)과 같은 현행 객관적인 전기생리학적 측정은 자폐성 아동과 비자폐성 아동의 hearing 민감도의 차이를 증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더구나 자폐성 아동은 행동적 청력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사하기가 극히 어렵다. 왜냐하면 이들의 반응은 정상적 임상적 변수내에서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주파수들 사이에 작은 차이(5dB)를 보이면서 빈번히 일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AIT 실시자들이 그 기법이 안전하다고 하지만 사용된 장비의 특징과 장비에 의해 유발된 잠재적으로 불안전한 소리수준에 관한 일부 정보도 있다. 그러나 행동적 관찰 및 선행보고에서는 자폐성 아동의 소리 민감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더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 자폐인이 청각과민성을 가졌다는 것은 거의 의심할 바 없으나 이런 역기능을 수정하고 자폐와 관련된 다른 문제를 개선한다는 AIT의 역할은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하고 지켜보아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Heflin & Simpson, 1998).
AIT실시자들은 AIT를 받은 사람들에게 많은 유익성이 있다고 보고(주의력 개선, 청각적 처리능력의 개선, 초조성의 감소, 청각적 무감각(혼란) 감소, 표현언어 및 청각적 이해력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는 과학적 증거가 많지 않다. 현재까지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는 이러한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주장자들의 주장을 전적으로 지지하기는 어렵다.
추천자료
[청각장애아조기교육] `청각장애아의 조기교육
[특수교육]청각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책-내가 생각하는 청각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해...
[청각장애] 청각장애 요점정리
영어교육(영어지도, 학습) 목적, 영어교육(영어지도, 학습) 학습자료, 영어교육(영어지도, 학...
심성계발교육, 미술관교육(학습)프로그램 사례, 가정연계교육(학습)프로그램 사례, 우뇌교육(...
청각장애
청각장애에 대하여
[장애유아][시각장애유아][정서장애유아][청각장애유아]장애유아의 부모교육, 장애유아의 프...
청각장애(Auditory Disorders)
[상담과 심리치료] 상담자와 내담자의 내면적 통합 및 영성의 발전
[유아교육과]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통합 방안에 대해 ...
특수아동이해-특수교육대상자의 법적 정의를 알아보고 최근 특수교육의 동향에 따라 특수교육...